12·3
내란 사태를 수사하는 공조수사본부(공조본)가
20일
내란 우두머리 등의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25일
나와 조사받으라’며
2차
출석 요구서를 보냈다.
내란 사태 뒤
3주째,
대국민 사과도 없이 오히려 탄핵 반대를 주도하는 국민의힘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높아졌다.
21일
토요일자 발행한 신문은 국민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선데이(중앙일보),
한국일보다.
동아일보는 <공조본,
尹에
‘성탄절
출석’
최후통첩>
기사를 통해
“법조계에선
이번 출석 요구는 대통령 수사가 공조본으로 일원화된 뒤 처음으로 나온 출석 통보여서 사실상
‘최후통첩’에
가깝다는 말이 나온다.
윤 대통령 수사는 앞서 검찰,
경찰,
공수처가 각각 진행해 오다가 최근 공수처로 일원화됐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윤
대통령의 출석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이 출석한다면 범죄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기관에 출석한 대한민국 첫
현직 대통령이 된다”고
했다.
공조본은
20일
차저현 공수처 부장검사 명의의 출석요구서를 윤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실,
부속실 등 세 곳에 특급우편과 전자공문으로 보냈다.
윤 대통령의 혐의로는 내란 수괴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가 적시됐다.

▲21일
동아일보
앞서 1차
출석 통보 때는 인편을 통해 전달을 시도했지만 대통령경호처 등이 수령을 거부했다.
동아일보는
“공수처는
이날부터 공수처가 입주한 5동
건물 현관 공간과 출입구 부근 길목을 주차금지 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긴장감 속에 사상 첫 현직 대통령 조사 대비에 나섰다.
윤 대통령 출석 시 포토라인 등을 고려해 언론사에 미리 취재기자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청했다”고
했다.
성탄절인
25일로
출석날짜를 정한 것도 대통령 경호 문제를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20일
동아일보에 “(25일까지)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왈가왈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21일
한국일보
한국일보는 1면에서
국민의힘이 내란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 없이 오히려 탄핵 반대를 주도하는 상황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1면
머리기사 도입부에서 “탄핵
민심에 역행한 국민의힘이 구태의 수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불법계엄
사태에 대한 대국민사과도,
탄핵 정국을 수습할 마땅한 쇄신책도 아직이다.
탄핵 반대를 주도한 친윤석열계와 중진 의원 등 목소리 큰 다수파는 탄핵
찬성파들을 노골적으로 괴롭히며 윽박지르기 바쁘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상식도,
이견도 용납하지 않는 폭력적 분위기 속에 당내 소장파들의 쇄신 목소리는
씨가 마르는 중이다.
그들만의 기득권에 갇혀 내부총질만 거듭하는 사이,
민심을 회복할 골든타임마저 멀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했다.
14일
국민의힘 의총에서 탄핵 반대파들은 “한
사람씩 자리에서 일어나 찬성표를 찍었는지,
반대표를 찍었는지 고백하자”며
탄핵 찬성파들을 공개 색출하자고 겁박했다.
한국일보는 이들이 탄핵소추안 두 번째 투표에서 탄핵 찬성 입장으로 돌아선
한동훈 당시 대표에 대해 “원색적인
공격도 난무했다.
한 대표를 겨냥해 물병을 내동댕이치거나(영남권
재선 의원), ‘돌아이’라는
인신공격성 발언까지 튀어나오며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고
했다.
국민의힘 주류는 탄핵에 찬성한 비례대표 의원들도 표적 삼고 있다.
한국일보는
“한
여성 재선 의원은 찬성표를 찍은 비례대표 의원에게 손가락질을 하면서
‘제명이
아닌 탈당을 시키자’고
소리쳤다.
비례 의원은 탈당 시 의원직이 박탈되는 약한 고리를 파고든 것”이라며
“당장
친한계 장동혁·진종오
최고위원이 이런 집단 린치를 버티지 못하다 사퇴 카드를 던지면서 한동훈 지도부는 붕괴됐다.
14일 의총 상황이 담긴 녹취가 보도된 이후,
국민의힘의 적나라한 민낯이 드러났지만 의원들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라고
했다.
한국일보는 “퇴행을
거듭하는 국민의힘을 두고 박근혜 탄핵 이후 기사회생한 경험이 오판을 부르고 있다”며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 궤멸 위기까지 나왔지만
5년
만에 정권을 탈환한 경험이 있다 보니,
일단은 버티면 살 수 있다는 근시안적 시각에 매몰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21일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여권 차기 주자들의 지지율이 몰락한 상황을
1면
기사에 다뤘다.
중앙일보는
“이쯤
되면 ‘씨가
말랐다’고
해도 될 법하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 사태 이후
2주
만에 여권 차기 주자들의 지지율이 폭삭 주저앉았다.
지지율
5%를
넘은 이는 전무했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여권
주자 모두의 지지율을 더해도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 지지율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17~19일
한국갤럽의 전화면접을 통한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결과를 요약했다.
민주당 계열(이재명·조국·우원식)은
41%를
기록했다.
이 대표가
37%였고
우원식 국회의장(1%)이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국민의힘에선
6명(한동훈·홍준표·오세훈·김문수·유승민·안철수)을
모두 더해야 17%였다.
한동훈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둘 다
5%에
그쳤다.
중앙일보 “여권의
현 상황이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됐을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탄핵안 가결 뒤인
2017년
1월
12일
발표된 갤럽 조사에서 문재인 민주당 후보 지지율이
31%로
가장 높았지만,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20%를
기록했다”고
했다.
반면 조선일보는 여야정 국정협의체를 가동한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를
1면에
배치했다.
조선일보는
“국민의힘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20일
민생·안보
협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며
“여야정
협의체는 한덕수 권한대행,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참여하는
4인
체제가 유력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21일
조선일보
국민일보는 “한국
금융시장이 계엄·탄핵
후폭풍과 미국발 환율 쇼크에 짓눌리고 있다”며
“증시는
이틀째 급락했고,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올랐다(국고채
가치 하락).
고환율로 수입 물품 가격이 오르면서 진정 기미를 보였던 물가마저 들썩이고 있다”고
했다.
국민일보는 “코스피는
20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이탈에 이틀째 내리막을 걸었다.
장중에
‘심리적
저지선’인
2400이
무너지기도 했다”며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이날 하루에만 8212억원어치를
팔았다.
전날보다 매도 규모가 커졌다”고
했다.

