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메라니안 (Pomeranian)
► 이 명 : Pomeranian(포메라이언), 도이처 스피츠(Deutscher Spitz), 쯔베르그스피츠(Zwergspitz), 스피츠 나인(Spitz Nain), 스피츠 에나노(Spitz Enano), 폼(Pom), 쯔베르스(Zwers), 저먼 스피츠(German Spitz), 스피츠 알레먼드(Spitz Allemand), 스피츠 알레만(Spitz Aleman), 드와르프 스피츠(Dwarf-Spitz), 로우로우(Loulou), [닉네임] 폼폼(Pompom), 폼(Pom)
► 외 관 : 포메라니안(Pomeranian)의 크기는 체고 18~28㎝, 체중 1.5~3kg 정도되는 토이(Toy, 일반적인 의미의 애완견) 그룹으로 분류되는 소형견이다. 몸통은 짧고 야무지며, 가슴이 비교적 두텁고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꼬리가 등위로 말려 올라간 작은 개이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여 여우와 비슷한 얼굴에 귀는 작고 빳빳이 서 있다. 장식털이 풍부한 꼬리를 비롯하여 전체가 화려한 털로 덮여 있어서 매우 아름답다. 목의 털은 모든 북극 스피츠견의 특징이다. 여우처럼 귀가 작고 서 있으며, 다리가 작고 탄탄하다. 다리는 뼈가 견고하고, 무릎 관절까지 털로 잘 덮여있다. 길고 곧은 겉 털은 무성한 속 털을 감싼다.
이 견종의 특징은 털에 있다. 이중으로 짧고 굵은 속털과 길고 빛나는 겉털로 되어 있으면서 만지면 거칠게 느껴지는 털들이 전체적으로 섞여 있다. 털은 직모이며, 풍성하고 깃장식을 만든다. 털의 빛깔은 붉은색, 오렌지색, 검은색, 갈색, 초콜릿색, 미색, 청색, 흰색, 파티컬러 등이 있고, 앞다리는 깃털이 풍성하고 꼬리 역시 풍성한 털로 등 위로 올려져 있다. 단점이라면 매일 털 손질을 해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켄넬클럽(AKC)에 등록된 색상의 종류는 색상 19종, 마킹 5종입니다. 색상(Colors)은 1.비버, 2.블랙, 3.블랙탄, 4.블루, 5.블루탄, 6.블루브린들, 7.블루멀, 8.초콜릿, 9.초콜릿탄, 10.크림, 11.크림세이블, 12.오렌지, 13.오렌지세이블, 14.레드, 15.레드세이블, 16.세이블, 17.화이트, 18.울프세이블, 19.초콜릿세이블 등이며, 마킹(markings)은 1.블랙머즐, 2.브린들, 3.파티칼라, 4.블랙마스크, 5.화이트마킹 등이다.
► 설 명 : 포메라니안(Pomeranian)의 성격은 기민하고 표정은 총명하며 행동은 들떠있으며, 천성적으로 호기심이 많다. 포메라니안은 잰 체하면서 당당하며, 그의 걸음걸이는 활기 있다. 생기발랄하고 많이 짖는 개로 유명해 집을 지키는 번견으로서도 적격이며, 아이들보다 어른들에게 어울리지만 강아지 때부터 주인에 대한 복종 훈련을 시켜야 한다. 또한, 급하고 호기심이 많아 다른 개에게 관심이 많다. 작고 우아한 견종으로 도시 생활에 어울리는 개라고 할 수 있다. 여우와 비슷한 깜찍한 얼굴에 작은 눈망울이 매력적이며, 보호본능이 생기는 귀여운 개이다. 평균 수명은 13~16년 정도이다.
포메라니안은 풍성한 털이 매력적인 작고 우아한 견종으로서 원기왕성하고 대담발랄하며 머리회전이 빠르고 곧잘 흥분한다. 자그마한 신체 크기와 유순하면서도 활동적이고 발랄한 기질을 가진 매우 훌륭한 애완견이다. 예전에는 주로 목양견(牧羊犬 , 양떼를 돌보는 개)으로 사육하였으나, 현재는 애완용으로 기르고 있다. 이러한 특성과 기질이 현재의 포메라니안을 매우 유명하게 만든 것이다. 또한 고집이 센 편이어서 응석을 너무 받아주면 귀여운 악동이 될 가능성이 높다.
