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를 읽지 않은 사람도 논어 위정 편에 나오는
오십유오이지우학(吾十有五而志于學),
삼십이립(三十而立),
사심이불혹(四十而不惑),
오십이지찬명(五十而地天命),
육십이이순(六十而耳順),
칠십이종심소욕불유거(七十而從心所欲不諭거),라는 유명한 이야기를 한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문리가 트였고,
마흔 살에 미혹됨이 없었다.
쉰 살에는 하늘의 뜻을 알았고,
예순이 되서는 듣는 귀가 순해졌다.
일흔에는 하고자 하는 말을 하는 데도 거침이 없더라.
공자가 늘그막에 삶의 궤적을 반추하며 나이와 배움의 성장 과정을 이야기한 것이라고 한다.
不惑은 자신의 주장이 보편 타당해 미혹됨이 없다는 뜻이다.
이를 학문 이외의 다른 분야로 확대해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모든 분야에서 주의 주장에 머물지 않고 그 주장이 일리가 있고, 보편 타당해야 불혹의 나이라 할 수 있다.
불혹은 그런대로 이해할 수 있지만 地天命은 너무 추상적이다.
천명의 사전적 의미는 수명, 운먕, 하늘의 명령이다.
그런데 이걸 어떻게 안단 말인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인들에게 물었다.
두 사람의 대답이 기억난다.
40대였던 한 지인은 '세상에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아는 나이인 것을 아는 나이인 것 같다'고 말했다.
50대 지인은 '세상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아는 나이'라며 빙긋이 웃었다.
유레카! 철학의 시작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고 하지 않는가.
두 사람의 공통점은 '자기 자신을 아는 것'내가 할 일과 할 수 없는 것을 알고 실천하는 나이가 쉰 살 지천명이 아닐까.
나름대로 내린 결론이다.
앞선 세대만 해도 인문학적 상상력이 풍부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엔 인문학적 상상력이 부족하다.
오죽했으면 정부가 이를 채우기 위해 300개 기업에 예술인 1000명을 파견하기로 했을까.
불혹과 지천명의 세대인 우리 사회의 40대,50대도 인문학적 상상력이 빈곤하기는 마찬가지다.
문제는 이들 세대가 우리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세대라는 점이다.
19대 국회 246개 지역구 당선자의 연령 분포를 보면 40대가 66명, 50대가 118명으로 전체의 72.4%를 차지한다.
또 대한민국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40~50대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70%이상이다.
고위공직자는 대부분이다.
40대, 50대가 우리 사회를 견인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비서고나이 더민주에 암입당하면서 '지천명 운운'했다고 한다.
그가 '지천명'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한 것인지 궁금하다.
아리랑TV 사장 등 고위 공직자 비리가 하루가 멀다 하고 이어진다.
이런 게 다 '나잇값만 제대로 해도 우리 사회의 청렴도는 한층 높아질 거라는 생각이 든다. 강동형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