▲21일
국민일보
아침신문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가 보낸 탄핵 심판 관련 서류를 고의로 송달 거부하며 탄핵심판 절차를 지연시킨다고 사설로 비판했다.
토요판을 내지 않는 경향신문은
20일
오후 온라인판 사설에서 “윤석열은
당장 수사에 응해야 한다.
공조수사본부는 윤석열이 이번에도 출석 요구에 불응하면 현행범으로 체포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한겨레 “尹,
강제수사 임박하자 잡범처럼 발뺌”
尹
계엄에 중립적인 중국언론…
일본은
“자폭”,
“기이한 행동”
尹대선캠프
출신 원장이 국방일보 내란옹호 기사작성 지시했다
조선일보 칼럼 “尹,
계엄처럼 이성 잃을 정도로 분노한 건 김건희 문제뿐”
더보기
한겨레는 “윤
대통령의 지시는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막기 위해 국회를 무력화하는 게 목적이었다.
기소되면 내란죄 유죄 판결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며
“시대착오적인
비상계엄 선포로 나라를 위기에 빠뜨려 놓고 자기는 일단 살고 보겠다는 건가”라고
했다.

▲경향신문
20일자
오후 온라인판 사설
조선일보는 21일자
<“당당히
맞서겠다”던
尹의
재판 지연과 수사 불응>에서
“지금
윤 대통령이 탄핵심판과 수사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당당히 맞서겠다는 며칠 전 공언과는 거리가 멀다”면서도
윤 대통령의 행위를 이재명 대표의 재판 대응 태도와 비견된다고 주장했다.
“각종 법적 꼼수와 정치적 수단을 총동원해 수사와 재판을 지연시켰던 이재명
대표와 뭐가 다르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썼다.
출처 :
미디어오늘(https://www.media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