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된 영양소가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혈관으로 들어가는 것
- 소장 점막 → 모세혈관 → 문맥 → 간
- 소장 점막 → 유미관(임파, 림프) → 문맥 → 간
</ul>
- 흡수 방법
- 확산
- 물질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
- 촉진운동 : 운반체에 의해서 들어감 (Na-K 펌프)
- 능동수송
- 물질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운반체에 의해서 이동됨
- 소장에서의 영양소 흡수
※ 영양소의 대부분은 소장의 상부(십이지장)에서 흡수
- 당질의 흡수
- 포도당, 갈락토오즈 : 능동수송
- 과 당 : 촉진확산
- 흡수속도 : 포도당 100, 갈락토오즈 110, 과당 43, 만노오즈 19, 키실로즈 15, 아라비노즈 9
- 당질의 흡수에 관련하는 호르몬 : 갑상선, 부신피질, 뇌하수체, 인슐린
- 지질의 흡수
- MG, 지방산, 글리세롤 흡수 → TG로 재합성 → 지단백형성 → (킬로미크론) → 임파관 → 흉관 → 문맥 → 간
- 저급, 중급지방산, 글리세롤 : 확산
- 장쇄지방산, MG : 능동적 운반
- 동물성지방의 흡수가 식물성지방보다 잘된다.
- 단백질의 흡수
- 아미노산으로 흡수(단백질로 흡수되면 알레르기반응이 나타남)
- 모세혈관 → 문맥 → 간으로 가서 아미노산 풀에 있다가 단백질로 합성
- 중성아미노산, 염기성아미노산 : 능동수송
- 산성아미노산 : 촉진확산
- 무기질의 흡수
- 소장에서 흡수
- 칼슘
- 비타민 D 부갑상선 호르몬에 의해서 흡수촉진
- 수산, 피틴산에 의해서 저해
- 철분
- 소장상부(십이지장에서 Fe2+가 흡수 잘 됨)
- 3가 철이 염산, 단백질, 비타민 C의 도움으로 2가 철로 되어 흡수
- 단백질과 결합하여 ferritin이 되어 소장점막세포에 저장
- 혈중에서 단백질(globulin)과 결합하여 transferrin으로 되어서 운반
- 비타민의 흡수
- 지용성비타민 : 담즙, 지방의 도움으로 흡수
- 비타민 A : 능동적인 흡수
- 비타민 B1 : 능동적 흡수
- 비타민 B12 : 위에서 내적인자와 결합하여 능동적 흡수
- 물의 흡수
- 하루 9ℓ 흡수 - 확산 - 공장에서 가장 많이 흡수
- 대장에서의 흡수
- 수분, 무기질
- 장내세균에 의해서 합성되는 비타민 : Vt B2, B6, B12, Vt K
- 소화흡수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