포메라니안을 훈련할 때 중요한 것은 성격을 잘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학습의욕과 호기심을 잘 이용해야 한다. 고집이 센 편이어서 훈련이 반복되면 쉽게 지루해하고 짜증도 내므로 훈련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해서 집중시켜야 한다. 또한 풍성한 몸집에 비해 뼈대가 가는 편이라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면 골절되기 쉽다. 산책하거나 실내에서 놀 때도 늘 조심해야 한다. 눈물이 계속 나오는 유루증에 걸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눈가를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 특히, 이 개는 이빨이 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빨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포메라니안은 털이 풍성하고 아담하며 매력적인 작고 우아한 견종으로 털이 둥글고 빵빵한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는 외모를 가지고 있다. 털이 가볍고 약하기 때문에 털갈이 시기에는 집안 곳곳에 털이 날리기도 한다. 털 날림을 걱정하여 빡빡 밀기도 하는데, 자칫 밀고난 후, 털이 제대로 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스트레스도 심하게 받는다고 한다. 더구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한테는 좋지 않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려면 털 관리를 하면서 길러 주면 좋다. 다리 골격이 약한 편으로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지 못하게 하고, 어릴 적부터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칼슘 섭취에 신경을 써주면 좋다.
포메라니안은 성격이 매우 활발하고 지적이며 학습의욕이 높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으며 신경질을 부리기도 한다. 호기심이 왕성하고 조심성이 많아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거나 낯선 사람을 보면 짖는다. 상대방을 위협하려고 짖기는 하지만 약간 뒤로 물러나 있는 모습을 보면 겁이 많은 성격임을 알 수 있다. 산책 시간은 짧아도 괜찮다. 단, 매일 일정한 시간에 산책하는 것은 좋지 않다. 매일 그 시간이 되면 예민하게 짖으며 주인에게 산책을 가자고 보채기도 하므로 산책 시간은 불규칙한 편이 좋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슬개골 탈구 증상이 다른 견종보다 걸릴 확률이 아주 높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털 관리, 즉 외부 기생충 구제 등과 피부병 관리도 잘 해주어야 한다. 치아와 귀 및 눈 등의 관리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늘 건강한 상태로 오랫동안 함께 할 수가 있을 것이다.
포메라니안은 사람을 아주 좋아하고 잘 따르는 견종이라서 항상 주인과 함께 있어야 안정을 갖는 등 근본적으로 기질 자체가 분리불안증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주인에게 기대는 성질도 아주 강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관리를 해야 한다. 다른 견종에 비해 짖음이 많아서 공동 주택 등에서는 짖음에 대한 민원이 많다고 하므로 이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 식탐은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산책은 매일 30분 정도 주인과 함께 가볍게 걷게만 해 주어도 충분하다.
털이 이중으로 자라는 견종으로 그 양도 아주 많기 때문에 털이 많이 빠지는 견종이다. 털이 길다고 털을 자주 깎으면 원래의 모습인 공처럼 털이 둥글게 서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외견상 아름답지 못하기 때문에 털을 자주 깎기보다는 가위미용 등 털 관리를 잘 해주면서 자주 빗질을 해 주는 것이 멋진 모습을 유지 할 수가 있다.
► 기 원 : 포메라니안(Pomeranian)의 원산국은 독일이다. 원산지는 독일과 폴란드 북부 지방이다. 유럽산 목양 스피츠견에서 이 견종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독일의 포메라니아(Pomerania) 지방에서 최초의 견종이 영국으로 건너갔을 때, 그들은 몸집이 더 크고(약 30파운드 가량), 주로 흰색 털이 났으며, 현재 존재하는 견종보다 털이 덜 풍부하였다.
