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dhocracy, 애자일 조직, 매트릭스 org 모두 신속한 대응능력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뛰어난 지 궁금합니다.
2. 만약 그렇다면 위 조직들은 관료제적 구조와 어떤 점이 달라 신속한 대응능력을 지니는 지 궁금합니다. 관료제적 구조에서라도 의사결정자에게 충분한 전문성이 있다면 계층제적 구조를 통해 빠르게 환경에 대응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3. 매트릭스 조직의 단점으로 매트릭스 조직의 구성원의 원래 부서의 이해관계와 목표 간의 충돌로 인한 갈등이 제시되는 데, Adhocracy나 애자일 조직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없는 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1. 그런 ㅁㄱ적으로 만들어진거죠. 2. 계층이 많고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저 조직들이 있다면 의사결정이 느리죠. 발전적 관료제 파트의 특징을 체크해 보세요. 3. 정도의 차이일 수도 있고...특히 매트릭스는 임시적이 아니라 지속성을 띠니 그런 문제가 더욱 부각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