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S Code | 3304 |
상품명 |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 화장품 제품류(의약품 제외) 美容品或化妆品及护肤品(药用品除外) |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중국 상무부(商务部)
□ 시장 규모와 추세
ㅇ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지속 시장 규모가 확대 중이며 2015년 이후 성장 속도의 증가세를 보임.
- 유로모니터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색조화장품 시장은 2012년 181억 위안에서 2017년 344억 위안에 달해 약 1.9배 규모로
확대됐고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13.89%의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음.
2012~2017년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유로모니터
ㅇ 향후 5년간 중국 색조화장품이 연평균 12% 수준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이후 미래 5년간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이 평균성장률이 11.97%에 달할 것이며, 2023년까지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가 660억 위안로 확대될 것을 예측함.
2018~2023년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규모 예상액
(단위: 억 위안)
자료: 유로모니터
□ 색조화장품 소비 추세
ㅇ 색조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군이 확대되고 있음.
- 소비자들의 피부와 미용에 관심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BB크림, CC크림 등 색조화장품을 사용하기 시작함. 또한 유아용 화장품의 시장 규모가 성장하면서 유아용 색조화장품 상품도 등장하고 있음.
2018년 티몰(T-mall) 소매대상(연령, 성별) 색조화장품 이용도
자료: <타오바오 티몰 2019년 외모지수 경제보고>
ㅇ < 타오바오(淘宝) 티몰(TAMALL, 天猫) 2019년 외모지수 경제보고>에 따르면 2018년 타오바오 티몰에서 색조화장품 소비자가 3억 명에 달했고 90년대 출생한 세대 소비자가 전체 소비자 중에서 50.80% 점유했고 80년대 출생 세대가 29.8%, 2000년대 출생세대가 6%를 각각 차지했음 .
- 여성이 여전히 색조화장품의 핵심적 고객군이나 2018년에 남성 소비자가 전체 소비자에서 32.30% 차지하는 등 적지 않은 시장 점유율이 보임 .
- 색조화장품에서 남성이 주로 사용하는 품목은 여성에 비해서 단일하고 대부분 베이스 메이크업, 아이브로우에 해당되는 제품임. 2018년 타오바오 티몰에서 남성용 아이브로, BB크림, CC크림 매출액 증가률이 약 20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됨.
□ 경쟁동향
색조화장품 브랜드 이용도 상위 10개 브랜드
□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중국 색조화장품 수출입 동향(HS Code 3304 기준)
(단위: 천 달러, %)
연도 | 수출 | 수입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2018 | 2,465,052 | 20.7 | 9,892,259 | 69.2 |
2017 | 2,041,731 | 20.9 | 5,845,865 | 46.0 |
2016 | 1,688,947 | 2.5 | 4,002,850 | 30.5 |
2015 | 1,647,605 | 15.4 | 3,068,074 | 39.8 |
2014 | 1,427,885 | 8.3 | 2,193,880 | 68.9 |
자료: KITA
ㅇ 한국→중국의 색조화장품 수입액은 2017년 43.1%, 2018년 70%로 최근 2년 동안 증가해왔으며, 해당 기간 국가별 중국으로의 수입액 중 한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음.
2017~2018년 중국 색조화장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304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7년 | 2018년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1 | 한국 | 1,546,318 | 43.1 | 2,629,377 | 70.0 |
2 | 일본 | 1,212,493 | 79.9 | 2,321,704 | 91.5 |
3 | 프랑스 | 1,407,753 | 30.3 | 2,027,835 | 44.0 |
4 | 미국 | 566,036 | 45.1 | 906,799 | 60.2 |
5 | 영국 | 259,473 | 5.1 | 419,499 | 61.7 |
6 | 스페인 | 118,948 | 624.4 | 184,937 | 55.5 |
7 | 독일 | 81,765 | 47.9 | 184,326 | 125.4 |
8 | 호주 | 111,291 | 46.6 | 156,151 | 40.3 |
9 | 태국 | 31,203 | 264.3 | 148,908 | 377.2 |
10 | 대만 | 93,815 | 25.7 | 143,329 | 52.8 |
자료: KITA
□ 유통구조
ㅇ 중국 화장품 분류에 의하면 색조화장품은 크게 베이스제품(BB크림, CC크림, 파운데이션 등), 아이메이크업 제품(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 펜슬, 아이섀도 등), 입술 메이크업 제품(립스틱, 틴트)으로 나누고 있음.
- 색조화장품 품목이 다양하고 품목마다 여러 브랜드가 있으므로 전체적 생산 및 공급 라인이 매우 복잡함.
- 주요 판매처는 브랜드 매장, 화장품 종합판매점, 온라인 쇼핑몰, 미용 APP 등임.
ㅇ 산시(陝西)성의 뷰티 유통업계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대학생과 젊은 층이 자주 찾는 곳은 백화점보다는 번화가의 소형매장들임.중국 색조화장품 브랜드들은 가격이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주로 고객군이 대학생이며, 유럽, 미국, 일본, 한국 브랜드의 경우 30대 이후의 소비자한테 인기가 높은 것으로 보임.
