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 세벌식 사랑 모임 ♡
 
 
 
카페 게시글
세벌식 사용기 세벌식 처음 사용자를 위한 참고 사항
보름달 추천 0 조회 126 24.06.03 01:07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6.04 09:44

    첫댓글 안녕하세요...
    저도 처음 세벌식을 시작 할때 390 으로 시작 하였습니다.
    초반에는 엄청 버벅 거렸으나 적응 하고 나서는 편하게 사용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391 도 사용 해 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다시 390 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역시 말씀 하신 기호 때문에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신세벌식 공동을 사용 하기 시작 한지 5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3줄만 사용 하게 되서 엄청 편합니다.
    자판 연습 프로그램으로 따로 연습을 안하다 보니 속도도 많이 안나오고 오타는 조금씩 있습니다.

    알려주신 연습 방법으로 자판 연습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작성자 24.06.04 11:05

    저도 3-90 자판을 사용하다가 3-91로 바꾼 지 한 달 정도가 되었는데요.
    3-91 자판을 사용해 보니, 한글 입력에 있어서는 3-90보다 더 낫다고 생각되는 점이 많네요.
    도대체 왜 이렇게 만든 걸까 싶더라도, 써보니까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 이해가 되는 부분도 많고요.
    하지만 자주는 아니더라도 3-91에 없는 기호를 입력할 때, 매번 영문으로 바꿔서 입력하기 불편하긴 하네요.

    지금은 신세벌식 공동을 사용하고 계시는군요.
    사용할 수 있는 세벌식 자판이 하나 더 늘어나셨네요.
    신세벌식은 3줄 형식이라 가까운 거리에서 칠 수 있어서 편한 모양이네요.

    5개월 정도 사용하셨으면 따로 연습하실 필요는 없고요.
    시간 날 때 문학 작품 같은 것들만 조금씩 치면서 즐기셨으면 좋겠네요.

    저도 3-91 자판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게 되면, 신세벌식 자판도 한번 사용해 보고 싶네요.
    신세벌식 공동SS도 괜찮아 보이더라고요.

  • 24.06.04 12:36

    저는 두벌식을 버린게 Shift 좀 그만 쓰고 싶어서였습니다. 손이 작아 Shift 누를 시 새끼손가락이 혹사되고 공세벌식은 숫자열을 사용해야하는데 손이 작으니 멀리있어 불편했습니다.
    처음 입문부터 신세벌식으로 했고 현재도 사용 중입니다. 사실 신세벌식은 파생된게 많아 뭘 선택하여 입문할지 그게 제일 고민거리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P2 사용하는 중인데 사실 다른 자판안이 더 나을수도 있겠지만 직접 테스트해보기 귀찮은게 너무 큽니다.

  • 작성자 24.06.05 04:53

    두벌식에서는 초성·종성 된소리를 모두 윗글쇠로 누르고, 초성·종성이 모두 왼손에 할당되어 있으니, 오른쪽 Shift를 누르는 오른손 새끼손가락이 피로하다고 느끼실 수도 있겠네요.

    공세벌식 같은 경우도 숫자열까지 한글 입력에 사용하니, 3줄보다는 4줄이 더 거리가 멀어 불편하다고 느끼실 수도 있고요.
    그런데 손이 작은 것과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키보드를 누를 때에는 보통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해서 사용하는데요.
    하나는 손을 고정한 상태에서 손가락만 뻗어서 누르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손 전체를 이동해서 누르는 방식입니다.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죠.

    그러니, 손가락이 안 닿는 위치에 있어서 불편하다면, 손 전체의 움직임을 가져가면 됩니다.
    공세벌식에서 손목을 떼고 누르라고 하는 것도 손 전체의 움직이는 범위를 넓히기 위한 것이고요.

  • 작성자 24.06.05 04:58

    신세벌식은 종류가 많아, 처음에 입문할 때 선택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겠네요.

    저는 공세벌식 사용자이긴 하지만, 신세벌식을 거의 다 쳐보기는 했습니다.
    신세벌식은 4줄이 아닌 3줄 형식에, 겹받침이나 윗글쇠 숫자판이 없고, 기호의 위치도 바뀌지 않아서 테스트를 하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더군요.
    이러한 구조적 단순함이 신세벌식의 장점이죠.

    그런데 오히려 그것이 입문자에게는 비슷비슷하게 보일 수 있어서, 어떠한 신세벌식 자판을 선택할지에 대한 고민이 될 수도 있겠네요.
    그리고 진득하게 써보지 않고, 잠깐의 테스트만으로는 미처 파악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고요.

  • 24.06.04 17:50

    1. 공용PC에서 날개셋 설치할 수 있다면 설치해서 쓰면 좋아요.
    http://moogi.new21.org/prg1.htm

  • 작성자 24.06.05 03:21

    공용 PC에서도 날개셋 설치가 가능한 환경이고, 사용이 끝나고 다시 두벌식으로 바꿔 놓으면 상관이 없을 것도 같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