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째 토막 )
노인들의 삶도 가지가지이다.
노선(老仙)이 있는가하면, 노학(老鶴)이 있고,
노동(老童)이 있는가하면, 노옹(老翁)이 있고,
노광(老狂)이 있는가하면, 노고(老孤)가 있고
노궁(老窮)이 있는가하면, 노추(老醜)도 있다.
노선은 늙어가면서 신선처럼 사는 사람이다.
이들은 사랑도 미움도 놓아 버렸다.
성냄도 탐욕도 벗어 버렸다.
선도 악도 털어 버렸다.
삶에 아무런 걸림이 없다.
건너야할 피안도 없고 올라야할 천당도 없고
빠져버릴 지옥도 없다.
무심히 자연따라 돌아갈 뿐이다.
노학은 늙어서 학처럼 사는 것이다.
이들은 심신이 건강하고 여유가 있어
나라 안팎을 수시로 돌아 다니며
산천경계를 유람한다.
그러면서도 검소하여 천박하질 않다.
많은 벗들과 어울려 노닐며 베풀 줄 안다.
그래서 친구들로부터 아낌을 받는다.
틈나는 대로 갈고 닦아 학술 논문이며
문예 작품들을 펴내기도한다.
노동은 늙어서 동심으로 돌아가
청소년처럼 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대학의 평생 교육원이나 학원 아니면
서원이나 노인대학에
적을 걸어두고 못다한 공부를 한다.
시경 주역 등 한문이며 서예며
정치 경제 상식이며 컴퓨터를 열심히 배운다.
수시로 여성 학우들과 어울려 여행도 하고
노래며 춤도 추고 즐거운 여생을 보낸다.
노옹은 문자 그대로 늙은이로 사는 사람이다.
집에서 손주들이나 봐주고 텅 빈집이나 지켜준다.
어쩌다 동네 노인정에 나가서
노인들과 화투나 치고 장기를 두기도 한다.
형편만 되면 따로 나와 살아야지 하는 생각이
늘 머리 속에 맴돈다.
노광은 미친 사람처럼 사는 노인이다.
함량 미달에 능력은 부족하고
주변에 존경도 못받는 처지에
감투 욕심은 많아서 온갖 장을 도맡아 한다.
돈이 생기는 곳이라면
체면 불사하고 파리처럼 달라 붙는다.
권력의 끈나풀이라도 잡아 보려고
늙은 몸을 이끌고 끊임없이 여기 저기 기웃거린다.
노고는 늙어가면서 아내를 잃고
외로운 삶을 보내는사람이다.
이십대의 아내는 애완동물들같이 마냥 귀엽기만 하다.
삼십대의 아내는 기호 식품같다고 할까,
사십대의 아내는 어느덧 없어서는 안될 가재도구가 돼버렸다.
오십대가 되면 아내는 가보의 자리를 차지한다.
육십대의 아내는 지방 문화재라고나 할까.
그런데 칠십대가 되면
아내는 국보의 위치에 올라 존중을 받게된다.
그런 귀하고도 귀한 보물을 잃었으니
외롭고 쓸쓸할 수밖에.
노궁은 늙어서 수중에 돈 한푼 없는 사람이다.
아침 한술 뜨고나면 집을 나와야 한다.
갈 곳이라면 공원 광장 뿐이다.
점심은 무료 급식소에서 해결한다.
석양이 되면 내키지 않는 발걸음을 돌려 집으로 들어간다.
며느리 눈치 슬슬보며 밥술 좀 떠 넣고
골방에 들어가 한숨 잔다.
사는 게 괴롭다.
노추는 늙어서 추한 모습으로 사는 사람이다.
어쩌다 불치의 병을 얻어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한시도 살 수없는
못 죽어 생존하는 가련한 노인이다.
인생은 자기가 스스로 써온 시나리오에 따라
자신이 연출하는 자작극이라할까,
나는 여태껏 어떤 내용의 각본을 창작해 왔을까,
이젠 고쳐 쓸 수가 없다.
희극이 되든 비극이되든 아니면 해피 엔드로 끝나든
미소지으며 각본대로 열심히 연출할 수밖에.
( 둘째 토막 )
- - 신종 3대 바보 - -
첫째.
자식들이 놀러가기 위해 손자를
맡아달라고 해서
기존에 했던 약속을 파기하며
손자를 봐주는 바보.
둘째.
늙으면 자식들이 용돈을 매달
꼭꼭 챙겨줄 것이라고 믿고
재산을 넘겨주고 나이 들어 자식들 눈치 보는 바보.
셋째
자식들이 놀러 왔다가 자고 갈 때
혹시나 불편할까 싶어서
방 여러 칸짜리 큰집에 사는 바보.
요즘 며느리들,
명절 때나 또는 오랫만에 놀러 왔다가는
어떻게 하면
빨리 빠져나갈까나 생각하는 판에
자고 갈 것이라고 착각(?)을 해! 서
세금 많이 내며
관리하기 힘든 큰 집에 사는
바보가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며,
먹을 것 입을 것 제대로 못하고
있는 돈 없는 돈 모아서
자식에게 한입에 털어 주고
용돈이 없어서 자식들 눈치 보지만
자식들은 이런 부모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부모 눈치 보는 자식들 많지 않다는 것이고,
한 평생을 자식들 키우느라 고생을 했는데
나이들어서 까지 손자 봐주느라고
할 일을 못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는
그런 얘길 하는 것을 보면서
자식과 부모라는 것이 과연 어떤 관계인가...
