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도심 지역의 노후한 주택 등으로 이사 가면서 기존의 저소득층 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신사 계급을 뜻하는 '젠트리(gentry)'에서 파생된 말로 본래는 낙후 지역에 외부인(부유층)이 들어와 지역이 다시 활성화되는 현상을 뜻했지만, 최근에는 외부인이 유입되면서 본래 거주하던 원주민이 밀려나는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이고 있다.
도시 환경이 변하면서 중 · 상류층이 도심의 주거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주거비용이 상승하면서 비싼 월세 등을 감당할 수 없는 원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밀려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R. Glass)가 노동자들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이주를 해오면서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우선 임대료가 저렴한 도심에 독특한 분위기의 갤러리나 공방, 소규모 카페 등의 공간이 생기면서 시작된다. 이후 이들 상점이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지면서 유동인구가 늘어나고, 이에 대규모 프랜차이즈점들도 입점하기 시작하면서 임대료가 치솟게 된다. 그 결과 소규모 가게와 주민들이 치솟는 집값이나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동네를 떠나게 되고, 동네는 대규모 상업지구로 변화된다. 예컨대 2000년대 이후 서울의 경우 종로구 서촌을 비롯해 홍익대 인근, 망원동, 상수동, 경리단길, 삼청동, 신사동 가로수길 등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젠트리'라는 말이 지닌 본래의 근사한 의미와는 달리 대한민국에서 진행되는 젠트리피케이션에는 피냄새와 통곡소리가 짙게 배어 있다. 삼청동, 북촌, 신사동 가로수길, 홍대, 상수동, 이태원, 경리단길, 합정동, 연남동, 망원동 등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 삼청동 등은 상가 등의 임차인들이 흘리는 피눈물이 마를 새 없는 장소이고, 핫(hot)한 지역에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는 단 한 가지 이유로 불로소득을 얻는 건물주들의 웃음이 그치지 않는 사회경제적 공간이다.
홍대 등의 핫플레이스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간명하되 도식적이다. 이것은 일종의 영겁회귀와도 같다.
먼저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교통이 괜찮은 곳에 분위기 좋은 공연장, 갤러리, 카페, 식당 등이 입주해 장사를 한다. → 사람들이 몰려든다. → 이른바 핫플레이스가 되고 장사 등이 잘 된다. → 입소문과 미디어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더 몰려든다. → 땅값과 보증금과 임대료와 권리금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 견디다 못한 임차인들이 변두리로 쫓겨난다. → 건물주들만 행복하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 중인 홍대 등의 핫 플레이스에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건물주들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이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땅값이 치솟고 임대료가 치솟아 지갑이 날로 두둑해지는 사람들은 대한민국에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이들이 누리는 행복 중 많은 부분이 정당하지 못하다. 이들이 누리는 부의 아주 많은 부분이 '불로소득'이기 때문이다.
건물주들은 홍대 등이 핫 플레이스가 되는 데 기여한 것이 거의 없다. 홍대 등이 핫 플레이스가 된 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세금으로 투입한 각종 인프라 덕분이고, 홍대 등을 특색 있는 명소로 만드는데 문화자본을 투입한 임차인들 때문이다.
각종 사회적 인프라가 집중되고, 문화자본이 투입되는 곳에 사람들이 몰리는 건 당연지사다. 사람들이 몰리면 지대가 치솟고, 지대가 치솟으면 땅값이 앙등한다. 건물주들은 단지 토지와 건물의 소유권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사회와 타인이 만든 부를 독식하고 있다. 합법의 외피를 두르고는 있지만 그처럼 부정의하고 비효율적인 일도 드물다.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최소주의적 정의(justice)는 "기여한 자가 그에 상응하는 댓가를 가져가는 것"이다.
홍대 등의 핫 플레이스에서 장사하다 쫓겨난 임차인들의 소원은 건물주가 되는 것이라 한다. 청소년을 비롯한 수 없이 많은 시민들의 꿈이 건물주가 돼 임대료를 받으며 놀고 먹는 것이라는 말도 회자된다. 어쩌다 대한민국이 이 지경까지 왔는지 모르겠다. 이런 추세와 경향을 바꾸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암울할 뿐이다.