스피츠종 중의 한 견종인 사모이드가 조상견이라고 전해진다. 동구의 포메라니안 지방에서 약간 소형화 된 것이 18세기 이후 영국에서 애호 되었고 19세기 중엽부터 작은 타입이 유행하여 오늘날의 견종으로 고정되었다. 특히 빅토리아 여왕이 애호하였던 것으로 인하여 유행 견종이 되었다. 여왕은 1891년에 개최된 제1회 그래프트 쇼(현재는 영국 켄넬 클럽의 본부전으로서 세계적으로 유명)에 몇 마리의 포메라니안을 출전 시켜 모두 클래스의 1석을 획득했다. 미스 해밀턴과의 번식으로 경쟁한 것도 유명하다. 독일에서는 이 타입의 견종을 크기에 따라 5단계로 나누며, 크기 순으로 울프 스피츠, 그로스 스피츠, 밋텔 스피츠, 크라인 스피츠, 투베르크 스피츠라고 부른다. 이 중에서 투베르크 스피츠가 포메라니안에 해당한다. 그러나 현재는 다른 견종으로 취급하고 있다.
스피츠 종인 포메라니안은, 북극에서 썰매를 끌던 개의 자손으로 케이스혼드, 노르웨지언 엘크하운드, 사모예드와 관련이 있다. 이 품종과 유사한 개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현재 폴란드령과 독일 Germany령으로 나누어져 있는 발트 해 연안지역의 포메라니아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에서 이 개들은 양을 지키는 번견으로 일했던 것이다. 18세기 중반 무렵까지 포메라니안은 비교적 컸으며 그 대부분이 흰색이었지만, 선발 교배를 통해 19세기 초부터 풍부하면서도 다채로운 색상의 털을 지닌 작은 개가 태어나게 되었다.
► 비 고 : 포메라니안(Pomeranian)은 1957년 1월 1일 FCI(세계애견연맹)에서 5그룹인 ‘스피츠&프리미티브 타입(Spitz & Primitive Types)’ Section 49 넘버 97번으로 공인되었다.
저먼 스피츠는 2013년 1월 17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5 스피츠 및 프리미티브 타입 그리고 섹션 4 유러피언 스피츠 스탠다드 No. 97로 등록이 되었다. 그 중 포메라니안은 97e로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포메라니안(Pomeranian)은 1870년까지도 그다지 유명한 견종은 아니었다. 단지 영국애견협회(KC)에 스피츠 도그(Spitz Dog)라고만 기록이 되어 있었을 뿐이었다. 그러다가 1888년 빅토리아 여왕이 플로렌스 지방과 이태리에서 영국으로 돌아올 때 조그마한 솜털 공 같은 이 견종, 포메라니안을 함께 데리고 돌아왔다. 그후 그녀는 보통 12~18파운드 정도 나가는 폼(포메라니안)을 영국의 도그쇼에서 공개하였다. 현재의 규정보다 큰 빅토리아 여왕의 포메라니안들은 지금과 비교하여 기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당시 여왕의 권력은 매우 막강하였고 또한 매우 유명했었기 때문에 여왕이 좋아하는 개의 인기도 점점 커져갔다. 빅토리아 여왕은 이 포메라니안을 매우 사랑하고 아꼈으며 1901년 빅토리아 여왕이 죽었을 때에는 이 빅토리아 여왕의 개인 "투리"가 여왕의 곁에 누워 있었다.
그러나 이 견종은 당시 "스피츠 독(Spitz Dog)"으로 소개되어 물밀듯이 영국으로 들어왔다. 영국의 개량가들은 포메라니안을 좀 더 작고 털이 풍부한 견종으로 개량하였다. 그래서 오늘날 도그 쇼에 참가하는 포메라니안의 몸무게는 주로 4~5파운드 정도밖에 나가지 않는다. 비록 이 견종의 이름은 고국의 지방명에서 유래되었지만, 그들은 영국 태생의 견종으로 생각되고,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영국에서 발달하였다. 그후 포메라니안은 한 세기가 저물 무렵 북미에 소개되었고, 마찬가지로 순식간에 많은 관심을 끌었다.