색조화장품 브랜드 종류별 유통구조
자료: 종타이증권연구소(中泰证券研究所)
ㅇ 색조화장품 온라인 판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중국 2018년 색조화장품 온라인산업 연구 보고 <2018 彩妆互联网行业研究报告>에 따르면, 2018년 온라인 매출액이 가장 많은 중국는 브랜드는 Pechoin(百雀羚), CHANDO(自然堂), PROYA(珀莱雅)임.
- 글로벌 브랜드는 백화점 및 슈퍼마켓에서 매출액이 상당히 높으나 온라인 플랫폼에서 그만큼 매출량이 많지 않음. 2018년 색조화장품 온라인 매출 현황으로 L‘oreal Paris, OLAY 등 글로벌 브랜드의 매출액은 총 17억 위안으로 중국 브랜드 제품의 매출에 비해 크게 높지는 않음.
□ 관세율, 수입규제(무역협정)
ㅇ 관세율: 화장품(HS Code 3304.9900) 수입세율 중 한중 FTA 세율이 5.7% 적용 권장
HS Code | 기본 세율 | 최혜국세율 | 한중FTA | 증치세 |
3304.9900 | 150% | - | 5.7% | 17% |
자료: 중국 해관
ㅇ 수입규제
통관 시 필요한 서류 및 인증
ㅇ 일반 화장품 중국 수출 시 구비 서류 - 비특수용도(일반용도) 화장품 수입 행정 허가 신청서 - 제품 중문 명칭 명명 의거 - 제품 성분 - 제품원 포장(제품 라벨, 설명서 포함), 중국 시장 포장 디자인, 제품 디자인 포장 -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이 인가한 검사기구의 검사보고서 및 관련 자료 - 제품 성분 중 위험 물질 안전성 평가 자료 - 행정 인가 보고 책임 단위의 매취수권서 복사본 및 행정 인가 보고 책임 영업허가증 공인 도장이 있는 복사본 - 화장품 사용 원재료 및 원료 생산지가 고위험 물질과 관련이 없다는 보증장 - 제품 생산국(지역) 및 원산지(지역)의 생산과 판매 증명 문서 - 이외 기타 서류 등
ㅇ 일반 화장품 수입상 구비 서류 - 사업자 등록증 - 비특수·특수 화장품 수입 증서 - 검역신고 위탁증서 - 통관 및 세관 위탁증서 - 이외 기타 서류 등 |
□ 시사점
ㅇ 외모와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의 잠재력이 커지고 있으며, 일반적인 소비자인 젊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유아, 중장년층 모두 색조화장품의 소비자로 확대되고 있음.
- 기초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운데이션, BB크림, CC크림 등 제품은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간편하며 빠르게 완성할 수 있어서 여성이외에 비교적 넓은 소비자층이 사용하고 있으며, 일상적으로 출근하면서 시간이 부족한 젊은 직장인들에게도 선호도가 높음.
- 현재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연해 1선 2선 도시에 집중돼 있으나 최근 중서부내륙지역에서 색조화장품 시장이 성장하며 유망한 시장으로 기대되고 있음.
ㅇ 색조화장품 전문점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아래와 같음.
-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므로 새로운 트렌드에 발맞추거나 앞서가는 것이 기업들에는 매우 중요할 것임. 특히 2018년부터 중국에서 일어난 “복고풍 화장”(复古妆) 및 “bling-bling (화려하게 차려입은) 화장”이 젊은 여성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유행트렌드가 됐음.
-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매장의 가격경쟁력이 높으며, 특히 최근 몇 년간 왕홍(网红)의 경제적 파급력이 커지면서 왕홍 생방송을 이용한 소비자의 색조화장품 구매가 증가하는 추세임.
- 색조화장품 전문점에서 납품되는 한국 브랜드 제품 중에서는 아이메이크업 및 입술메이크업 제품이 매출액이 가장 높아서 해당 제품의 중국 시장 진출이 상대적으로 유망할 것으로 보임.
ㅇ 변화하는 중국의 시장 상황에 따라 온라인 판매채널 다양화 및 맞춤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 타오바오와 징동뿐만 아니라 샤오홍슈(小红书)나 샤오홍춘(小红唇)과 같은 SNS와 이커머스를 결합한 플랫폼을 이용할 필요가 있음.
- 90後, 95後의 경우 다양한 매체에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 결정을 내리고 있음. 실제 사용 및 활용 방법 등 정보의 단순 전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오락성 있고 눈길을 끄는 콘텐츠를 제작해 소비자의 흥미를 이끌어내고 판매를 유도하는 전략도 유용할 것으로 보임.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중국해관, 중국 상무부(商务 部), 유로모니터, TAMALL, 징동, 중국 2017년 색조화장품 온라인 산업 연구 보고 <2017年彩妆互联网行业研究报告>, KITA,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