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구성이 좋고 가벼운 소재, 빈티지한 느낌의 디자인이 유행 -
-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온라인 판매 비중 점차 늘어 -
□ 홍콩 아이웨어 시장동향
ㅇ 지속 증가 추세를 보이는 홍콩 아이웨어 시장
- 유로모니터 통계에 따르면 홍콩 아이웨어 시장은 2016년을 제외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2018년에는 38억6050만 홍콩달러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는 48억8270만 홍콩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아이웨어(Eyewear): 시력교정용 안경, 선글라스, 콘택트렌즈 등을 통칭함.
2014~2023년 홍콩 아이웨어 시장 판매액 및 전망(2018년 기준)
(단위: 백만 홍콩달러)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6%2F%EC%95%84%EC%9D%B4%EC%9B%A8%EC%96%B4_%EC%8B%9C%EC%9E%A5.jpg)
자료: 유로모니터
- 중국인 관광객은 아이웨어 제품의 주요 소비층임.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지속된 유입으로 홍콩 아이웨어 시장의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측됨.
2018(1~5월) VS 2019(1~5월) 중국인 관광객 수 및 증감률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83%2F%EC%A4%91%EA%B5%AD_%EA%B4%80%EA%B4%91%EA%B0%9D_%EC%A6%9D%EA%B0%90%EB%A5%A0.jpg)
자료: 홍콩 관광청
- 아이웨어는 기존의 시력교정용 안경 또는 선글라스 등의 용도로만 쓰이는 것이 아닌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대두됨.
- 특히 한국인 연예인들이 착용한 아이웨어 제품은 홍콩과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 유행임.
□ 아이웨어 제품 종류별 시장 현황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전체 아이웨어 시장 규모 중 안경의 시장 규모가 37.4%, 콘택트렌즈 및 렌즈 세척액이 35.1%, 선글라스가 27.5%의 점유율을 차지함. 또한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4.4%. 6.4%, 5.1%로 전망됨.
2018년 아이웨어 종류별 시장현황
(단위: 백만 홍콩달러,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5%2F1._%EC%95%84%EC%9D%B4%EC%9B%A8%EC%96%B4_%EC%A2%85%EB%A5%98%EB%B3%84_%EC%8B%9C%EC%9E%A5_%ED%98%84%ED%99%A9.jpg)
자료: 유로모니터
□ 유통경로에 대한 연령대별 상이한 선호도
ㅇ 노년층에게 환영받는 오프라인 판매
- 홍콩의 아이웨어 제품 판매는 오프라인 채널인 안경원(점유율 90.7%)에서 주로 이뤄짐.
- 안경원에서는 시력검사와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으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노년층에서 꾸준하게 이용하고 있음.
- 또한 2014년부터 정식으로 시행된 'Elderly Healthcare Voucher Scheme'으로 인해 안경원을 방문하는 노년층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Elderly Healthcare Voucher Scheme: 홍콩 정부에서 70세 이상 노인에게 2000홍콩 달러(미화 256달러) 상당의 바우처를 제공해 건강검진이나 안경을 구매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ㅇ 젊은 층에게 각광받는 온라인 판매
- 전자상거래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아이웨어의 온라인 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오프라인 판매 점유율이 다소 하락한 반면, 온라인 판매 경로의 점유율은 2013년 4.2%에서 2018년 8.5%로 증가함.
- 온라인에서만 판매하는 신생 브랜드나 해외 브랜드의 아이웨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행에 민감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찾는 젊은 층에게 각광 받고 있음.
2013년과 2018년 아이웨어 제품 유통경로별 점유율 비교
(단위: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6%2F%EC%95%84%EC%9D%B4%EC%9B%A8%EC%96%B4_%EC%9C%A0%ED%86%B5%EA%B2%BD%EB%A1%9C.jpg)
자료: 유로모니터
□ 홍콩의 아이웨어 제품 트렌드
카테고리
| 사진
| 설명
|
소재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6%2Funtitled.png)
Nike vision의 스포츠용 안경
| - 스포츠 등 야외활동에 적합한 내구성 좋고 가벼운 소재를 사용한 안경 - 친환경적인 요소와 기술이 결합한 제품으로 HKPC(홍콩 생산성본부)에서 Arts Optical International Holdings와 협업해 안경테의 전기도금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폐수 방류를 줄임.
|
디자인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6%2Fmoscot.jpg)
Moscot의 'classicon' 콜렉션 안경
| - 렌즈가 크고 크리스탈, 메탈 등의 소재를 사용해 빈티지 느낌을 더한 안경이 홍콩에서 유행하고 있음.
|
기타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896%2Flens.jpg)
Pinkicon의 컬러렌즈
| - 눈이 또렷하게 보이는 효과를 주는 컬러렌즈는 한국뿐만 아니라 홍콩의 젊은층에게도 인기임.
|
자료: HKTDC, Nike vision, Moscot, Pinkicon
□ 시사점
ㅇ 홍콩의 아이웨어 제품 시장은 홍콩뿐만 아니라 중국인 관광객 수요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중국인 관광객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시장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ㅇ 노년층에서 자주 이용하는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온라인 판매도 성장세임. 특히 전자상거래를 통해서는 온라인에서만 판매하는 신생 브랜드의 상품이나 독창적인 디자인의 아이웨어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인기임.
ㅇ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홍콩에서 유행하는 아이웨어 제품 트렌드와 연령층별로 선호하는 유통경로를 고려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상품군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ㅇ 매년 홍콩에서 개최되는 홍콩 국제광학전시회(HKTDC International Optical Fair)가 올해 11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개최될 예정이며, 해당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해당 전시회는 올해로 27회째를 맞이하며, 작년에는 23개국에서 810개 기업이 전시에 참가한 바 있음.
· 전시회 홈페이지: https://event.hktdc.com/fair/hkopticalfair-en/HKTDC-Hong-Kong-International-Optical-Fair/
자료: 유로모니터, HKTDC, ITC, Frost & Sullivan, GovHK, Etsy, Zeiss, Pinkicon, Moscot, 홍콩 관광청 등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카페 게시글
사업정보.자료
[정보]
지속성장하는 홍콩의 아이웨어시장, 최신 트렌드는?
스프링
추천 0
조회 251
19.08.06 15:05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