이태경 토지정의시민연대 사무처장
허핑턴포스트 기사내용임
알럽회원이 된지 10년이 훨씬 더 지났는데 댓글을 빼고 정식 글을 쓰는 건 처음이네요
아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현업에 종사하는 건축삽니다 대학에 도시재생관련해 건축설계과목을 5년동안 지도했고 지금은 다른 설계를 가르칩니다
리쌍관련 임대차분쟁이 엔게의 듀란트이적건의 뒤를 잇는 듯 해서 비스게의 미신과 오해를 깨기 위해 글을 씁니다
안타깝게 관련 내용에 대한 제 자료가 전공수업용이라 비스게회원님의 이해를 위해 신문기사를 무단도용했습니다
문제시 삭제하고 제가 정리한 자료를 올리겠습니다
@관절염 걸린 조던 진짜 학생 가르치는 분답게 쉽게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셨네요. 이댓글은 확실히 다 알아들었어요.
말씀해주시는 내용은 다 맞지만 지금 이 사건만으로 놓고보면
리쌍은 그 가격이 오른 상태의 건물을 구입한 경우이고
현재 문제가 되는 임차인이 그 주변 건물 가격을 올려놓은것도 역시 아니지 싶네요...
크게 보면 말씀하시려는 내용이 다 맞는 말씀이시고 문제점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지금 이 사건 자체에 포인트를 두자면 조금 거리가 있는 내용이 아닌가 싶습니다.
@what a play by Grant Hill 그런데 리쌍이 애초에 그 건물을 산 이유가 자본 투자라고 생각하면 내내 이 댓글에서 설명하신 범주 안에 드는 이야기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길 바라지, 내려가길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까요. 리쌍 들어와서 가게 내는데 임대료 유지하면서 또는 부동산 가격 뛰는걸 염려하진 않을테니.. 뛰면 뛰지 절대 내려가진 않을걸요. 과정 상에서 벌어진 건 다채롭지만 전체적인 맥락은 그 안에 있죠. 신사동 가로수길이면 이미 젠트리피케이션화가 많이 진행된 동네긴 합니다만...ㅎㅎ
백프로 동의합니다
다시 한번 제 의견을 쓰자면 분명 2년계약 끝났을 시점에 나가라고 했을땐 '건물주의 갑질이네'하고 문제 삼을 수 있었을 상황입니다만.
지금의 모습을 보면 '이미지로 장사하는 연예인을 상대로하는 임차인의 갑질이네' 의 상황으로 바뀌었습니다.
제가 이쪽 분야에 무지해서 궁금해서 질문드려요.
"(중략)홍대 등을 특색 있는 명소로 만드는데 문화자본을 투입한 임차인..." 이 내용은 이해되고 심히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문화자본을 회수하는 과정를 가게의 수입증가로 인한 이득으로 생각하는데, 이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상권과 건물의 가치에 대한 이익을 이론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이 어떤식으로 분배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정확히 알진 못하지만 일본이나 유럽? 독일쪽은 거의 평생 임대라고 들었어요. 그런식으로 임대인이 임차인을 배려해줘야 그 건물도 살고 거리도 살고 하지 않을까요? 당연히 임대료는 법대로 올리면서, 서로 공생하면서 살 수 있을 거 같아요.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문화자본을 투자한 임차인의 경우, 그 가게를 유지하면서 계속 수입을 해야 재생산이 가능하고 그 동네가 더 발전할 수 있겠죠. 그런데 외부에서 그 동네에 투자하는 자본가, 즉 임대인의 경우, 자본을 가지고 있으니 투자를 하지만, 기본적인 지대(임대료) + 임차인이 투자한 문화자본으로 인한 지대를 수취합니다. 게다가 이 동네가 떠서 투자하는 자본가가 많을 경우, 해당 동네의 부동산 가치가 상승하고 추가적인 이윤이 발생하죠. 그러나 이 경우 임차인은 자신이 투자한 문화자본은 회수하지 못하고 올라간 임대료로 인해서 퇴거해야 합니다. 해서 또 다른 동네로 이동하는 것이죠.
