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의 군사특기로 해군 함정의 추진기관인 디젤, 가스터빈을 다루는 직별입니다.
과거에는 보일러(외연), 증기터빈(외기, 직별번호 41), 디젤엔진(내연, 직별번호 42), 가스터빈(내기, 직별번호 40)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외기, 외연 직별은 기어링급 구축함, 전차상륙함 등 구식함정의 퇴역으로 폐지되었고
내연, 내기가 통합되었습니다.
한때는 기군단에서 수병 직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뽑아갔던 해군 대표 3D 직별 중 하나입니다.
근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편은 아니나 환경이 매우 열악합니다.
함정의 엔진실에서 주로 근무하는데
엔진 시동을 걸기 위해 60도 이상으로 가열된 청수배관이 온 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입니다.
덕분에 룸 온도가 한여름에는 40도 정도는 쉽게 넘어가기도 합니다.
정말 열사병과 탈수증상에 주의해야 하죠.
이렇게 더운 곳에서 온갖 기름때와 소음에 시달리며 일해야 합니다.
정박 중이든 항해중이든 추기병이 매일같이 유류량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기름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버립니다.
대개의 경우 디젤엔진을 함정의 추진기관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내연병이 무척 힘들어요.
DDG는 메인기관이 가스터빈인 함선이므로
타 함의 내연병이 하는 일을 내기병이 하게 되므로 내기병이 힘들고 내연병이 그나마 편한 직별이 됩니다.
열심히 엔진을 조정하고 있는 멋진 내연병
2. 세부 직별
2.1. 내기(Gas turbine systems Technician)
내기(Gas turbine systems Technician)
군사특기 43-40 가스터빈 및 43-43 보일러가 보임됩니다.
장점은 큰 배에만 배치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젠 윤영하급 고속함 가스터빈 장착으로 과거의 일이 되었죠.
함의 가스터빈, 감속기어, 함 안정기(Fin Stabilizer) 및 보일러를 담당합니다.
유류 및 청수재고관리도 내기에서 맡습니다.
연료유(Fuel Oil; 통칭 F.O.) 및 윤활유(Lubricant Oil;통칭 L.O.) 급유를 담당하기 때문에
입항 시 타 직별이 휴가가는 모습을 보며 수 시간 이상 급유작업에 임해야 할때도 있습니다.
가스터빈만 장착된 최신형 일부함이 아닌 대부분의 함은
연비 문제로 평시에는 내연기관을 사용하다가
전속항진시에만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편이나, 기관부에 힘들지 않은 곳은 없다고 합니다.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갓 승함한 인원을 포함, 전원이 순국했던 아픈 기억도 있습니다.
주 폭발지점으로 예상되는 곳이 가스터빈실인 바
일부 인원은 유해수습에도 성공하지 못하였다는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습니다.
항해 중 안전당직 및 연료/빌지 측정(사운딩)을 맡는데,
사운딩 위치가 보통 침실 내에 위치한 관계로
기름 냄새가 난다며 욕을 듣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사/병장 1인과 함께 감속기어실에서 근무를 서는데
고열과 소음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관병으로 나나 가족이 입대하는 경우 산업용 귀마개를 선물하면 아주 좋아합니다.
물론 함내 복지 차원에서 구입해 공용으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름에는 CCTV를 피해 속옷만 입고 근무하는 경우도 있으며,
습한 여름에도 기관실 구석에 빨래를 널면 금새 뽀송뽀송 마른다고 할 정도로 더운 환경입니다.
해상에선 속력=전투력인 경우가 많아 함장님의 지대한 관심을 받기 때문에
수리나 군무원 지원 등이 제깍제깍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기관실안에서 열심히 복무중인 내연병의 모습
2.2. 내연 (Internal Combustion Technician)
내연(Internal Combustion Technician)
내연병은 다른 말이 필요없습니다.
어느정도 짬 찰때까지는 그냥 힘듭니다.
해군함정이 아직까진 가스터빈보다 디젤이 많기 때문에 그냥 힘듭니다.
FF에서 내연이 관리하는 장비는
디젤, 발전기, 해수펌프, 조수기, 윤활유, 에어콘, 냉장고, 오수처리기, 공기조화장치, 공기펌프 등을 관리합니다.
항구에 정박하면 내연병은 안전당직을 섭니다.
전기직별과 내연직별은 무슨 일이 있어도 배에 한 명은 남아있어야 하죠.
