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로 배우기 쉬운 악기부터 어려운 악기까지 일반적인 난이도 순위를 소개해 드릴게요. 물론 개인의 음악적 배경, 목표, 연습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아래와 같은 순으로 평가됩니다.
취미 악기 난이도 순위 (쉬운 순 → 어려운 순)
순위악기난이도 이유
1위 | 우쿨렐레 | 작고 가볍고 코드도 간단함. 손에 부담이 적고 금방 연주 가능 |
2위 | 리코더 | 초등학교 때도 배우는 만큼 접근이 쉽고 기본적인 연주가 빠름 |
3위 | 카혼 (Cajon) | 박자 감각만 있으면 입문 쉬움. 드럼보다 간단한 타악기 |
4위 | 건반 (키보드, 디지털 피아노) | 음정이 정확하고 시각적으로 보여서 독학 가능성 높음 |
5위 | 기타 (통기타, 일렉기타) | 손가락 아픔 극복이 관건. 코드 익히면 곡 연주 가능 |
6위 | 드럼 | 양손/발의 독립성과 리듬감이 중요. 공간과 소음도 고려해야 함 |
7위 | 바이올린 | 음정 맞추기 어렵고 활 다루기도 섬세함. 꾸준한 연습 필요 |
8위 | 색소폰 | 호흡법과 운지 익히기 복잡. 소리 내기까지도 시간 소요됨 |
9위 | 플루트 | 꾸준한 호흡 조절과 음정 조율 필요. 입문 난이도 다소 높음 |
10위 | 첼로 | 크기가 크고 연주 자세 유지가 힘들며 음정 잡기 어려움 |
✅ 참고 팁
빠른 성취감을 원하면 우쿨렐레, 키보드, 리코더 추천
소리 자체에 매력을 느끼는 악기라면 색소폰, 바이올린 도전해볼 만함
리듬에 강한 타입이라면 드럼이나 카혼도 좋음
클래식에 관심이 많다면 첼로나 바이올린을 고려
어떤 악기가 끌리시나요?
악기에 1억 쏟아붓고 만든 난이도 티어리스트
. https://youtu.be/mkODCqx2Mio?si=JN3PFaXauBmzsHpU
*
행사하는사람들
첫댓글 기타?
20대 초반에 클래식 기타를 했던 기억이 있네요
아파트 생활하다보니
헤드폰 사용이 가능한 것을 찾다보니
전자올겐을 시작했네요
요즘은 기타도 헤드폰 사용 가능하다고 들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