잠시 그런 생각을 해 봤습니다.
자식이 어느 정도 자라서
자립할 나이가 됐으면
이제부터는 남은여생을 자기 자신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며
조금은 여유롭게 살아야 하지 않을 까요.
( 셋째 토막 )
- - 염라대왕 - -
염라국의 대왕이 하루는
조선조 500년의 임금 27명이
저승에 다 와 있다는 보고를 받고
모두 만찬에 초대했습니다.
대왕은 건배 제의를 한 후,
분위기가 무르익자
곧 질문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통역은 세종대왕이 맡았습니다)
"제일 단명한 임금은 뉘시오?"
"예, 단종(17세)입니다."
"그럼, 제일 장수하신 분과 재임기간은?" ! P>
"영조(21대) 83세에 승하하셨는데,
51년간 재위하셨습니다."
"장남이 왕위를 계승한 임금은?"
"7명뿐입니다.
(문종.단종.연산군.인종 현종.숙종.순종 / 26%)
"자녀를 가장 많?! ? 둔 임금은?"
"태종(3대) 부인 12명에서
29명(12남 17녀)의 자녀를 생산했습니다."
"후손을 못 둔 임금은?"
* 단종(6대) * 인종 12대 * 경종 20대 * 순종(27대) 입니다.
"안방 출입이 제일 잦았던 임금은?"
* 3대 태종 부인 12명 * 9대 성종 부인 12명
"폭정을 한 왕은?"
"단연, 연산군(10대)입니다"
"제일 현정을 베푼 임금은?"
"예, 통역을 맡고 있는 '짐'이라고
생각합니다만,,,
&nb! sp;
"염라대왕:
세종은 백성도 잘 보살폈지만,
밤 정치도 잘해 부인
6명에 22명의 자녀를 둬,
생산 공장도 KS마크라고 들었소 이다~!!
"세종대왕 : 네, 황송합니다.,,??"
" 조선조 임금 중에서 가장 ? 됐?한 임금은?"
"예, 사도 세자의 아들인 정조대왕 인데
태평성대를 구가 했습니다."
"조선조 임금들의 평균 수명은?
" 47세입니다"
"그렇게 단명한 이유는?"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들을
먹고 마시고 즐기면서 생명을
오랫동안 보존하려고 애썼지만,
그들이 그토록 보존코자
했던 생명은 대단히 짧았습니다.
이유인즉,,,,
첫째. 10대 전반부터 수많은 후궁들 속에서
과도하게 성생활을 했고,
정력제에 해당하는 보약을
자주 복용하여 독이 몸에 쌓였고.
둘째. 일 거수 일 투족을 다른 사람이
다 대신해 줘 자신이 움직일
필요가 없어 운동이 부족 했으며.
셋째. 임금들의 생활은
일반인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고달팠습니다.
기상시간은 오전 5시 전후.
하루일과를 마치고 잠자리엔 일러야
밤 11시쯤 결국은 체력이 달렸기 때문입니다..
( 넷째 토막 )
- - 오리 - -
1. 돈 버는 능력은 없지만 집! 에 틀어 앉아
살림은 잘하는 전업주부=집오리.
2. 전문직에 종사하며 안정적 수입이 있는 아내=청둥오리.
3. 부동산, 주식투자 등으로 큰 돈을 벌어오는 아내=황금 알을 낳는 오리.
4. 남편이 벌어다 주는 돈 다 쓰고도 모자라
돈 더 벌어오라고 호통만 치는 아내=탐관오리.
5 .모든 재산을 사이비종교에 헌납한 아내=주께 가오리.
6. 돈 많이 벌어 놓고 일찍 죽은 아내=앗싸 가오리.
( 다섯 째 토막 )
- - 떠나간 애인 또 아픔 주네 - -
잘 살면...........................배 아프고
못 살면..........................가슴 아프고
같이 살자고 하면............. 머리 아프고
( 여섯 째 토막 )
- - 퀴즈 - -
☞ 괄호 속을 드래그하면 답이 나옵니다.
01. 피투성이가 돼야 돈버는 사람은? 답(고스톱 꾼)
02. 절대로 쓰러지지 않는 사업은? 답(건재상)
03. 침 뱉으면서 먹는 떡은? 답(가래떡)
04. 진짜 사정 급한 사람은 ? 답(조루증환자)
05. 눈깜짝 할사이에 이루어지는것은 ? 답(윙크)
06. 달면 뱉고 쓰면 삼키는 사람은 ? 답(당뇨병 환자)
07. 매일 고스톱을 해야 먹고사는 사람은 ? 답(교통순경)
08. 실업자 되면서 받은 돈은 ? 답(정년 퇴직금)
09. 세월을 속이는 약은 ? 답(머리염색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