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 및 전망에 대한 분석 보고서* 발표(’23.07)
* 「OECD Employment Outlook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abour Market」
○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AI 활용의 잠재력과 범용성이 확대
- AI의 지각 및 학습 속도, 연역적 추론 기능은 단기간에 급속하게 발전했으며, AI는 그간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졌던 대화와 창작의 영역까지 섭렵
- 특히, ChatGPT의 출시(’22.11)는 AI의 잠재력과 산업 전반에 대한 AI의 파급 가능성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계기로 작용
○ AI 도입으로 인해 산업 내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의 이점이 있으나, 일자리의 대체 및 소멸에 대한 두려움을 야기
* AI는 단순 노동의 자동화를 넘어 인지적, 육체적인 작업으로도 역할을 확대
○ OECD는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 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
- 노동 수요, 일자리의 질, 요구되는 역량 등 AI로 인한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변화를 진단하고, 직장에서의 신뢰할 수 있는 AI 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사례 분석
□ 본 리포트에서는 OECD의 「OECD Employment Outlook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abour Market(’23.07)」 중 AI로 인해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에 관한 내용을 요약・정리*
* 본문 중 ‘5장. AI 시대의 역량 수요와 정책’ 중심으로 요약·정리
○ OECD는 AI 도입에 따른 역량 수요 변화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 정책의 사례를 분석하고, AI의 교육 시스템 개선 기회와 한계점 도출
- (역량 수요 변화)AI 기술의 발전 및 도입 확대로 인해 AI 시스템 개발 역량과 AI 응용·활용 역량과 더불어 인지 역량 및 횡단적 역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
- (대응 사례 분석) 기업은 AI 역량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훈련을 시행하며, 주요국은 미래 스킬 요구 예측, AI 및 횡단적 역량 강화, 고용주의 참여 촉진 등 추진
- (교육 시스템 개선 기회와 한계) AI는 새로운 교육 수요를 창출하는 동시에 교육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나, 학습자의 기초 역량 저하, 교육 참여 소외 가능성 등 한계 존재
○ 우리나라도 AI를 비롯한 디지털 인재 양성 및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부 정책을 점검하고, AI 도입으로 인한 역량 수요와 교육 환경 변화를 고려한 체계적인 정책 이행 필요
https://www.hrstpolicy.re.kr/kistep/upload/file/202311311_1335100000.pdf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2023년 OECD 고용 전망 : AI 시대 역량 수요와 정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2023년 제 10호내 용 1. 개요 2. AI로 인한 역량 및 교육 수요 변화 3. AI 도입 애로사항 및 역량 변화에 대한 대응 4. 교육 시스템의 AI 활용 및 영향 5. 정리 및 시사점 ❚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2 2023년 OECD 고용 전망 : AI 시대 역량 수요와 정책 01. 개요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 및 전망에 대한 분석 보고서* 발표(’23.07) * 「OECD Employment Outlook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abour Market」 ○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AI 활용의 잠재력과 범용성이 확대 - AI의 지각 및 학습 속도, 연역적 추론 기능은 단기간에 급속하게 발전했으며, AI는 그간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졌던 대화와 창작의 영역까지 섭렵 - 특히, ChatGPT의 출시(’22.11)는 AI의 잠재력과 산업 전반에 대한 AI의 파급 가능성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계기로 작용 ○ AI 도입으로 인해 산업 내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의 이점이 있으나, 일자리의 대체 및 소멸에 대한 두려움을 야기 ※ AI는 단순 노동의 자동화를 넘어 인지적, 육체적인 작업으로도 역할을 확대 ○ OECD는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 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 - 노동 수요, 일자리의 질, 요구되는 역량 등 AI로 인한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변화를 진단하고, 직장에서의 신뢰할 수 있는 AI 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사례 분석 □ 본 리포트에서는 OECD의 「OECD Employment