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파(三賢派)
즉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의 군수공(郡守公) 휘,건(諱健) 후 남창공 (南窓公) 휘,현성(諱玄成)
삼현파(三賢派)란 판도판서공 휘,관파(版圖判書公 諱管派)의 별칭이며, 판도판서공파란
중조(中祖) 관(管)할아버지께서 조려말에 판도판서(版圖判書)라는 벼슬을 하셨기 때문에 그 이하 자손들을 판도판서공파 또는 판도판서공 휘,관파라고 합니다.
판도판서(版圖判書)
휘,관파(諱管派)는 절효공(節孝公) 극일의 차자(次子) 남계공 휘, 맹(諱孟)의 세 아들 중
조선 성종조에 장자(長子) 준손(駿孫)과 차자(次子) 기손(驥孫)이
먼저 동시에 대과(大科)에 응시하여 각각 차장원과 장원으로 급제하자 성종 임금이 어버이를 빛나게 하였다 하여 크게 칭찬을 하였다
그 뒤 삼자(三子) 일손(馹孫)이 2종류 대과에 연거푸 장원으로 급제를 하자 세 아들에 의하여 어버이의 이름이 세상에 더욱더 빛나게 하였다하여 칭찬하고 청도삼주(淸道三柱)라 불러다.
이들을 두고 김해삼주(金海三柱) 또는 김씨삼주(金氏三柱)라 전하여 오고 있습니다.
조선 정종조에 김해김씨를 삼한갑족(三韓甲族)이라 하였고 절효공 휘,극일(節孝公 諱克一), 탁영공 휘,일손(濯纓公 諱馹孫), 삼족당 휘,대유(三足堂 諱大有) 등 三人을 가리켜 청도삼현(淸道三賢)이라 칭하였다
한 집안에서 4대(四代)에 걸쳐
3賢人이 났다는 것은 고래(古來)로 매우 드문 일이라 하여 후세 사람들이
그 후손(後孫)들을 삼현파(三賢派)
라 불렀던 것입니다.
판도판서공 휘관파(삼현파)는 5세 절효공(節孝공 휘,극일(諱克一)의 6형제로부터
군수공(諱 建), 집의공(諱 孟), 한림공(諱 勇), 진사공(諱 順), 녹사공(諱 靭), 진의공(諱 鉉)등 6개 지파(支派)로 크게 나뉘어져 있는데,
남창공 (南窓公) 휘,현성(諱玄成)은 군수공(郡守公) 휘,건(諱健)의 지손으로서 휘,현성공에 이르는 세계(世系)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조(中祖) 관(管), 2세 문숙(文淑), 3세 항(伉), 4세 서( ), 5세 극일(克一), 6세 건(健), 7세 태석(泰碩), 8세 인손(仁遜), 9세 언겸(彦謙, 昭和四年1929년보첩에는 秀), 10세 현성(玄成).
항렬(行列)이란 같은 혈족(血族) 안에서 상하관계(上下關係)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만든 서열로, 중조(中祖)로부터의 세수(世數)를 나타낸 것이며, 정해진 글자로 각 항렬을 나타내는 것을 항렬자라 하는데,
몇 대에 걸친 세수(世數)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항렬자를 따르고 있을 때, 이를 보고 각 중조(中祖)의 몇 세손(대손)이 되는지 추정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여러 지파(支派)에서 각 다른 항렬자를 쓴 사례가 발견되기도 하나 1995년간 삼현파대동보 및 김해김씨 대동보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항렬표
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조(中祖)로부터
16세 顯(현)○, 17세 再(재)○,
18세 ○圭(규) ,19세 昌(창)○,
20세 ○斗(두), 21세 容(용)○, 22세 ○坤(곤),
23세 鍾(종)鎭(진)○,
24세 ○洙(수)泰(태),
25세 相(상)東(동)○,
26세 ○煥(환)熙(희)
27세 廷(정)在(재)○
28세 ○鎬(호)鎭(진)
29세 永(영)汶(문)○
30세 ○根(근)杓(표)
31세 炳(병)炅(경)○
32세 ○埰(채)基(기)
33세 錫(석)銘(명)○
34세 ○洪(홍)淳(순)
35게 柱(주)桂(계)○
36세 ○夏(하)烈(열)로 정하여져 있습니다.
(自判書公十六世로起顯字)
70대손, 71대손, 72대손 등은 시조(始祖)로부터의 세수(世數)인바 이를 위 항렬표와 같이 중조(中祖)로
부터의 세수(世數)로 환산하여 보면
시조 49세 → 중조 1세,
시조 59세 → 중조11세,
시조 69세 → 중조 21세,
시조 70세 → 중조 22세,
시조 71세 → 중조 23세,
시조 72세→ 중조 24세 등으로 위 항열표의 세수와 일치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세(世)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순서를 말하고,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같은 뜻으로 특정인(조상)의
몇 번째 자손인가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개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