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협업행정의 유용성 중 정책오류의 발견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가외성의 관점에서,
신공공관리는 효율성을 얻는 대신 그 대가로 분절화에 따른 오류의 증가 가능성이 있고,
협업행정은 참여와 협력을 통해 가외성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신공공관리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협업행정도 역할분담과 자원의 공동활용이라는 특징이 있어서 가외성을 통한 설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부처가 유사기능을 중복 수행하는 것이 문제죠. 유사 수행이란 자체가 가외성이구요. 따라서 공동사업을 통한 협업행정은 그러한 가외성을 줄이는 수단이 되죠. 즉, 행정의 효율성 제고..가외성의 증가가 아니라 축소인 셈이죠.
첫댓글 부처가 유사기능을 중복 수행하는 것이 문제죠. 유사 수행이란 자체가 가외성이구요. 따라서 공동사업을 통한 협업행정은 그러한 가외성을 줄이는 수단이 되죠. 즉, 행정의 효율성 제고..가외성의 증가가 아니라 축소인 셈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