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예배사역의 이해 수천 년의 역사가 흐름에 따라 예전의 규례가 주어질 때의 환경은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또 일정한 규례의 반복은 형식화되어 신령과 진정의 결여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원시 기독교 시대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신 이후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기독교(Christianity)라는 정체성을 갖추려는 시도들이 사도들을 통해 일어났다. 아마도 이것은 유대교적인 생활행습에 젖어있던 일반의 사람들에게 예수 중심의 구체적인 종교적 의식성의 통합과 예전적 재이해를 기본적으로 목적하고 진행되었을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아니한 유대교의 예배는 구약의 규례를 그대로 고수하였을 것이기에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영접한 기독교는 구약의 희생 제물을 중심으로한 형식적인 예배를 중단하기에 이르렀고 말씀의 예전과 성만찬 성례전을 구심점으로 하는 새로운 예배를 행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예전 의식은 지난 2천년 동안 지속하게 되었다. 경배와 찬양운동(Praise and Worship Movement)은 위와 같은 맥락에서 예배의 또 다른 형식화라고 볼 수도 있으며 이것은 기본적인 예배에의 이해를 전제로 시작되는 예배 음악의 새로운 면이라고도 보여진다. 간략하게나마 예배의 정의와 배경 고찰을 해볼 때 우리는 경배와 찬양의 필요성에 대한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1. 예배의 정의 가. 예배의 어원적 고찰 예배(Worship)라는 말은 고대 앵글로 색슨어 weorth-scipe로부터 유래되었으며, 이것은 다시 가치(worth) + 신분(ship)에서 worship이 되었다. 즉, 하나님께 예배하는 것은 그 분께 최상의 가치를 돌리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의 가치를 선언하여 하나님께 능동적으로 응답하는 것이다. 구약 성경에서의 '엎드려 절하는 것(bowing down)'을 의미하는 샤하아(shachah)와 '섬긴다(to serve)'는 의미가 있는 아바드(abad)라는 히브리어는 예배의 어원적 근간을 이루어 주고 있다. 신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경배와 섬김을 묘사할 때 쓰이는 프로스퀴네오(proskuneo)와 라트류오(latreuo)라는 단어는 예배의 정점에 쓰이는 행위적 단어이다. 예배의 정의를 위해서 예배와 관계된 히브리어, 헬라어 어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약에 빈출되는 어휘로는 할랄(halal, 자랑하다), 야다(yada, 두 손을 높이 들고 감사함으로 경배하다), 바락(barak, 송축하다), 테힐라(tehillah, 노래하다), 자마르(zamar, 악기로 찬양하다), 샤바흐(sabah, 외치다)가 있고 신약에서는 아이네오(aineo, 찬양), 독사(doxa, 영광), 에파이노스(epainos, 칭찬, 찬양), 율로게토스(ulogetos, 복된, 찬양 받으신), 엑쏘몰로게오(exomologeo, 감사하다), 훔노스(hymnos, 찬송), 메갈루노(megaluno, 위대하게), 프쌀모스(psalmos, 시편, 찬송)가 있다. 이것은 모두가 다 하나님께 향한 의지적인 노력을 의미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리차드 포스터는 예배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로 '하나님 확대하기'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경배와 찬양의 핵심적인 숙어(idiom)라고 볼 수 있다. "하나님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을 확대한다는 것은 비율을 증가시켜 더 크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이나 우리의 활동을 지나치게 확대해서 말하는 것은 참으로 위험하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을 확대하는 것은 안전하다. 우리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사랑에 대해 아무리 확대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가 생각해 낼 수 있는 최대한의 과장된 것도 실제 하나님의 그것에는 전혀 미치지 못한다" 나. 예배의 정의 예배란 '하나님을 자랑하기,' '드러내기,' '확대하기'라는 우리의 의지적인 노력의 단어가 쓰여질 수는 있으나 그것은 인간 쪽에서의 응답(Response)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김남수교수는 그의 책 [예배와 음악]에서 서로 다른 표현이지만 예배의 본질에 관해 말하고 있는 여러 학자들의 예배에 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였다. a.