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현지시간) 美 재무부는 ‘주요 교역국의 환율정책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독일, 대만 등 5개국을 환율 조작 여부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했다.

올 2월 발효된 교역촉진법에 따르면 현저한 대미 무역흑자(연간 200억 달러 이상), 상당 규모의 경상흑자(GDP 3% 초과), 한 방향의 지속적인 외환시장 개입(GDP 대비 2% 초과 순매수, 12개월 중 8개월 이상 순매수) 등 세 가지 항목에 모두 해당하면 환율조작국에 해당하는 ‘심층분석대상국’으로 간주되고 두 가지만 충족하면 관찰대상국이 되는데, 만약, 심층분석대상이 되면 미국 조달시장 참여가 배제되는 등 보복 조치가 뒤따른다.
미 재무부가 이번에 환율조작국으로 지목한 나라는 없었고 우리나라도 다행히 특별한 제재가 없는 관찰대상국에 그쳤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환율정책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하지만 국내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은 자명해 보인다.
우리나라는 대규모 무역흑자와 경상흑자 2가지가 해당됐다. 2015년 대미 무역흑자는 258억 달러, GDP 대비 경상흑자 비율은 7.7%였다. 미국은 이를 환율전쟁과 무역보복의 실마리가 되는 것은 외환시장 개입으로 판단한 것이다. 자국 통화가치를 떨어뜨려 수출을 지원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분쟁거리가 되어왔는데, 미국은 지금까지 한국의 원화가치 약세를 위한 시장개입(달러매수)을 문제 삼은 것이다.
중국과 일본, 독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가 걸렸다. 중국도 위안화 약세를 노린 시장개입이 도마에 오른 것이 아니다. 중국은 외려 위안화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4800억 달러를 내다 판 것으로 추정됐다. 일본에 대해선 지난 4년 이상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네 나라의 공통점은 미국과의 교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은 일정 규모 이상의 대미 무역흑자를 용인하기 어렵다는 시각을 드러낸 것이다. 이는 결국 대미 흑자를 줄이라는 얘기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미국이 무역 불균형 확대를 우려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고 평했다.

미 재무부는 “관찰대상국의 경제 흐름과 외환정책을 면밀히 관찰하고 평가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우리나라에 대해 보고서를 통해 “중기적으로 원화 절상이 수출 편중형 경제 구조를 바꾸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외환시장 개입은 시장 상황이 무질서해지는 경우로 제한하라”고 밝히는 등 원화가치를 더 올리고 내수활성화를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하라고 하고있다.
미국의 이런 입장은 외환시장에서 원화가치를 끌어 올리는 ‘보이지 않는 압박’으로 작용해 가뜩이나 식어가는 수출에 악재로 작용해 기업의 구조조정과 주가하락,경기부진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렇게 환율전쟁이 격화되고 원화강세가 이어진다면 어떤 투자전략을 취해야 할까?
환율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외환시장에서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환거래(fx) 투자의 비중을 늘리고 특히,달러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달러자산을 확보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외환거래(FX)펀드 중 달러화로 투자한 경우 거래수익외에 외환차익을 통해 적지않은 수익을 얻은 경우가 많았다.

=================================================================
올해로 10년째 매주 한주간 이슈가 되었던 주제에 대한 칼럼을 이메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15년간의 노하우를 담아 부동산, 중국...
docs.google.com
"여러분의 돈은 안녕하십니까?" 길어진 수명과 변화가 심한 투자시장에서 돈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계신분들께 재무컨설...
docs.google.com
첫댓글 앞으로 우리나라는 원화 강세가 오려나여..
달러를 사둬야 할라나요 ㅠㅠ
단기적으로는 강세를 보이겠지만 미국의 금리인상 지연이 막바지에 온점을 감안시 달러강세 전환이 이루어져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달러가 강세가 되겠네여..
잘 읽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