Outlook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abour Market(’23.07)」 중 AI로 인해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에 관한 내용을 요약・정리* * 본문 중 ‘5장. AI 시대의 역량 수요와 정책’ 중심으로 요약·정리 2023년 제10호 ❚3 02. AI로 인한 역량 및 교육 수요 변화 □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AI의 인지적 기능과 기계 조작 능력이 크게 진보 ○ AI의 기능은 인식 기능과 도메인 지식, 인과 추론 및 지속적인 학습 능력이 결합된 형태인 인지기능으로 영역 확대 ※ AI 시스템에 의해 창작된 음악 및 미술 등이 인간이 수행한 것만큼 수준이 높음 ※ 2017년 수행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에서 AI는 기본적인 문해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2023년 성인의 문해력의 약 80%까지 역량이 발전 ○ 또한, 비좁은 작업장에서의 수작업, 손재주와 같은 심동적인 능력이 크게 발전 ※ 딥러닝, 로봇의 조작, 물체 이동 속도 등 실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을 정도의 진보를 이룸 □ AI 도입으로 인해 AI 전문 역량과 AI 응용·활용 능력에 대한 수요 증가 ○ AI 시스템 개발 및 유지를 위한 역량 대한 수요 증가 - AI 전문 역량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 ※ 미국의 온라인 구인 공고를 분석한 결과, 2010년~2019년 사이 SW 역량에 대한 수요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AI 전문성에 대한 수요는 4배 증가 - AI 기술로 인해 AI 전문 역량이 요구되는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 1) AI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가르치는 교육 인력, 2) 알고리즘의 작동과 서로 다른 결괏값 도출 등 AI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는 인력, 3) AI 시스템의 작동 및 오류 점검 등 AI 시스템을 확인하는 유지 인력 - AI 전문성을 갖춘 인력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등 인지 역량, 사회적 스킬 및 관리 역량과 같은 횡단적 역량(Transversal skills)도 상호 보완적으로 필요로 함 ○ A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상호작용 능력에 대한 수요 증가 - AI 도입이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스킬의 변화가 극적이지 않을 수 있음 ※ AI가 새로운 업무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있던 업무의 순서나 상대적 중요도에만 영향을 끼치거나, 직원들의 기존 역량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우 등에 해당 - 다만, AI 도입으로 인한 A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상호작용을 위해 보다 광범위한 디지털 역량, 분석 및 횡단적 스킬에 대한 수요가 증가 ※ 단순 업무의 자동화로 인해 근로자에게 전문 지식, 새로운 아이디어의 이해 및 적용과 같은 분석적인 스킬을 필요로 하며 협업 등 소프트스킬 및 상호작용 스킬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함 ※ AI 응용 프로그램은 주로 사용자 친화적, 직관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회사 중 10%가 전문가 수준의 코딩 또는 데이터 스킬을 요구하며, 59%는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필요 ❚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4 ○ AI로 인한 역량 수요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 기회 마련 필요 - (AI 시스템 개발 및 유지) 학문 측면에서의 지식 증진과 실무 경험 필요 - (A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상호작용) AI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필요 * AI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지식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AI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AI 지식, 개념, 응용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 AI를 평가하고 이행하여 AI 알고리즘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결괏값을 비판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컬음 구분 역량의 종류 예 AI 시스템 개발 및 유지를 위한 역량 (Skills to develop and maintain AI systems) AI 전문 역량 (Specialised AI skills) · AI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 AI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 * 의사결정 트리, 딥러닝, 인공신경망, 랜덤 포레스트 · AI 툴 * 및 AI 소프트웨어** * Tensorflow, Python 등 ** Java, Gradle 등 데이터 사이언스 역량 (Data