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에 비치된 레일로드에 나오는 운임표를 보고 생각나서 질문드립니다...
근데.. 어이없는 것은 아직도 (2005년 8월호) 어김없이 마을기차 운임표가 나와잇더군요..
요 운임표를 보다가 궁금한 것이 많이 있어서 결국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R째... 동대구<->포항,울산 간 복합열차 형식으로 운행되었나요?? 아니면 따로 운행되었나요?
둘째... 편성은 어떻게 되었나요?? 기관차견인 객차형 or PP형
셋째... 복합열차 형식으로 운행했다면.. 편성은 PP로 운행하였나요??
넷째... PP복합형이라면 4+4로 운행되었나요? 정차역과 수요 특성을 보면 4+4가 가능성이 높군요..
다섯째.. 1일 총 몇회 운행 되었나요??
여섯째.. 정차역은 운임표에 나온 그대로 입니까?? 사실이라면 충격이 클듯...-_-;;
일곱째.. 아직도 레일로드에 버젖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 인가요?? 새마을호의 자존심을 한순간에 짖발아버린 철공의 만행을 자랑하기 위해서인가요??
여덟번째... 동대구<->포항,울산외 다른 운행 구간이 있었나요??
마지막... 이 열차에도 여승무원 탑승 했습니까?? 그리고 자동안내 방송도 있었나요?
첫댓글 따로 운행되었습니다... pp동차로 7량운행되었구요... 하도 욕 먹어서 나중에 통근열차,무궁화로 싹 바뀌었다는;;;(열차 운행횟수는 잘 모르겠습니다;;; 비교적 많이 운행된걸로 기억을)
8+8복합 형태로 운행되었구요.PP동차로 운행되었습니다..나온지 몇일 안되어서 없어진 불운의 열차이죠..ㅎㅎ
8+8이 아니라 단독으로 7량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때 서울-포항.울산 새마을호도 식당차 없애고 7+7량으로 운행되었습니다.
마을열차는 대전-광주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동대구-울산/포항 열차도 특실이 끼여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윗분 무슨말씀을..? 복합형태로 운행된건 서울발이었고 동대구발은 7량 독립편성이였습니다 울산행 포항행 시간이 달랐지요.. 특실도 물론 껴있었지만 요금은 특실요금 따로 안받았음..
특통기관사님 말처럼 동대구발은 7량 독립편성 맞습니다~ 그그.. KTX와의 환승시 KTX+통근은 열차 등급차이가 너무나기때문에 KTX+새마을 이렇게 운행걸로 기억하는데.. 아닌가요?? 아무튼ㅎ 하양과 건천에도 정차했었다니 놀랍네요ㅎㅎ
동대구-포항,울산 새마을호를 서울-포항.울산 새마을호처럼 합병운행했으면 배차간격을 많이 줄일수 있었습니다만 폐지되었으니...건천역에는 새마을호가 정차를 안했습니다. 하양역과 효자역,호계역에 정차를 했었습니다.
일반적인 새마을호처럼 여객전무+여승무원..이렇게 탑승했습니다..
그리고 자동방송도 존재했습니다..
대전-광주간 마을기차는 아직도 살아있나요?
대전~광주 마을기차도 없어졌죠... 그래서 좀 고생한 기억이...
서울발말고는 다 사라졌습니다
복합 아닙니다.. 따로 운행 되었습니다 동대구 > 포항 동대구 > 울산 따로 운행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