미국에 처음 포메라니안이 소개되었을 때는 1892년이었으나, 1900년까지는 하나의 독립된 견종으로서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1911년 미국에서 미국 포메라니안 협회가 결성이 되고, 바로 그 해에 협회 주최로 전람회가 개최되었다. 미국에서 초기에 우승한 견종들은 골격이 굵고 귀가 현재의 포메라니안보다는 컸으며, 무게는 2.7kg미만이었고 오늘날처럼 풍부한 피모는 아니지만, 아주 훌륭한 피모를 가지고 있었다. 미국인 애견가들과 사육자들은 이 견종을 개량시켜 오늘날에 유명한 포메라니안을 탄생시켰다. 미국인 애견가들은 자신들의 노력으로 탄생된 포메라니안의 유형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강했다. 그 예를 들면, 유럽에서의 여러 전시회에서 우승한 챔피온 견종인 폴 말 히스 메이져티를 들 수 있다. 이 견종은 유럽으로 건너가 유럽의 전람회에서 여러번 우승을 한 적이 있었다.
포메라니안의 조상은 원래는 작은 개가 아니었고, 사모예드처럼 시베리아나 북극지방에서 눈썰매를 끄는 큰 개였다. 부단한 품종개량을 거치면서 반려할 수 있는 소형견으로 거듭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포메라니안은 사랑스러운 개이며, 비록 몸은 작지만 선명한 털색을 가진 스피츠의 기질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포메라니안은 재빠르고 활발하며, 자신보다 큰, 같은 견종에 대해 호기심이 많다. 그리고 훌륭하고 정확하게 말을 잘 듣는 개이다. 이 견종은 쇼장이나 거리를 "점잖을 빼며 걷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포메라니안의 크기는 체고 18~22 (28)㎝, 체중 1.5~ 3.5kg 정도되는 소형견으로 암수의 크기는 비슷하다. 일반적인 애완견 그룹인 토이 그룹에 속하며, 포메라니안의 원종인 저먼 스피츠들은 당초 가축을 경비하는 경비견 또는 썰매를 끌던 썰매 견으로 길러졌지만 포메라니안은 영국 왕실에서 지금처럼 소형화시켜 애완견으로만 길렀다. 외모는 풍성한 하모와 바깥으로 뻗어 나온 아름다운 털로 인해 보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특히 목둘레에 칼라처럼 두툼하게 형성된 털(러프)과 등 위로 바짝 들어 올린 두툼한 꼬리가 인상적이다. 여우를 닮은 머리, 기민하게 빛나는 눈,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작고 뾰족한 두 귀도 사뭇 당당해 보이는 스피츠만의 독특한 인상을 준다. 신체 비율은 체고와 체장의 비율이 1 : 1 정도이다.
► 머리 : 머리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위에서 내려다보면 후두부가 가장 넓고 코끝으로 갈수록 쐐기 모양처럼 폭이 좁아진다. 스톱은 적당히 명확하게 드러나지만 과도하게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두개부는 2/3, 주둥이가 1/3정도의 비율이며, 특히 이마가 둥글며 약간 튀어나온 듯한 느낌을 준다.
• 코 : 코는 둥글고 작은 편이며, 코의 색은 순수한 흑색이지만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 코는 진한 갈색이다.
• 입 : 주둥이는 지나치게 길지 않고 머리 전체와 비율이 잘 맞는 편이며, 해당 비율이 약 1: 2 정도이다. 입술은 과도하게 드러나지 않고 턱에 밀착되어 있으며, 입 양쪽 가장자리에 주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입술 전체의 색깔은 검은색이며,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는 입술도 갈색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는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빨과 턱은 적당히 발달한 수준이며, 이빨은 치식에 따라 42개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단단하게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이다. 전구치는 몇 개 없어도 허용되며, 저먼 스피츠의 모든 견종과 마찬가지로 포메라니안은 절단교합도 허용된다. 볼은 약간 둥근 편이지만 튀어나오지는 않았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길쭉하며, 아래로 살짝 쳐진 형태이다. 눈의 색은 짙은 편이며, 눈꺼풀은 모색과 상관없이 모두 검은색이지만 털이 갈색인 경우에 눈꺼풀은 진한 갈색이 대부분이다.
• 귀 : 귀는 작고 삼각형이며, 귀의 끝은 뾰족하다. 귀는 두개골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며, 두 귀 사이의 간격은 좁다. 귀는 전형적인 북방형 스피츠 계열의 견종답게 항상 곧게 세워져 있으며, 끝부분도 꼿꼿하게 서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목 : 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어깨와 만나는 부위는 굵다. 목은 약간 아치형으로 굽어 있으나 목 줄기가 늘어지게 보이지는 않는다. 목에는 굵은 털이 커다란 갈기 모양을 이루면서 풍성하게 나 있다.
