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저는 고3 자연계생입니다.
이 글은 제가 수열 파트 "합의 기호 시그마" 부분을
공부하다가 발견한 시그마의 특성입니다.
시그마에 관한 몇몇 공식들을 살펴보다가
각 식을 전개해봤습니다
시그마 다음에 k에 관한 다항식과
그 결과값인 n에 관한 다항식은
두 가지 상관관계가 있더군요
n
Σ f(k) = g(n)
k=1
(단, f(k) 는 k에 관한 다항식, g(n)은 n에 관한 다항식)
i) f(1) = n(1)
k에 관한 식의 계수의 합과
n에 관한 식의 계수의 합은
언제나 일정하였습니다.
ii) f(k)의 최고차항을 적분한 형태가
g(n)의 최고차항이 되었습니다.
저는 시그마 다음에 나오는 k에 관한 식을
곧바로 n에 관한 식으로 바꾸는 공식이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요
아무리 연구해봐도 위의 세 가지 특성 말고는
f(k)를 g(n)으로 변환하는 법칙을 못찾겟더라구요.
혹시 이와 관련된 공식이나 정리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첫댓글 꺆@_@..
이공계가시오.
엑박;
대단행......ㅠㅠ
내일 교무실로 오거라
한국말로하세요
대략문과생은...[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푸하하하하하 난 왜 이렇게 웃기지...ㅋㅋㅋㅋ
전영어가 싫소
여기다 물어보지 말고 수학의 정석이나 개념원리를 찾아보시오...
으아아아악 몰라 -_-;;!!
씨바 뇌 터지겠소 묻지마오
풋~~~ 머야 이정도도 모르는거야? 넌 천상 문과체질이구나...
ㅆㅂ...-_-존나 어렵소...=_=이거를 보니 공대생의 공 자도 듣기 싫구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