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 가뭄 때문에 많은 식물들이 건조해서 생육 환경이 좋진 않네요
봄에 나타났던 종들은 이제 흔적이 안 보이고
다른 종들도 시들시들 합니다
그래도 오늘 비가 왔으니 희망이 있기를...
Lisaea heterocarpa? -> Eryngium campestre일 듯 합니다
아예 지상부가 말라버렸네요..아래는 살아있으려나..
Falcaria vulgaris
생육이 정말 왕성합니다. 처음에는 Sium속일까 했지만, 돌고돌아서 결국 찾았습니다
처음에 이 종을 Galium속이라고 생각했는데, 혹시 Asperula속이 아닐까? 생각중입니다.
사진자료가 없는 5종(bargyli, cilicia, kotschyana, virgata, xylorrhiza)에 대해서 원기재문을 살펴봐야겠습니다
첫댓글 이란미나리이었으면 좋겠다는 녀석은 아마 회생불가일듯...이란미나리는 1년초.
Sium속에서 찾아보려고 했었는데... 대단해요...
애초 시작은 린네가 Sium속에서 시작했네요.
Falcaria vulgaris Bernh. (≡Sium falcaria L. )
오늘은 하루종일 만든 표본들 관리하면서 수치 측정하느라 애먹었네요
미리미리 관리 좀 할걸..
이란미나리라고 생각했는데, 엽형이 요상해서 좀 더 찾아보니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Eryngium campestre의 표본들이 비슷한 엽형을 가지는지라..이렇다면 내년에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sperula는 내일 하루 종일 매달리면 뭐라도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기대중입니다(물론 지난 번 Ornithogalum 중 잎이 넓은 개체는 결국 찾지 못했지만요)
1. Falcaria vulgaris Bernh. (≡Sium falcaria L. )
2. Eryngium campestre L.
로 결론을 내도 무방할 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