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증이 위조된 것은 '부인'이라고 서증인부서에 기재하는 것은 알고 있으나 변조한 것은 무엇이라고 기재하나요?
예를 들면 회의록 사본에 허위사실을 가필/변조한 다음 재판부에 제출하는 경우입니다.
첫댓글 서증인부에서 과거에는 인정과 부인 등의 용어를 사용했는데 지금은 인정은 그대로 이고 부인은 부정이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요인부서에 기록을 할 시 인정을 상관이 없지만 부정의 경우에는 어떠어떠한 부분의 사실 확인 과정에서 어떠한 문서와 비교 대조해 보면 위조서류라 함이 명백하므로 부정을 한다는 토를 분명하게 다시길 바랍니다 민사소송의 문서 인증인 것 같은데요필승하시길 바랍니다
아침에 생각하니 부인과 인정이 아니고 "동의" "부동의"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인정이나 부인의 의미와 같은 뜻입니다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인부서 기제할 때에는 같습니다
확실히 정리가 되었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민사 경우)별도로 인부표를 제출해야 하며 인부표사건 원고피고 위 원고는 피고 을호증에 대하여 인부표를 제출합니다다음을 10호(차용증)...........부지(연대보증인 부분은 변조) 2012. 8.6 위 원고 @@@입
가르쳐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첫댓글 서증인부에서 과거에는 인정과 부인 등의 용어를 사용했는데
지금은 인정은 그대로 이고 부인은 부정이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요
인부서에 기록을 할 시 인정을 상관이 없지만 부정의 경우에는 어떠어떠한 부분의 사실 확인 과정에서 어떠한 문서와 비교 대조해 보면 위조서류라 함이 명백하므로 부정을 한다는 토를 분명하게 다시길 바랍니다
민사소송의 문서 인증인 것 같은데요
필승하시길 바랍니다
아침에 생각하니 부인과 인정이 아니고 "동의" "부동의"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인정이나 부인의 의미와 같은 뜻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인부서 기제할 때에는 같습니다
확실히 정리가 되었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민사 경우)별도로 인부표를 제출해야 하며
인부표
사건
원고
피고
위 원고는 피고 을호증에 대하여 인부표를 제출합니다
다음
을 10호(차용증)...........부지(연대보증인 부분은 변조)
2012. 8.6
위 원고 @@@
입
가르쳐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