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clien.net/service/board/lecture/17108949
사실 이 논문은 리뷰를 할까 말까 하다가 그냥 접었었습니다.
이유는 굳이 이런 논문까지 비전공자들께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쪽 분야에 계신 분만 보시고 알고 계시면 되는 논문이라서 그냥 넘어가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논문이 외신에서 기사화 되었고, 그 기사를 받은 한국 언론의 기사가 나오면서 많은 분들에게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https://www.reuters.com/world/middle-east/israeli-study-shows-4th-shot-covid-19-vaccine-not-able-block-omicron-2022-01-17/?utm_source=reddit.com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3057931
그래서 이 논문이 실제로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설명 드리는 것이 혼란을 막을 수 있겠다 싶어서 리뷰를 하기로 했습니다.
'나는 전문가들이 시키는대로 백신 맞으라고 하면 맞고, 아니라고 하면 기다리고 하겠다'라고 생각하신다면, 이 리뷰를 안 보셔도 상관없습니다. 비 전문가 일반인들에게는 사실 별로 중요한 내용이 아닙니다.
원문은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3월 16일자로 발표된 보고서입니다.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c2202542
연구는 이스라엘의 Sheba Medical Center에서 일하는 의료진 1050명을 대상으로 화이저 (154명, 대조군 308명) 또는 모더나 백신 (120명, 대조군 239명)을 4차 접종하고 추적 관찰하였습니다. 참여자의 자세한 정보는 부록에 상세하게 실려있습니다.
여기서 대조군은 백신을 안 맞은 사람이 아니라, 백신 3차 접종을 한 사람입니다. 이 점에 유의해서 보셔야 합니다.
4차 접종에 따른 부작용은 3차 접종 때와 특별히 다른 바가 없었고, 자세한 내용은 역시 위의 부록에 실려있습니다.
먼저, 4차 접종이 항체를 얼마나 더 많이 유도하는지를 보았습니다.
먼저, 화이저 백신을 2차 접종하고 4주가 지난 경우는 전체 항체 (IgG) 유닛 수치가 950이었는데, 3차 접종을 하고 4주가 지난 후는 이것이 2102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파란 화살표). 이는 대충 면역계가 3차 백신 접종에 의해서 2배 이상 더 활성화 되었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에게 4차 접종을 했는데, 3주가 지난 후에도 2684로 3차 접종에 비해서 그렇게 많이 상승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빨간 박스). 이 얘기는 4차 접종을 해도, 3차 접종 때와 비교해 면역계가 그렇게 많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즉, 3차 접종을 통해서 상승한 면역계의 활성화가 거의 맥시멈에 가까운 수준이고, 4차 접종을 해도 더 이상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델타 변이가 번질 당시에 논란이 되었던 것이, 델타 변이에 대응하는 백신을 다시 만들어서 추가 접종을 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백신을 한번 더 접종 (3차 접종)해서 대응할 것인지 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같은 백신을 한번 더 접종하면 면역계가 더 활성화 되어서 변이용 백신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결론을 지었고, 그래서 3차 접종을 하였던 것입니다.
그런데,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해서, 기존과 동일한 백신을 한번 더 (4차) 접종해서 면역을 끌어 올려서 대응하자는 아이디어는 효과적이지 못할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4차 접종 후에 중화항체의 중화 능력도 측정해 보았습니다.
화이저 백신이나 모더나 백신이 거의 비슷한 패턴을 보였구요, 3차 접종 5개월 후 줄어들었던 중화항체가 4차 접종을 하고 난 이후에 상승하였는데요, 검정색으로 표시한 기본형 코로나19에 대해서는 백신이 유도한 중화항체가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려진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빨간색으로 표시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3차때 보다는 상승했지만, 107.6으로 중화 반응성이 많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형 바이러스 중화 타이터인 1407.0과 비교해 1/10도 안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라색 화살표). 즉, 기존의 백신을 4차로 접종해도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특이적 항체가 효과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건 기존의 백신이 기본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델타 변이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반응하였지만 (타이터 645.1),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잘 반응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런 두 가지 이유로 기존의 백신을 한 번 더 접종해서 4차로 접종하는 것은 오미크론 방어에 효과적이지 못할 것이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입니다. 이 얘기는 다시 말해서 오미크론용 백신을 개발해서 그 백신으로 4차 접종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4차 접종을 했던 사람 중에서 돌파 감염자가 발생하였고, 4차 접종을 하지 않은 대조군 (3차까지 접종한 사람들)과 비교해서 4차 접종의 효과를 계산한 데이터는 부록 22페이지에 실려있습니다.