science skills) · 데이터 분석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 시각화 · 클라우드 컴퓨팅 기타 인지 역량 (Other cognitive skills) · 창의적인 문제 해결 횡단적 역량 (Transversal skills) · 사회적인 스킬 · 관리 역량 AI 응용 프로그램의 도입·사용·상호작용을 위한 역량 (Skills to adopt, use and interact with AI applications) 기초 AI 지식 (Elementary AI knowledge) · 머신러닝의 원리 디지털 역량 (Digital skills) · 컴퓨터,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기타 인지 역량 (Other cognitive skills) · 분석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 비판적 사고 · 판단 횡단적 역량 (Transversal skills) · 창의성 · 의사소통 · 팀워크 · 멀티테스킹 [표 1] AI 시대의 역량 수요 2023년 제10호 ❚5 □ AI 도입에 대응하기 위한 근로자 유형별 교육 강화 필요 ○ 저숙련 및 고령 근로자 등 자동화 고위험 직군 대상 AI 교육 강화 필요 - 저숙련 및 고령 근로자는 직무 시 AI 활용에 특히 취약하며, 이들을 위한 AI 교육은 신중하게 설계 및 조정되어야 함 ※ 기술의 활용 가능성이 풍부한 환경에서 노년층은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문제 해결 능력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저숙련 및 고령 근로자는 디지털 기술을 보유할 가능성과 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작음 ※ 저숙련 근로자들이 교육 및 훈련 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중간/고급 숙련자들의 참여율 대비 유럽연합 평균 8%p 낮음 ※ 2015년 노인(54세 이상)과 장년층(25~53세) 간 재교육 참여율 평균 격차는 약 22%p - 더욱이 고령 근로자는 동료들로부터 AI 기술에 대해 특히 회의적이고, 걱정되는 존재로 인식되어 이로 인해 적응하려는 욕구와 능력이 제한될 수 있음 ○ 고숙련 근로자를 AI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 고숙련 근로자는 반복적이지 않은 인지 작업을 주로 수행하며, 이로 인해 AI에 가장 많이 노출됨 ※ 비즈니스 전문가, 관리자, 최고 경영자, 과학 및 엔지니어링 전문가 - 고숙련 근로자가 직무 구성의 변화에 적응하고, AI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 AI에 대한 기초 지식 등의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 - AI 도입은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기업 문화에 중요한 변화를 수반하며, 관리자와 비즈니스 리더가 이로 인해 업무와 조직 구조를 재구성해야 하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AI 교육 필요03. AI 도입 애로사항 및 역량 변화에 대한 대응 □ 기업은 역량 및 체계 부족으로 인해 AI 도입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훈련 시행○ 기업이 AI 도입 시 역량 부족이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 - 기업은 AI 관련 역량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음 ※ OECD의 AI 조사에 의하면, 금융(41%) 및 제조(43%) 고용주 약 40%가 관련 역량 부족이 AI 도입의 장벽이라고 밝힘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20년 유럽 전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에 의하면, 대체로 사내 기존 직원의 AI 관련 역량이 부족하고, 필요한 역량을 갖춘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데 어려움이 겪는 것으로 나타남 - 관리자의 AI에 대한 이해 부족도 AI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큰 장벽으로 작용 ※ AI를 활용하여 작업장에 대한 문제 해결 시 관리자의 AI에 대한 인식 부족이 심각한 장벽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6 ○ 기업의 데이터 수집 메커니즘의 부재가 AI 도입의 장애 요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남 - 일반적으로 데이터 품질 보증 프로세스,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 방법, 개인 정보 보호, 데이터 보안 및 윤리적 고려사항,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데이터 수집 메커니즘이 부족 - 하지만, 기업이 질 좋은 데이터 수집 및 처리하는 것 또한 역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해당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기업이 풍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더라고 방대한 양의 정보의 처리, 정리, 분석 및 품질 보장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 기업은 AI로 인한 역량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훈련을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활용 - OECD의 AI 조사에 의하면, 금융 부문은 64%, 제조업 부문의 71%가 