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본 것들 위주로..
서양고추나물
주제원 내부에 있었고, 식재 과정에서 딸려온건지 아니면 일부러 식재한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Centaurea nigrescens?
속의 다른 종들과는 엽형이 안맞고...총포를 더 자세히 확인해야 했었는데, C. nigrescens와 가장 유사하네요.
주제원 내에 3개체 정도만 있었습니다. 분명 위해우려종일텐데..
Sisyrinchium angustifolium
국립생물자원관은 아직 이걸 등심붓꽃으로 보고 있더군요. 화색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암석원과 그 주변 잔디밭으로 퍼져나가는 모양새를 보이네요
Sedum acre
애매한 종류입니다...우선 원산지는 튀르키예 쪽이긴 한데, 세계적으로 정원식물로 자주 쓰이는 종류기도 하고요. 의도적 식재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암석원에 많이 퍼져있어요
애기점나도나물?
포엽의 가장자리가 막질이긴 한데...
주제원 내부에서 관찰했습니다
좀나도고사리삼?
주제원 내부의 애기솔나물 식재지에서 군락을 이뤄 자라고 있습니다
Hieracium jankae?
정확하진 않습니다. 이것도 속 내에 몇천종이네요...
엽형과 털 길이는 가장 일치하는 것 같습니다
암석원에 몇 개체가 산생합니다
Medicago crassipes
국내 개자리속 종류들과 달리 열매 모양이 특이해 보입니다
암석원에 3개체 가량을 확인했습니다
Alium pseudoflavum?
우선은 길게 나오는 포엽과, 수술이 나출되고, 잎의 단면이 반원통형인 점에서는...
암석원에 넓게 퍼져 자랍니다
Galium floribundum
딱 1개체만 관찰했습니다.
이외에 열매만 관찰했지만, 꿀풀과의 식물도 보였고.. 매년 매 계절마다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 같네요. 씨앗이 발아되고 또 도태되는 종들이 다양하게 숨어있는 모양입니다.
첫댓글 암석원에서 Allium속 식물을 보며 짧게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젠 구면이 된 셈....ㅎㅎ
ㅎㅎㅎㅎ 혹시 추산님일까 싶었는데 맞았네요
Sedum acre, Centaurea nigrescens, Medicago crassipes를 확인치 못했네요.
미상의 미나리과 식물이 머지않아 필 것 같은데,
개화할 시기에 맞춰 조만간에 다시 한번 가봐야 할 듯...
S. acre야 암석원에 흔하고..
M. crassipes는 암석원 가장 오른쪽 위의 사사류 있는 곳에 있어요
C. nigrescens로 보이는 건 사진의 두 구역 중 하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