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녀자들이 음력 7월부터 8월 추석에 이르는 동안 공동으로 길쌈을 하면서 혹은 길쌈을 끝낸 다음에 옛날이야기와 담소나 가무를 즐기거나 또는 편을 갈라서 경쟁하고 승부를 가리며 놀았던 풍습. 두레삼, 길쌈두레, 공동적마, 들게라고
도 부른다.
길쌈을 공동으로 하는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다. 『삼국사기』 권1「신라본기」1 유리이사금9월조에는 당시의 길쌈놀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왕은 육부를 정한 후, 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의 여자를 거느리어 편을 짜고 패를 나누어 추칠월16일부터 날마다 일찍이 큰 부의 마당에 모여 길쌈을 시작하여 을야( 밤 10시경)에 끝내게 하고,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의 다소를 심사하여 지는 편은 주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사례한다. 이어서 가무와 백희가 벌어졌으니 이를 가배라고 한다. 이때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추며 탄식하기를 회소회소라 하여 그 음조가 슬프고 아름답거늘 후인이 그 소리로 인하여 노래를 지어 이름을 회소곡이라 했다.”
첫댓글 길쌈놀이를 참 자세하게사진까지 잘올렸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