AI로 인한 역량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훈련을 시행한다고 응답 ※ 활용하는 AI 기술이 단순한 경우, 웨비나, 프레젠테이션, 워크숍 등의 형태로 직원에게 AI 기술을 소개하거나 기본 기능에 대한 개요, 직무 전환에 대한 교육 훈련 제공 - AI를 사용하는 근로자 절반 이상이 AI로 일할 수 있도록 회사에서 교육을 제공하거나 자금을 지원한다고 응답 [그림1] AI가 역량 수요 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법 출처 : OECD(2022), AI가 직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OECD 고용주 설문조사 주 : 오스트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영국, 미국 등 7개국 대상 설문조사 실시 □ 주요국은 AI 도입으로 인한 역량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역량 수요 예측 및 교육·훈련 추진○ AI 사용 확대에 따른 미래 스킬 요구에 대한 예측 추진 - 영국은 국가 AI 전략*을 통해 근로자들이 직업 환경에서 AI 활용을 위해 필요한 스킬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연구 활동에 대한 투자 발표 * National AI Strategy(’21.9) 2023년 제10호 ❚7 ○ AI 파급력을 고려하여 다양한 AI 훈련 프로그램 추진 - 스페인의 경우, 국가경제재건계획* 內 ‘추진과제 19. 디지털 역량 강화 계획’을 통해 AI에 관한 기본/중급/고급 교육, 기업 대상 교육 등 광범위한 모듈 포함 * Recovery, Transformation and Resilience Plan(’21.4) ※ 중급 및 고급 교육과정에 ‘인공지능 및 알고리즘 입문’, ‘기업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등 포함 - 핀란드는 비전문가의 AI 활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무료 온라인 강좌* 제공 * Element of AI : 헬싱키 대학이 기술 교육 회사인 MinnaLearn과 합작하여 핀란드 인구의 1%를 훈련하겠다는 목표로 ‘Element of AI’라는 MOOC 프로그램을 개발(’18) ○ AI 훈련에 대한 고용주의 참여 촉진 - 노르웨이 정부는 ‘노르웨이 AI 국가 전략’ *을 통해 직원 및 고용주와 협력하여 산업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 추진 *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20.1) - 이탈리아 정부는 비즈니스의 기술 및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역량 강화 교육을 추진하는 모든 기업 대상으로 세액공제 추진* * Training 4.0(’21~’22) : 빅데이터 및 데이터 분석,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의 분야가 포함되며, 직원의 교육 참여 비용, 교육 프로젝트와 관련된 컨설팅 비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비용 등에 대해 세액을 공제 ○ AI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현장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캐나다의 국립 인공지능 연구소 중 하나인 벡터연구소는 관리 및 기술직 직원들의 역량을 향상하고, AI 응용에 대한 인식 증진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제공 ※ 개인들이 실제 AI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기회와 장애요인을 분석 - 미국의 디지털 제조 및 사이버보안 연구소(MxD)는 근로자에게 선도 기업이 개발한 첨단 기술에 대한 강좌를 제공하고, 기업이 AI 역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 횡단 역량과 같은 보완적 역량에 대해 중요성을 두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 추진 - 아일랜드는 ‘국가 AI 전략’ *을 통해 대학과 기업의 디지털 역량 교육 확대를 강조했으며, 커뮤니케이션 역량, 협업 역량도 초등교육부터 이후 커리큘럼에 담길 수 있도록 추진 * AI – Here for Good: A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y for Ireland(’21.7) - 룩셈부르크의 ‘AI 전략 비전’ *은 AI 입문, 법, 경영, 인문과학, 자연, 건강 등 다른 학문과 AI를 통합하는 디지털 훈련 프로그램 등을 개발 * Artificial Intelligence: a strategic vision for Luxembourg(’19.5) ❚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8 ○ 공공행정 수준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AI 역량 강화 - 캐나다의 공공서비스 학교의 디지털 아카데미*는 공무원이 AI 및 머신러닝을 포함한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 * School for Public Service’s Digital Academy(’18.10~) - 프랑스 최고행정법원은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AI를 구현하는 데 인적·기술적자원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데이터 전문가 채용과 공공 관리자 교육을 우선순위로 하는 공식 성명* 발표 * Turning to artificial intelligence for better public service(’20.10) - 미국은 「AI 훈련법」 *을 통해 연방 인력의 기술 이해도를 높이고, 정부의 기술 사용에 대한 잠재적 이점과 위험 파악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발표 * 「AI Training Act」(’22.10) ○ 교육자를 위한 AI 교육 투자 - 스페인 교육 및 직업 훈련부는 지역 교육청과 협력하여 컴퓨팅 사고 및 AI 학교*를 설립하여 교사 훈련 프로그램, AI에 대한 교육 실습 연구 등 추진 * School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EPCIA)(’18) 04. 