화이저 백신의 경우 4차 접종자에서 28명, 3차까지 접종자에서 46명의 돌파 감염이 확인되었고, 모더나 백신의 경우 4차 접종자에서 24명, 3차까지 접종자에서 36명의 돌파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이걸 바탕으로 4차 접종의 효과를 계산하면 빨간 박스 (화이저), 파란 박스 (모더나)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것은 4차 접종과 3차 접종 사이를 비교한 것입니다. 즉, 4차를 맞으면 3차까지만 맞은 사람보다 30~43.1% 더 추가로 방어력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모더나는 10.8~31.4%).
요약)
1. 기존의 백신을 추가로 4차 접종을 해도 면역계 활성화가 3차 접종에 비해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 이는 3차 접종에서 이미 맥시멈 활성화에 이르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2. 기존 백신으로 유도된 중화항체가 오미크론 변이를 잘 중화하지 못한다.
3. 1과 2의 이유로 기존 백신을 한번 더 추가로 4차 접종하여서 면역을 끌어 올려서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는 방식은 효과적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오미크론용 변이 백신을 개발하여 그걸로 4차 접종을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4. 기존 백신을 4차로 접종했을 때, 추가로 얻어지는 백신의 방어 효과는 화이저는 약 30~43.1%이며, 모더나는 10.8~31.4%로 계산되었다. (이건 4차 접종자와 미접종자를 비교해서 얻은 수치가 아니라, 4차 접종자와 3차 접종자를 비교하여 얻은 수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획득한 면역에 추가하여 이만큼 더 상승할 것이라는 의미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추가) 면역계에 문제가 있어서 면역 구성이 잘 안되시는 분들은 당장에 4차 접종을 하시고, 후에 변이용 백신이 나오면 그것도 접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오해하실 분이 계실까 싶어서 사족을 달아봅니다.
첫댓글
백신은 가치관의 문제입니다. 부작용도 가치관의 문제로 오는듯 합니다. 옹호론자는 부작용이 기저질환으로 변하는거죠...반대로 백신 비관론자는 기저질환이 부작용으로 오는거고...사실 요즘들어 과학적 사고가 중요한지 잘은 모르겠습니다. 언론이 과학적이지 않고 사회생활하면 걍 중세시대나 지금이나 같다고 보입니다
2022 코로니진상규명의사회가 기자회견 성명서 작년12월, 1월, 3월" 백신국민통제, 살해, 유전자변형" 주장하고
관련자 구속수사하라!! 외치는데 왜 언론보도는 안할까요, 이은미산부인과의사가 백신을 정밀현미경 조사해서
기생충,이물질엄청 발견되었고.,추가 영상촬영폭로 왜 감출까요? 접종사망자 2000명, 비공식 3000명이상
비가노대주교, 의료노벨릭몽타니, 로버트말론박사, 서울대이왕재교수등 백신안 이물질, 통제물질, 기생충
경고하고 접종할수록 확진자폭증, 유전자변형 주장하는데 왜 보도 안할까요??, 화이자는 백신원료공개 75년
후 하는데왜 그렇까요??
백신5종 청와대에서 정밀현미경 공개검증하면 끝나죠 !! 1년동안 백신 더러움 유전자변형을 외쳤고\,
국민들 이제 진실알아 가지요, 의사들, 전문가들, 고위관료는 절대 접종하지 않습니다
1차, 2차접종87% 3차접종 63% 청와대도 문통도, 정부도 교황도 백신 권고하는데 국민들은 왜 1,2차에 비해서
그 좋은 백신을 접종을 안할까요? 접종자중 직업상 불가항력으로 접종한 사람이 많고, 특히, 대학생 친구때문에
만나고 놀기위해 접종 많이 했더군요. 4차접종을 또하라구요 아마 50% 정도-
기초 의학 하시는 분이신가 보군요. nejm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