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재미있는행정학
 
 
 
카페 게시글
Q&A 게시판 행정학 이론의 성격이 궁금합니다
보석거북 추천 0 조회 41 25.09.13 22:4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9.14 16:40

    첫댓글 1. 규범적 이론이구요. 공공선택론 관점에서 공공서비스 공급에서의 관료제의 비효율성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했죠. 이를 연방주의에 대한 재해석을 추가하여 민주행정패러다임으로 제시한거죠. 2. 신행정학, 신공공서비스론, 공공가치론 등 다 규범적 이론이죠. 시험 주제가 될만한 것들은 개념이나 특징을 정리하고 기억해야 해요. 3. 실증적 연구에 기초한 이론이나 주장은 내가 설명할 때 이런 분야에 적용해 나온 결과이다라고 설명을 해요.대표적인것이 관료제 역기능론, 호오손연구, 관청형성모형, 점증주의 등이 있어요. 다만 관청형성모형, 점증주의 등의 경우 경험적 이론이지만 규범적 이론(처방)의 성격을 동시에 띤다고 학자들이 이해하죠. 4. 맞는 얘기에요. 5. 점증주의는 정치체제에 관한 다원주의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정책/예산결정모형이에요. 주의라고 해서 이념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어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