당직을 서는 이유는 항구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다가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내연병/내연사가 발전기를 작동해서 전기를 자체 공급해서
전기병이 문제를 찾고 다시 전원이 돌아올 때까지 당직을 서야만 합니다.
보통 각 격실에는 가정용 에어컨이 달려있어 자체 냉방을 하는 경우가 흔한데
철판에 내리쬐는 한여름 뙤약볕과 엔진 열기에
에어컨 희망온도가 현재온도와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함내 대형 에어컨으로 냉난방을 할 때가 흔한데 \
이 대형 에어컨이라는 놈이 전기먹는 하마인지라
발전기의 부하가 늘어나 장교들이나 부사관들이 싫어한다고 합니다.
그나마 항해 중에는 발전기 하나를 쓰냐, 병렬로 두대를 쓰냐의 문제지만
항구에 정박했을 경우 각 항구 지원대에서 사용하는 변압기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육상에서 끌어쓰는 전기로 함내 에어컨을 켜게되면
그 부두 전체가 정전이 되버리기 때문에
메인 에어컨가동 = 자체발전기 가동이기 때문에
기관부의 당직이 항해시에 준하는 전기, 발전기, 안전당직으로 늘어나고
매일 당직을 서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항해시에는 디젤룸과 보기실에서 당직을 서고
하는 일은 MCR(머신 컨트롤 룸, 기관부의 지휘소 같은 곳입니다)에서 오더가 내려오면
장비를 작동하고 일지를 쓰는 정도입니다.
다만 다른 부서에서 관리하는 장비가 대부분 내연 쪽 기관실에 있기 때문에
작동은 내연에서 합니다.
자주 작동하지는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항해당직 때 하는 일은 의자에 앉아 잡지를 보다가
한두 시간에 한 번 장비상태를 확인하는 정도라고 합니다.
디젤엔진 특성상 미리 예열을 시켜야 하기때문에 엔진실은 항상 찜통이며
항해시에는 바로 옆사람이 귀에 대고 악을 질러야 겨우 들릴 정도로
엄청난 소음에 시달립니다.
엔진소리는 시끄럽지만 자리만 잘 잡으면
환풍구에서 나오는 바람도 시원하겠다,
남몰래 졸다 MCR에서 한소리 듣는 경우도 있을정도라고 합니다.
특히나 혼자 혹은 둘이 당직을 서기 때문에 터치할 사람도 없다고 해요.
일과 이후 밤이나 새벽당직이나 이렇고 낮에는 많이 바쁘다고 해요.
기관실 내부 장비 말고 배 곳곳에 있는 내연장비들도 관리해야만 하기 때문이죠.
주기적으로 디젤과 발전기의 윤활유 필터도 교환해야 합니다.
다른 부서에서 작업원을 차출할 만한 일을 부서 내에서 직접 처리합니다.
하고 나면 일단 윤활유 범벅이 되어야될 각오는 해야 합니다.
온몸이 기름 범벅이고 기름냄새도 심하기 때문에
멀미가 심한 사람은 고역을 치룬다고 합니다.
그래도 기관실은 배의 각부 중에서는 가장 멀미가 덜한 곳이죠.
기관의 무게 때문인지(?) 흔들림이 가장 적다고 합니다.
참수리급 고속정 수병 중 가장 복무강도가 높은 수병으로 내연병을 꼽는데
기관부에 수병이 내연병 1명밖에 없기때문에
아무리 짬이 차 봐야 내무생활 서열만 올라갈 뿐
일과 때는 전부 간부들과 일하는 만큼 내연, 보수, 전기 3직별의 잡다 업무까지
혼자 하는 데다가
출항 나갈 때 다른 부서 당직자들은 교대하며 수면을 취할 수 있지만 내연병은 그런 것 없습니다.
기관실 당직을 풀로 서야 합니다.
참수리 수병 중에서도 가장 복무강도가 높은 수병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해군들이 서로 자기함정이나 자기 근무지들이 빡세다고 허세대결을 펼쳐도
참수리 내연병 앵카가 뜨면 다들 입을 열 수가 없다고 할 정도입니다.
모든 내용은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취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첫댓글 힘들지 않는 직별이 없네요ㅠ
힘들어도 열심히 최선을
다해주는 멋진 해군내연병
고맙고 감사합니다^^
고됨이 느껴져서 마음이 아프네요.
우리 해구니들 늘 응원합니다.
다들 너무 기특하고 자랑스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