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대화(Conversation), 하나님께 드림(Giving), 그리고 하나님을 닮아 가는 과정(Becoming)이다. (Bruce Leafblad) b. 예배는 영원부터 계신 창조주 하나님께 대한 인간의 절대적 숭배라는 반응이다. (Evelyn Underhill) c. 예배는 하나님의 계시(Revelation)에 대한 인간의 인격적인 응답(Response)으로 하나님과 그의 백성들 사이의 대화(Conversation)이다. d. 예배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in), 그리고 그를 통하여(through) 하나님을 알게 되고, 앎에 따라 응답함으로써 심오한 경지에서 실제(Reality)에 접근하려는 신중한 행동이다. (박은규) e. 예배는 창조주와 인간 사이의 사랑의 교제를 통하여 얻게되는 결과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사랑에 반응하여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극치이다. 예배는 인간의 영원한 부르심에 대한 첫 번째 주요 목적이다. (Bob Sorge) f. 예배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속 행위를 축하하는 것이다. (Sally Morgenthaler) 위에서 말한 예배의 어원적인 의미를 켄터베리 주교였던 윌리엄 템플(William Temple)보다 더 잘 정의내리며 전체적인 문장으로 표현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는 예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예배란 우리의 모든 인격을 하나님께 순종케 하는 것이다. 예배란 하나님의 거룩하심으로 우리의 의식을 소생시키는 것이며 그의 진리로써 우리의 생각을 자라게 하는 것이며, 그의 사랑을 향해 우리의 마음을 여는 것이며, 그의 원하시는 뜻에 우리의 의지를 복종시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예배에서 하나로 모아지게 되며, 이것은 우리의 본성이 할 수 있는 가장 이기적이지 않은 감정이다." |
최지호 목사(지구촌교회 예배목사, 아삽하우스지기) [출처] [본문스크랩] 예배란|작성자 나그네 |
출처 : http://blog.naver.com/dongpae2/120049468679
예배(경배)와 찬양, 감사
http://cafe.daum.net/HFJ/
I. 예 배(1)
1. 예배의 중요성
1)성경은 예배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주님은 예배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십니다.
3)하나님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자들을 찾고 계십니다.
2. 예배의 의미
1)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입니다.
2)예배는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는 것입니다.
3)예배는 하나님의 인격을 섬기는 것입니다.
3. 예배의 목적
1)예배는 하나님을 위한 것입니다.
2)예배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기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4. 하나님의 다스림과 예배
1)하나님의 다스림이 있는 곳에는 예배가 있습니다.
2)하나님의 백성들은 예배자들입니다.
3)예배는 하나님의 임재와 다스림에 대한 피조계의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 하나님에 대한 관심이 우리의 삶 속에 늘 있어야 합니다.
II. 예 배(2)
1. 창조와 타락
1)하나님은 말씀으로 세상을 창조하셨습니다.
2)하나님은 창조를 통해 자신의 생명과 영광을 드러내셨습니다.
3)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습니다.
4)에덴동산은 하나님의 생명과 영광이 흘러넘치는 곳이었습니다.
5)그러나 이 관계는 인간의 범죄에 의해 파괴되고 말았습니다.
2. 사귐의 회복
1)범죄한 인간에게 하나님은 하나님과의 사귐의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2)출애굽 이후 하나님은 성막 예배를 통해 인간과의 만남을 계속하셨습니다.
3)하나님과의 만남에는 제물이 필요했습니다.
4)솔로몬 시대에 와서는 성전 예배를 통해, 바벨론 포로기에는 회당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만남이 계속되었습니다.
5)성막과 제사법은 예수님의 그림자입니다.
3. 예배의 원리
1)예배는 영과 진리로 해야 합니다.
2)예배는 믿음으로 해야 합니다.
II. 예 배(3)
1. 예배의 과정
1)하나님 임재 안으로 들어갈 때는 감사와 찬양을 드려야 합니다.
2)하나님 앞에서는 경배해야 합니다.
3)하나님께 우리의 모든 것을 드려 하나님께서 우리를 하나님 뜻대로 변화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4)하나님을 만난 기쁨을 누리면서 세상에서 하나님을 섬겨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2. 예배의 결과
1)예배는 우리 안에 하나님의 생명이 넘치게 합니다.
2)예배는 우리 안에 평안과 기쁨을 넘치게 합니다.
3)예배는 치유를 낳습니다.
4)예배는 모든 묶임으로부터 자유케 합니다.