헌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투자는 인정됩니다. 노동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런 일이 발생하죠. 자본가는 노동자를 고용하고 이윤을 얻습니다. 노동자는 임금을 받죠. 그 가운데 적절합 기준을 두고 일어나는 사건이 노조/임금협상의 역할이죠. 아직 한참 부족하지만, 그래도 자본가/노동자의 경우 많은 협의가 이루어지고 예전보단 나아졌습니다. 그러나 건물주/세입자의 관계는 여전히 슈퍼갑/슈퍼을의 관계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죠.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세입자의 관계가 반영될 수 있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론적으로 분배의 적정선이란건 전문가들이 하는 일이겠지만, 방향성은 그래야겠죠.
"상권과 건물의 가치에 대한 이익을 이론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이 어떤식으로 분배를 해야하는지" -> 노동자의 적정임금이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는 사실 아직도 정해진 것이 없죠.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이 이론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닌 것처럼요. 이 부분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진행될 내용입니다. 여쭤보신 것도 마찬가지겠죠. 건물주의 자본을 통한 이윤을 보장하면서도 세입자의 권리도 보호할 수 있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어디까지 보호해줘야 하는지,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겁니다. 다만 지금보다는 건물주라는 슈퍼갑이 약해져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가게들 사라지는거 보고있노라니 늘 안타깝습니다.
법은 바뀌어야죠. 임차인을 보호할 수 있게끔요. 더 좋은 방향으로 바뀌어야죠.
하지만 지금 저 상황같은 방법은 아니라는거에요. 법이 잘못됐고, 그걸 위해서 3년전? 어쨋든 무슨 단체를 만들었다면서요. 그때부터 지역 국회의원을 압박하든 시위를 하든해서 사회적인 문제로 올려야죠. 저 문제를 사회문제로 올렸으면 공감할 사람도 많을거고 뭔가 파장은 있었을겁니다.
그런데 자기 계약 연장되니까 조용히 있다가 계약기간 끝나니까 이제와서 또 언론이용해서 이미지로 먹고사는 연예인이라는 약점을 물고 뜯으니까 비난을 받는 상황이라는거죠
댓글만 보고 있어서 이번 사건의 임차인이 정확히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리쌍이 고생하고 있는건 맞는것 같아요.. 남들 재테크 하듯이 나도 그냥 따라했을 뿐인데... 암튼 만만치 않은 임차인인 것 같고.. 이번에 페이스북으로 보니 제 아는 얼굴들이 임차인과 함께 있는게 보이던데... 이 문제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는거 생각하면 이 정도 이슈화시킨 것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이 정도로 이슈가 된 사회문제로 만들었고 얘기가 공론화되고 있잖아요.
연예인이 집주인이라는 지금 상황만큼 조명 받고 자기 목소리를 사회에 알릴만한 상황이 있을까요?
수많은 임차인들이 임대차계약의 잘못된 점에 대해서 외쳤지만 이렇게까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끈 적은 없었죠.
리쌍은 또다른 피해자라고도 볼 수 있을만한 상황이긴 한데 만약 제가 저 세입자라면 언제 누구한테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했어야할까하는 의문이 드네요.
현재 법체계대로 하려고한 죄밖에 없는 리쌍은 돈은 돈대로 쓰고 불쌍하게 된거긴하네요.
수많은 부조리에도 눈 깜짝 안하면서 연예인의 조그만 허물에는 불같이 달려드는 사회 특성때문인 것 같네요.
@ms♪ 저는 한번도 리쌍이 잘못했다고 한적 없습니다
리쌍은 이땅의 상식적인 건축주인데 그의 아티스트의 이미지와 그 상식적 임대인의 이미지가 미스매치된다는 것정도의 디스를 했죠
그냥 하고 싶은 말은 구조적으로 잘못된는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력관계가 맘에 안든다는 의견입니다
태생이 반골기질이라 약한애랑 센애랑 붙으면 약한애 편에 서요
리쌍은 임차인 안내보내도 조금 손해보는거지만 임차인은 전부를 잃는 것일수가 있습니다
전 르브론이나 듀란트처럼 센편으로 안가요 한대 맞고말죠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