► 몸통 : 등선은 위로 쫑긋 세운 귀 끝을 시작점으로 일자로 쭉 뻗어 짧은 등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털이 풍성하게 덮인 빗자루 모양의 꼬리가 등 일부를 덮고 있어서 그 부분의 등 윤곽이 둥그스름하게 보인다. 등은 짧은 편이고 일자로 탄탄하게 뻗어 있으며, 높이 튀어 나온 기갑과 등이 구분되는 지점 없이 자연스레 이어져 있다. 허리는 넓고 근육질이며, 엉덩이는 넓고 짧은 편이며 길게 늘어지지는 않았다. 가슴은 세로길이(깊이)가 길고 늑골이 충분히 휘어 있으며, 앞가슴은 잘 발달되어 있다. 복부윤곽과 복부는 가슴이 최대한 길게 이어진 편이며, 길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 복부는 약간 홀쭉하게 보인다.
► 꼬리 : 꼬리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엉덩이에서 높은 곳에서 시작되며, 뿌리부터 곧게 위로 들어 올려서 말린 꼬리를 등 위에 올리고 있다. 꼬리를 등에 고정된 것처럼 올리며, 풍성한 꼬리털이 등에 드리워져 있다. 꼬리 끝이 두 번 말린 형태도 있는데 이도 결격사유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곧게 뻗어 있고, 정면에서 보면 제법 넓적한 편이다. 어깨뼈는 길고 뒤로 충분히 젖혀진 형태이다. 어깨는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가슴과 이어지는 부위가 탄탄하다. 앞다리 상부는 어깨뼈와 길이가 거의 동일이며, 어깨와 90도로 만난다. 무릎은 관절이 튼튼하고 가슴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며,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전완은 체고와 잘 맞는 적당한 길이로 단단하며, 완벽한 일자로 곧게 뻗어 있고 뒷부분에 긴 장식 털이 덮여 있다. 발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로 튼튼하며, 바닥과 이루는 각은 20도 정도이다. 앞발은 둥글고, 크기는 최대한 작을수록 좋으며, 발가락을 꼭 쥐고 있어서 고양이 발과 닮은 모습이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한 모습이다. 발톱과 패드는 모색과 상관없이 검은색이지만 털이 갈색인 경우에는 진한 갈색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근육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으며, 두 다리는 평행을 이루고 있다. 비절은 긴 털로 풍성하게 덮여 있으며, 일자로 곧게 뻗어 있다. 허벅지 상부와 하부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며, 무릎은 탄탄하고 약간 굽어 있으며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비절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매우 탄탄하며, 바닥과 수직으로 만난다. 뒷발은 둥글고, 최대한 작을수록 좋으며, 발가락을 꼭 쥐고 있어서 고양이 발과 닮았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한 모습이다. 패드는 두툼하며, 발톱과 패드의 색깔은 최대한 짙을수록 좋다.
► 털과 색 : 털은 이중모 구조이며, 상모는 긴 직모가 피부와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하모는 솜털 같은 짧은 털이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머리, 귀, 앞다리와 뒷다리의 앞부분, 발에는 짧고 두툼한 털(벨벳 느낌)이 덮여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긴 털이 풍성하게 나 있다. 털은 웨이브가 있거나 털이 곱슬거리거나 밧줄처럼 꼬이지 않아야 하며, 등에서 양 갈래로 나뉘지 않아야 한다. 목과 어깨는 두툼한 갈기로 덮여 있으며, 앞다리 뒷부분에는 긴 장식 털이 자란다. 뒷다리도 엉덩이부터 비절까지 긴 털이 가득 덮여 있으며, 꼬리에도 털이 풍성하게 나 있다.
모색은 갈색, 검정색, 흑갈색, 흰색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오렌지색 등 기타 여러 가지 모색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단색과 2색 혼합의 비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단색을 우위로 본다. 모색은 비교적 다양하며, 모색에 대한 결격사유는 없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추진력을 충분히 받아서 일자로 곧게 걸으며, 걸음걸이는 유연하고 경쾌하다.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걷는 것이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