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확대
늘어난 비만 인구와 급격한 고령화, 일상의 스트레스로 인해 당뇨병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5명 중 2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돼 전문가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를 권했다. 최근 더욱 다양해진 치료요법과 치료제, 혈당관리법에도 이목이 쏠린다.
12일 대한당뇨병학회는 '팩트시트 2022 확장판'에서 2020년 기준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는 6명 중 1명(16.7%)꼴인 570만1000명이라고 밝혔다. 학회는 2021년을 기점으로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가 600만명을 초과한 것으로 보고 있다.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10대와 20대까지 합치면 당뇨 유병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험군인 당뇨병 전단계 인구도 1500만명이 넘었다. 2020년 기준으로 30세 이상 당뇨병 전단계 인구는 1487만2000명으로 추산됐다. 당뇨병 유병자와 합치면 2000만명에 이르는 수치다. 당뇨병은 환경, 유전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박종숙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서구화된 식사문화 등 과거와 달라진 생활습관 때문에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비만이 당뇨병 급증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른 고령화도 원인으로, 젊은 시절에는 괜찮다가 나이 들어 당뇨 증상이 나타나는 사례도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