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23명 중 생존자 19명이 2일 오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다.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43일간의 ‘아프간 악몽’에서 깨어난 듯하다. 그러나 탈레반에 희생당한 고(故) 심성민씨의 아버지 심진표(62·경남도의회 의원)씨는 “교회 측의 경망한 행동, 정부의 미숙한 초동 대처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며 “우리는 독실한 불교 집안이고 아들은 10대 종손”이라고 허탈해 했다. 심씨는 ‘또 다른 악몽’과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故심성민씨의 아버지 심진표씨가 경남 고성의 자택에서 “다른 사람들은 살아서 귀국했는데 성민이는 왜 살해됐느냐”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고성=이상재 기자]
“성민이 추모관을 짓고 추모비를 세운답니다. (교회의) 그릇된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한 구실입니다. 제발 그런 망언을 하지 말아달라는 편지를 쓰던 중이었습니다.”
지난달 30일 경남 고성군 대가면 연지리 평동마을 자택을 찾았을 때 심씨는 초췌한 모습이었다. 180㎝가 넘는 거구인 그는 작은 책상 앞에 앉아 힘겹게 볼펜을 움직였다.
그는 “아직은 초안이라 공개할 수준이 못 된다”는 A4 용지 두 장짜리 편지를 보여줬다.
심진표씨가 탈레반에게 희생당한 아들 고 심성민씨를 생각하며 샘물교회와 박은조 목사에게 쓴 편지 초고.
이에 앞서 심씨는 샘물교회 박은조 담임목사로부터 “성민이를 천국에서 만날 날을 고대한다. ‘심성민재단’ 준비가 되는 대로 찾아뵙겠다”는 내용의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고 한다. 그는 “(유족을) 너무 힘들게 하는 문자 메시지였다”며 흐느꼈다. 그날 밤부터 심씨는 박 목사와 샘물교회 측에 편지를 쓰기 시작했다.
“석방 협상에 차질이 빚어질까 그동안 얼마나 (언급을) 자제해왔는데…. 메시지를 보자 순간적으로 감정이 복받치더군요. 천금 같은 아들 잃은 에미, 애비에게 무슨 하나님이, 무슨 천국의 문이 필요합니까. 먼저 희생된 배형규 목사는 자기 세계의 영웅이 되겠지만 내 아이는 명분도 없습니다. 차라리 전쟁터에 나가서 싸우다 죽었으면 마음이라도 편하지요.”
심씨의 편지 내용은 이런 울분이 그대로 묻어나 격정적이다.
“나무를 깎아서라도, 돌을 쪼아서라도 내 아들을 돌려 달라. 이날까지 어떻게 기른 자식이고, 어떤 희망을 걸고 있던 가정이었는데 그렇게 단순하고도 가볍게 우리를 희롱할 수 있단 말인가. 우리 성민이가 보고 싶다. 미치도록 보고 싶다. 보고 싶어 죽겠다. 우리 가정은 갈기갈기 파탄이 되고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암흑과 절망, 체념 속에서 헤매고 있다.”
피랍자 전원 석방 소식이 전해진 지난달 29일에는 피랍 가족모임 대표인 차성민씨가 방문하겠다는 연락을 했다. 그러나 심씨는 “와봐야 피눈물밖에 더 보겠느냐. ‘제발 나를 살려 달라’며 만류했다”고 한다. 가족모임 일행이 빈손으로 서울로 올라간 다음, 심씨는 새벽 2시까지 마을 어귀를 서성이다 뒷길로 귀가했다. 그의 당시 심경도 편지에 적었다.
“(피랍자) 일행이 돌아온다는 낭보에 왜 우리 가족만 더 슬퍼져야 하고, 더 숙연해져야 하는지…. 주위의 어떤 소리도 이렇게 듣기 싫어진단 말인가. 방송도 끄고, 전화기도 끄고, 휴대전화도 꺼놓았다.”