5)예배는 하나님을 알게 합니다.
6)하나님과의 사귐을 통해 예배자는 하나님을 닮아 갑니다.
7)예배는 열매 맺는 삶으로 이끕니다.
8)예배는 올바른 인간상을, 따라서 올바른 자아상을 갖게 합니다.
9)예배는 하나님만 경배하고 섬기게 합니다.
10)예배는 이웃과 세상을 하나님의 마음으로 사랑하게 합니다.
11)예배는 참다운 가치관을 정립시켜 줍니다.
12)따라서 예배는 우리의 삶을 참되게, 가치 있게, 아름답게 합니다.
IV. 찬 양
1. 찬양의 의미
1)찬양은 하나님을 자랑하는 것입니다.
2)찬양은 하나님의 성품과 하시는 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합니다.
3)찬양은 하나님의 성품과 하시는 일에 대한 놀라움으로 표현됩니다.
2. 찬양의 당위성
1)찬양은 주님의 명령입니다.
2)하나님은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3)하나님은 찬양 속에 있기를 기뻐하십니다.
4)하나님과의 만남을 위해 찬양해야 합니다.
5)하나님께서 자유롭게 역사하시도록 찬양해야 합니다.
6)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우리의 삶의 목적입니다.
3. 찬양의 방법
1)찬양은 우리의 모든 것을 다해 드려야 합니다.
2)찬양은 여러 가지로 표현됩니다.
3)찬양할 때 자신이나 남에게 신경을 쓰다 보면 자유로이 찬양하지 못하게 됩니다.
4)찬양은 공개적인 것입니다.
5)찬양은 부담스러운 짐이 아니라 기꺼이 누려야 할 특권입니다.
V. 경 배
1. 경배의 의미
1)경배는 예배의 핵심입니다.
2)경배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입니다.
3)경배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순종입니다.
2. 경배의 방법
1)경배는 몸의 자세로 표현됩니다.
2)경배의 관심은 자신을 낮추는 데에 있습니다.
3)침묵도 경배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3. 경배의 이유
1)하나님은 온 세상의 창조자이십니다.
2)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자이십니다.
3)하나님은 우주 만물의 통치자이십니다.
4)하나님은 최후의 심판자이십니다.
5)이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이십니다.
VI. 기쁨
1. 기쁨과 하나님
1)기쁨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정서입니다.
2)하나님은 기뻐하는 분이십니다.
3)하나님 나라는 기쁨이 가득한 곳입니다.
2. 기쁨의 근원
1)기쁨은 우리의 조건과는 무관한 것입니다.
2)기쁨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집니다.
3)그리스도와 연합해야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3. 기쁨과 찬양
1)찬양과 직결되는 것이 기쁨입니다.
2)찬양의 이유가 바로 기쁨의 이유이기도 합니다.
3)찬양은 기쁨을 솟아나게 합니다.
4)찬양할 때 몸과 마음이 다 기뻐하는 것이 성경적입니다.
VI. 섬김
1. 예배와 섬김
1)그리스도인의 삶은 섬김의 삶입니다.
2)예배는 섬김입니다.
3)예배자는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들입니다.
2. 예배와 삶
1)삶은 예배의 연장입니다.
2)그 제물은 우리 자신입니다.
3. 삶의 예배의 세 양상
1)예배와 찬양과 기도의 삶으로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2)지체를 사랑함으로써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3)하나님 나라 건설로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4)하나님 나라는 예배를 통해 확장되어 갑니다.
**************** 찬양이란? ****************
I . 찬양의 제사
1. 찬양의 조건
1)누가 찬양해야 합니까?
2)어디서 찬양해야 합니까?
3)언제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까?
4)어떤 상황에서도 주님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2. 찬양의 제사
1)모세의 성막과 솔로몬의 성전 사이에 다윗의 장막이 세워진
기간이 있었습니다.
2)다윗의 장막은 모세의 성막과 달랐습니다.
3)이 찬양의 제사를 주께서 원하십니다.
4)찬양에는 조건이 없습니다.
II. 찬양과 하나님의 다스림
1. 할 랄 (halal)
1)할랄의 기본 의미는 자랑입니다.
2)할랄의 명사형은 테힐라(tehillah)입니다.
* 할랄에 해당하는 신약어는 아이네오(aineo)입니다.