교육 시스템의 AI 활용 및 영향 □ AI는 새로운 교육 수요를 창출하는 동시에 교육 시스템 개선에 활용 가능 ○ AI는 훈련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될 수 있음 - AI는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부합하는 훈련 제안 ※ 예 : 유럽 직업 훈련 개발 센터(Cedefop)는 유럽을 위한 온라인 구직 분석 툴(Skills Online Vacancy Analysis Tool)을 구축하기 위해 유럽 28개국에서 수집된 1억 개 이상의 온리인 구인 광고에서 수집한 정보 처리 및 분석 - AI는 개인의 정규 교육 분야, 경력 등을 기반으로 한 역량 특성화된 프로필을 작성 가능 ※ 예 : 벨기에 플랑드르 공공 고용 서비스인 VDAB에서 AI 도구인 Competence-Seeker를 적용하여 구직자의 CV를 보완하는 서비스 제공 - AI는 개인에게 적합한 교육과정을 식별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예 : 스타트업 Boostrs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활용하여 이를 사전에 정의된 스킬 범주로 자동 변환함으로써 특정 스킬을 습득하려는 개인에게 관련성이 높은 훈련 선택지 제공 2023년 제10호 ❚9 ○ AI를 사용하여 교육을 제공하고 개인화할 수 있음 - AI를 사용하여 수업 자료 개발 가능 ※ 예 : ChatGPT를 수업 개요 및 커리큘럼, 목표, 활용 및 평가 목록이 포함된 강의 계획 개발, 시험문제 출제, 학습자와 대화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가상 교사로 사용 가능 - AI를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하여 가상으로 직업 훈련 제공 가능 ※ 예 : 가상현실 수술 훈련을 통해 의료 전문가 양성 등 실습 중심 교육의 가용성을 확장 - AI를 활용하여 교육 콘텐츠를 개인 맞춤화하여 교육활동을 단축 ※ 예 : 언어 학습 플랫폼인 Duolingo는 개인의 수준을 AI로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자료 제공 □ AI를 교육 시스템에 활용함으로써 역량, 교육 참여도 및 포괄성에 영향을 끼침 ○ 교육에 AI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학생이 역량 개발에 영향을 미침 - 교사가 AI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디지털 역량을 보유해야 하며, AI 활용에 대한 이점과 위험을 잘 이해하기 위해 AI에 대한 기본 지식 필요 - AI 기반 교육 도구를 사용하면 학습자의 수학적, 관념적인 추론에 대한 능력과 쓰기 표현 기술, 지식 습득 역량이 저하될 리스크가 있음 ○ AI 기술은 교육 참여도와 포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①훈련 모듈화를 통해 훈련 기간 감축, ②원격 교육 및 단기화로 인해 시간 제약 완화, ③교육과정의 개인 맞춤화로 인해 훈련 참여 증진 가능 - AI를 활용한 텍스트-음성, 음성-텍스트 변환 및 번역 기술로 인해 청각 및 시각 장애가 있거나, 언어 장벽이 있는 개인의 훈련 참여 확대 - 하지만, AI를 교육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및 인프라 개발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중소기업, 또는 경제적 여유가 없는 개인의 교육에 대한 소외 우려 - 또한, 디지털 기술에 대한 숙련도가 낮은 개인의 참여가 제한될 수 있음 ❚ 과학기술인재정책 동향리포트 10 05. 정리 및 시사점 □ OECD는 AI 도입에 따른 역량 수요 변화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 정책의 사례를 분석하고, AI의 교육 시스템 개선 기회와 한계점 도출 ○ (역량 수요 변화) AI 기술의 발전 및 도입 확대로 인해 AI 시스템 개발 역량과 AI 응용·활용 역량과 더불어 인지 역량 및 횡단적 역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 ○ (대응 사례 분석) 기업은 AI 역량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훈련을 시행하며, 주요국은 미래 스킬 요구 예측, AI 및 횡단적 역량 강화, 고용주의 참여 촉진 등 추진 ○ (교육 시스템 개선 기회와 한계) AI는 새로운 교육 수요를 창출하는 동시에 교육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나, 학습자의 기초 역량 저하, 교육 참여 소외 가능성 등 한계 존재 □ 우리나라도 AI를 비롯한 디지털 인재 양성 및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부 정책을 점검하고, AI 도입으로 인한 역량 수요와 교육 환경 변화를 고려한 체계적인 정책 이행 필요∙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기관의 공식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IITP 글로벌협력팀 강현주 책임 | 042-612-8234 | hjkang@iitp.kr KISTEP 인재정책센터 김지홍 부연구위원 | 043-750-2513 | jhpatrik@kistep.r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