심씨 부부가 아들을 마지막으로 본 것은 지난 5월. 경기도 성남에서 자취를 하면서 연봉 2500만원을 받고 C벤처기업에 잘 다니던 아들이 집으로 전화를 했다고 한다. 직장을 그만두고 공부를 더하겠다고 했다.
“농업 관련 대학원을 가겠다는 겁니다. 무슨 일이 있나 싶어서 아내와 함께 급히 성남 자취방으로 달려갔지요. 농사를 지으려거든 고향 내려와서 집안 농장을 물려받으라고 설득했습니다. 나중에 보니 회사에 사표까지 내고 봉사활동 가려고 650여만원을 인출했더군요. 지금 생각해보면 아프간 다녀와서 (농업대학원이 아니라) 신학대학원을 가고 싶어 한 것 같아요. 착한 아들이 아버지에게도 다 말을 못한 거죠.”
만혼을 했던 심진표씨는 29살의 아들에게 “서울에서 애인감 구해봐라”는 당부까지 하고 고향에 내려왔다.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심씨가 아들의 피랍 소식을 들은 것은 7월 19일 뉴스가 나온 지 하루가 지나서였다.
독실한 불교 집안이라 이번 사태가 있기 전까지 성민씨가 교회를 다닌다는 사실도, 아프간으로 봉사활동을 갔다는 소식도 전혀 몰랐다고 했다. 아들이 떠나기 전 썼다는 각서와 유언장도 있는지 없는지 아직 보지 못했다고 했다.
“내성적인 아들의 성격도 바꿀 겸 제가 학군장교(ROTC)에 지원하라고 했는데…. 제대할 때 3000만원을 모아올 정도였죠. 그런데 군대서 샘물교회 신자인 동기를 만났다는 거예요. 모든 게 내 탓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요.”
심씨는 정부에 대해서도 유감의 뜻을 표시했다.
“2월부터 아프간을 위험 국가라고 해놓고도 정부가 여권 수속을 밟아줬습니다. 국가기강이 없어요. 국가가 국민의 죽음을 허용한 것 아니오? 초기 협상도 문제점투성이예요. 인질의 생명을 다치면 협상은 없다고 강하게 접근했더라면….”
심씨는 “외교통상부 차관보가 장례식 때 조문 온 것을 빼고는 정부로부터 아들의 죽음에 대한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며 “차근히 협상 과정을 알아보고 따질 것이 있으면 따질 것”이라고 했다.
심씨 가족은 싸늘하게 돌아온 아들을 따뜻하게 보냈다. 8월 4일 장례식을 마친 심씨는 가족회의 끝에 시신을 서울대병원에 연구용으로 기증했다. “큰딸이 육신을 잘 수습해서 ‘더 많은 목숨’을 살리자고 하더군요. 선산에 묻어도 한 줌 흙이 되고, 화장을 해도 한 줌 재가 되지 않느냐고 하더라고요. 병원 측은 ‘근육과 신경이 그 애처럼 오래 살아 있는 시신은 1000구 중의 하나’라면서 고마워하더군요.”
심씨는 “(아내가) 서울 큰딸 집에 있는데 신경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 것 같아요.
이제는 산 사람 걱정을 해야 하는데…” 라고 말끝을 흐렸다.
아들 방으로 안내하던 심씨는 생전의 성민씨가 즐겨 치던 기타와 장교 예복, 앨범들을 매만지다 눈물을 흘렸다.
다시한번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죽은 사람만 불쌍하지.................
이분 맘 이해 한다구 지금 얼마나 다 야속하겠어요 남들은 다 살아서 잘만 돌아오는데 내 아들만 저리되었으니.. 빨리 힘내시길
아~~정말 글만봐두 제가슴이 아푼데,,,,,,,,,부모님들은 천금같은 자식을 잃었는데,,,,,,,,,,,정말 편견일진모르지만,,,,,교회에 미친사람들은 전부터 왠지 싫었는데,,,,,,,,,정말 개념없는 사람들입니다여~~~~
정말,.,.가족분들 안되었어요..샘물교회..그리고 석방된 삶 정말 싫으네요..예수쟁이들..
가슴이 아프네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