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초의 효능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감초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우리 속담에 “약방(약처방 속)의 감초”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한약처방에 대부분 들어 가는 중요한 약재다.
감초는 주로 내몽고와 감숙성에서 많이 생산되고, 그 다음은 산서, 요녕, 길림, 흑룡강, 하북 등의 지역에서 생산되며, 내몽고산이 가장 좋다.
세종대왕 때에 우리나라에도 심게 했으나 현재 자생하는 감초의 대부분은 아주 가늘어서 약용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감초의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이다.
감초의 특징
감초는 키 높이가 30 ~ 70Cm에 이르고, 간혹 1미터 이상으로 자라기도 하는데,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초원과 강기슭 등 사질 토양에서 잘 자란다.
감초는 6월에서 7월에 자색의 꽃이 피고, 겨울철에 콩꼬투리와 같은 열매를 맺는다. 감초의 뿌리는 길고 둥근 기둥모양을 하며 지름은 0.6Cm ~ 3.3Cm에 달한다.
▶감초의 성분
감초의뿌리에는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들어있는데 이것은 배당체로 감초의 단맛 성분이다.
감초에는 전분및 콜로이드가함유되어있고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가 분리되었다. 18종의 감초를 분석한 결과 수용성 성분이 18.7~40.54%,글리시리진 3.63~13.06%
환원당 3.38 ~ 13.67% 였다.
▶감초의 약리
감초는 전통적으로 해독작용과 위장 보호작용 이 우선시 되었으나 부신피질 호르몬양 작용이 밝혀졌다.
감초의 글리시리진은 부신피질 호르몬과 화학 구조가 유사해서 부신피질 스테롤이 체내에서 파괴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혈액 속의 부신피 질 스테롤의 함량을 증가시켜서 부신피질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강력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감초는 총담관을 결찰한 토끼의 혈중 빌리루빈 배출을 낮춰주고 소변 속의 빌리루빈 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황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또한 감초는 인후부 염증을 감소시켜서 기침을 멎게하는 효과가 있다.
감초의 항암효능
또한 감초는 흰쥐의 골수종, 생쥐의 육종과 복수종에 대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입증되었다.
감초의 효능
감초는 여러 가지 약들을 조화하고 중화하는 효능이 있어 다른 약들의 부작용이나 독성을 완화시켜준다.
그래서 부자의 독성을 중화시킬 때는 감초와 콩을 달인 감두탕(甘豆湯)을 투여한다.
또 꿀물에 적셔서 구워서 먹으면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하므로 밥맛이 없고 소화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실험적으로 감초는 히스타민에 의해 생긴 개의 실험성 위궤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래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
또 꿀물에 적셔서 구운 감초는 기침을 오래하 는 사람이 오랫동안 달여서 마시면 좋다. 익히지 않고 사용하면 해독하는 효능이 있어 종기가 나서 곪을 때와 인후부가 붓고 아플 때도 효과적인데, 도라지와 감초를 섞어서 처방한 감길탕(甘桔湯)은 목이 아플 때 특별히 효과가 좋다.
🚫감초의 부작용
또한 감초는 소변량과 나트륨의 배출을 감소 시키고 칼륨의 배출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속의 나트륨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저칼륨 혈증, 고혈압, 부정맥, 부종을 일으킬 수 있고,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고 기초대사량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체중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생쥐는 체중이 늘어났고, 근력이 증강되었다.
🚫감초 복용시 주의사항
감초는 담배의 향기용은 물론이고, 먹는 약들 의 첨가제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감초는 뛰어난 약효만큼 잘못 사용하면 부작용도 나타나는약재이다
감초는 한번에 2그램에서 8그램 정도 달여서 먹거나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