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산악회에 가입한 이 후에 명사십리와 명사포란 별명(nickname)을
쓰다보니 "아름다운 자연의 표상"이란 카페에서 쓰는 닉네임과 겹쳐서 그런지?
문자로나 카톡으로의 게시물 발송이 되질 않아서 2024년1월10일 다녀온 남파랑길
46코스 자료부터 게시물 작성자의 필명(筆名)을 명사십리와 명사포(鳴沙浦) 내고향
서남해(西南海) 바다의 푸른 물결과 해변의 풍경을 표명(表明)하며 파도가 부서지면서
운다는 뜻을 지닌 청해명파(靑海鳴波)로 고칩니다
태안신두리해안사구[泰安 薪斗里 海岸砂丘]
Coastal Dune in Sindu-ri, Taean
2001년 11월 3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사구는 태안반도 북서부의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에 자리잡고 있으며, 규모는 해변(海邊)을 따라 길이 약 3.4㎞, 너비 500m∼1.3㎞로, 사구의 원형이 잘 보존된 북쪽 지역 일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신두리 해안의 만입부에 있는 사빈(砂濱)의 배후를 따라 분포하는데, 겨울철에는 강한 북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신두리 해안은 모래로 구성되어 있어 간조 때가 되면 넓은 모래 개펄과 해빈이 노출된다. 모래가 바람에 의해 개펄과 해변에서 육지로 이동되어 사구가 형성되기에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다.
해안사구는 해류에 의해 사빈으로 운반된 모래가 파랑(波浪)으로 밀려 올려지고, 그곳에서 같은 조건에서 항상 일정하게 불어오는 탁월풍(卓越風)의 작용을 받아 모래가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된 퇴적지형이다. 해안사구는 모래 공급량과 풍속·풍향, 식물의 특성, 주변의 지형, 기후 등의 요인에 따라 형성과 크기가 결정된다. 해안사구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의 양을 조절하여 해안을 보호하고, 내륙과 해안의 생태계를 이어주는 완충적 역할을 하며, 폭풍·해일로부터 해안선과 농경지를 보호하고, 해안가 식수원인 지하수를 공급하며, 아름다운 경관 등을 연출한다 독특한 지형과 식생이 잘 보전되어 있고, 모래언덕의 바람자국 등 사막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경관과 해당화 군락, 조류의 산란장소 등으로 경관적·생태학적 가치가 높으며, 규모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태안편, 신두리 지리여행[-Sinduri Geotravel]
서해안 지도를 들여다보면 바다 쪽으로 도드라져 나온 부분이 보인다. 태안반도다. 손으로 따라 그리기도 어려운 구불구불한 해안선이 예술이다. 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굴곡진 해안. 그 속에는 어떤 얘기가 담겨 있을까? 발걸음을 옮겨보기로 하자. 충남 태안은 볼 곳이 천지다. 530km의 리아스식 해안 전부가 명소다. 드넓은 해수욕장이 30여 개나 있다. 섬도 백 개가 넘는다. 그래서 국내 유일의 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최근 100km가 넘는 해변길이 조성되면서 사람들이 더 몰려들고 있다. 이런 태안의 해안이지만 이중에도 으뜸은 있다. 원북면에 위치한 신두해변이다. 신두해변은 우리가 잘 아는 만리포에서 1시 방향으로 7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에는 다른 곳에 없는 두 가지 볼거리가 있다. 천연기념물인 신두사구(薪斗砂丘)와 람사르습지1)인 두웅습지가 바로 그것. 이 둘은 신두리 지리여행의 핵심 콘텐츠다. 신두사구는 국내 최대의 해안사구이며, 두웅습지는 국내 제일의 해안배후습지다.
본디 신두해변을 따라 펼쳐진 사구의 전체 길이는 3.5km. 이중 ‘한국의 사막’으로 불리는 천연기념물(제431호, 2001년 지정) 구역은 신두사구 북쪽의 길이 1.5km, 최대 폭 1.3km 구간이다. 최대 높이 19m2)를 정점으로 하여 좌우로 끝없이 펼쳐진 사구가 장관이다(아래 사진). 신두사구는 북서풍을 정면으로 받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북서계절풍이라는 탁월풍이 신두사구를 만든 것이다. 그래서 겨울에 이 사구는 성장한다. 신두사구는 언제 만들어진 것일까? 갑자기 신구사구의 역사가 궁금해진다. 사구는 보통 마지막 빙기인 뷔름(Würm) 빙기를 기점으로 그 이전을 고사구(古砂丘), 그 이후를 현생사구(現生砂丘)라 부른다. 약 1만 년 전부터 쌓이기 시작한 후빙기의 현생사구층이 수십만 년 전 최후간빙기 때 형성된 두터운 고사구층을 덮어 지금의 사구를 만들고 있다. 신두사구도 현생사구 밑에 고사구가 자리하고 있다. 그 증거로 신두사구에서 발견되는 적색 모래층을 들 수 있다.3) 적색 모래층은 고사구 모래층으로 현생사구의 밝은 모래층과 구분된다. 모래가 붉은 색을 띠는 이유는 풍화를 받은 산화철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두사구 남쪽에는 해안 배후습지가 있다. 길이 200m, 폭 100m. 수심 3m의 두웅습지다(아래 사진). 사구 후면에 발달되어 있어 사구배후습지라고도 불린다. 규모가 작은 두웅습지지만 이 습지는 우리나라 해안사구에 인접한 습지로는 규모가 제일 크고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와 금개구리, 표범장지뱀을 비롯한 수백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람사르습지로 등록돼 있다. 두웅습지는 희귀 야생동식물의 보금자리이자 이들을 관찰할 수 있는 둘도 없이 귀중한 생태학습장이다.
