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올림방법
A=245.456*10 'A는 2454.56 이 됩니다. 10을 곱하는 이유는
올림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 소숫점의 자리를
바꾸기 위함입니다.
B=A+0.9 'B는 2455.46 이 됩니다. 0.9를 더하는 이유는 올림을
하기 위함인데 소수 첫째자리가 0이외의 숫자면 올림을
하기 위해서죠.
C=INT(B) 'C는 2455가 됩니다.. INT()함수는 정수만 돌려주는 함수로
소수점 아래는 버려지죠.
D=C/10 'D는 245.5가 됩니다. 10으로 나누는 이유는 원래의 소수점
자리로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A=INT((245.456*10)+0.9)/10 로 표현할수 있죠.
2. 반올림방법: 올림과 같은 원리입니다. B=A+0.9부분에서 0.9대신 0.5
를 더하면 반올림 되게 됩니다.
A=245.456*10 'A는 2454.56 이 됩니다. 10을 곱하는 이유는
올림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 소숫점의 자리를
바꾸기 위함입니다.
B=A+0.5 'B는 2455.06 이 됩니다. 0.5를 더하는 이유는 반올림을
하기 위함인데 소수점 첫째자리가 4이하면 5와 더해져서 9이하가
되므로 올림이 되지 않고 5이상 9이하면 10~14가 되어 한자리
올림이 되죠
C=INT(B) 'C는 2455가 됩니다.. INT()함수는 정수만 돌려주는 함수로
소수점 아래는 버려지죠.
D=C/10 'D는 245.5가 됩니다. 10으로 나누는 이유는 원래의 소수점
자리로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한줄로 표현하면 A=INT((245.456*10)+0.5)/10
3. 내림방법: 소수자리를 바꾼다음 INT()함수만 사용하면 됩니다.
A=245.456*10
B=INT(A) 'B는 2454가 됩니다.. INT()함수는 정수만 돌려주는 함수로
소수 아래는 버려지죠.
C=B/10 'C는 245.4가 됩니다. 10으로 나누는 이유는 원래의 소수점
자리로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4. 자리수가 다를때
1.올림의 식을보면 A=INT((245.456*10)+0.9)/10 인데 먼저 10을
곱해서 소수점자리를 바꾼다음 올림처리를 하고 다시 10으로 나눠서
소수점자리를 원위치 시겼습니다.
10을 곱하고 10으로 나누면 소수점 두번째자리를 올림이나 반올림하게
되고 100을 곱하고 100으로 나누면 소수점 세번째자리에서 올림하거나
반올림할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