2. 찬양과 하나님의 나라
1)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다스림과 그 백성들의 예배하는 삶으로 이루어집니다.
2)할랄은 하나님 나라의 주인이신 하나님에의 감격적인 반응입니다.
* 할렐루야(hallelujah)는 하나님과 그의 통치에 대한 반응의 절정입니다.
3. 찬양의 증거
1)찬양을 통해 하나님의 이름이 증거됩니다.
2)찬양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확장됩니다.
* 이러한 찬양을 지나치게 감정적이라고 기피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II. 찬양과 영적 전쟁(1)
1. 야다 (yadah)
1)야다는 고백의 찬양입니다.
2)야다는 환난 속에서 드리는 찬양입니다.
3)야다는 의지적인 결단입니다.
2. 토다 (todah)
1)토다는 야다의 명사형입니다.
2)그러나 토다는 본질적으로 주님을 고백하는 마음가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3. 영적전쟁과 찬양
1)야다는 강력한 영적 무기입니다.
2)하나님께 찬양을 올려 드릴 때 구원의 능력이 임합니다.
IV. 찬양과 영적전쟁(2)
1. 하나님 나라의 군대
1)그리스도인들은 영적 전쟁의 상황 속에 있습니다.
2)그리스도인들은 영적 군사가 되도록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3)그리스도인들을 돕는 하나님의 군대가 있습니다.
4)하나님이 그 군대의 총사령관이십니다.
2. 예배와 영적전쟁
1)영적전쟁의 승리는 하나님께 달려 있습니다.
2)따라서 우리가 하나님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가 영적전쟁의 승패를 결정합니다.
3. 패배의 요인들
1)영적전쟁에서 패배케하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우선, 죄를 들 수 있습니다.
2)무지도 패배로 이끕니다.
3)불신과 그에 따른 두려움, 염려, 자포자기 등도 패배를 부릅니다.
4. 영적전쟁의 무기들
1)능력의 근원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2)하나님의 이름에 하나님의 권세가 있습니다.
3)하나님의 말씀에 하나님의 능력이 있습니다.
4)이러한 능력의 통로가 기도와 찬양입니다.
* 결국 모든 사건 해결의 핵심은 하나님의 임재에 달려 있습니다.
V. 찬양의 증거
1. 축복
1)하나님은 생명체를 창조하신 후 복을 주셨습니다.
2)모든 축복의 근원은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이십니다.
3)따라서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그 말씀 안에 거하지 않는 자는 생명의 근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4)하나님의 모든 축복은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믿는 자에게 회복 되었습니다.
2. 바락 (barak)
1)바락의 기본 의미는 `축복하다`입니다.
2)축복하는 것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한 방법입니다.
3)하나님께서 주신 복에 감사할 때 하나님을 송축합니다.
3. 증거의 찬양
1)바락은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에 대한 증언이기도 합니다.
2)송축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 그 나라의 부요함이 증거됩니다.
* 송축은 좋은 상황에서만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VI. 찬양과 경축(1)
1. 찬양과 외침
1)찬양은 소리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2)너무 기쁠 때 우리는 큰 소리를 내게 됩니다.
2. 찬양과 음악
1)노래나 악기 연주로 찬양하는 것은 아름답고 힘이 있습니다.
2)노래나 악기로 찬양하면 큰 기쁨이 넘치게 됩니다.
3)히브리어 `자마르`(zamar)는 그 자체로서 `노래나 악기로 찬양하다`라는 뜻입니다.
4)자마르에 해당하는 신약의 단어는 `프살로`(psallo)입니다.
* 노래나 연주는 찬양할 수 없는 우리를 도와 찬양하게 합니다.
VI. 찬양과 경축(2)
1. 성경에서의 춤
1)춤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2)춤을 뜻하는 구약어로는 동사 훌(chuwl)과 이 단어의 명사형인 마훌 (machowl) 및 메훌라(mechowlah)를 들 수 있습니다.
2. 찬양과 춤
1)찬양은 춤으로도 표현될 수 있습니다.
3. 찬양과 기쁨
1)춤은 기쁨을 몸 전체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하나님 앞에서 버려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출처] 예배(경배)와 찬양, 감사 |작성자 나그네
출처 : http://blog.naver.com/dongpae2/120048989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