두웅습지 형성은 신두사구 형성과 궤를 같이 한다. 사구가 만들어지면서 모래 속으로 오랜 시간동안 빗물이 들어가 지하수가 됐고, 그 지하수가 지대가 낮은 사구 뒤편으로 모여들어 사구배후습지를 만들었다. 두웅습지를 둘러싼 주변의 낮은 구릉지는 두웅습지로 물을 지속 공급하고 있는 물탱크다(아래 사진). 여기서 새로운 사실 한 가지. 1919년 일제강점기 때 제작된 지형도를 보면 ‘두웅’이 아니라 ‘두응(斗應)’으로 표기돼 있다. 만약 발음의 편리상 두응이 두웅으로 회자되고 있는 것이라면 당장 두응으로 바로 잡을 일이다. 원래 신두사구 주변 지형은 현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아래 사진(a)에서 보듯 지금은 신두사구 주변이 방조제로 전부 막혀 있으나 1919년 당시만 해도 신두해변 북쪽과 남쪽은 만(灣)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아래 사진(b)). 해안으로 몰려든 연안류가 자유롭게 신두해변 위 아래로 들락거리며 앞쪽 해안에는 모래를, 뒤쪽 만에는 펄을 쌓아 각각 사빈(sand beach, 강에서 운반된 모래 또는 해안 침식으로 생긴 모래가 퇴적돼 만들어진 모래해안)과 갯벌을 만들었다. 반복된 밀물과 썰물의 분급(分級)작용4)이 신두사구를 건강하게 유지, 발달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신두해변 주변에 방조제가 생기기 시작했다(아래 사진(b)의 흰색선). 그 결과 바닷물의 흐름이 막혀 토사의 퇴적환경이 크게 바뀌고 말았다. 만이 사라지는 바람에 펄이 쌓일 장소가 없어져 신두해변에 펄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 결과 사구로 불어드는 모래량이 방해받기 시작했다. 현생사구의 형성 메커니즘이 바뀌게 된 것이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신두사구는 버려진 구석진 땅이었다. 공사용 모래더미였다. 모래 선별기가 동원돼 트럭에다 모래를 쓸어 담을 정도였으니 지금으로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신두사구의 대부분이 사유지인 탓에 천연기념물 지정도 어려웠다. 토지 소유주가 일부러 쓰레기를 투척하기도 했었다. 지금의 신두사구는 이를 이겨낸 민과 관의 합작품인 것이다. 최근 또다시 신두사구 보존을 위한 힘겨운 싸움이 시작되고 있다. 사구를 뒤덮고 있는 식생을 걷어내 신두사구를 사구답게 복원시키는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돗토리사구가 멘토다(아래 사진). 1994년부터 사구 잡초를 자원봉사자들 맨손으로 걷어내 사구를 훌륭하게 복원시킨 그들의 자부심이 부럽다. 현재 태안군도 문화재청의 승인을 얻어 사구 후면부의 초지 1/3 가량을 제거, 자연 본래의 사구경관 회복을 위해 애쓰고 있다. 일본의 돗토리사구 모습해발고도가 98m나 돼 우리나라의 사구와는 경관적으로 차이가 난다.
사실 신두사구 보존의 근본적 문제는 사구의 절대 면적 감소 우려에 있을지도 모른다. 현재 신두해안에는 모래 포집기를 설치해 모래 알갱이를 모으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아래 사진). 올해엔 포집기가 잡은 모래를 사구 후면부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전사구(前砂丘, foredune, 사구의 전면부를 말함)의 식생 일부를 걷어낼 예정이다. 사구 전역에 퍼져있는 곰솔(해송의 일종) 처리도 골칫거리다. 신두사구 곳곳에 흩어져 있는 폐철망과 폐목 등 쓰레기는 차라리 애교다. 사구를 따라 맨땅이 노출된 채 흉물스레 길게 방치돼 있는 옛 차도는 신두사구 복원을 위한 최대 걸림돌이다. 작년 말 신두사구 초입에 사구센터가 건립됐다. 여행객들이 국가생태관광지로 지정된 신두사구의 자연을 제대로 즐기게끔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아직도 개관이 지연되고 있다. 사구센터의 콘텐츠가 미비한 탓이다. 우리가 원하는 건 거대한 하드웨어가 아니다. 일본의 돗토리 사구센터에서 보듯 아기자기한 손때 묻은 친절히 설명된 자료가 필요한 것이다. 아이들이 모래를 만지며 뛰어 놀 수 있는 체험 사구센터, 우리나라와 세계의 유명 사구를 학습할 수 있는 생태 사구센터로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신두리 지리여행의 핵심은 바로 사구센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KISTI의 과학향기 칼럼)
2024-01-28 작성자 청해명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