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루보네 포인터 (Bourbonnais Pointer)
► 이 명 : 브라크 듀 브루보네(Braque du Bourbonnais), 브라코 델 보르보네사도(Braco del Borbonesado), 브루보네 보르스테훈트(Bourbonnaiser Vorstehhund), 브루보네 포인팅 도그(Bourbonnais Pointing Dog)
► 외 관 : 브루보네 포인터(Bourbonnais Pointer)의 크기는 체고가 수컷 51~57㎝, 암컷 48~55㎝정도이며, 체중은 16~25kg 정도되는 중형견이다. 머리는 길며, 스톱(이마단)이 뚜렷하다. 귀는 약간 접혀 있으며, 윗입술이 무거워 턱 아래까지 쳐져 있다. 길게 두드러지는 늑골이 깊고 넓은 가슴을 둘러싸고 있다. 비절은 넓고 곧다. 빽빽한 털은 다소 지성이지만 윤이 나지는 않는다.
► 설 명 : 브루보네 포인터(Bourbonnais Pointer)는 냉정하고 조심성이 많으며 영리하다. 주인과 가족에게 애정이 깊고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 성격은 냉정하고 조심성이 많으며, 가정에서는 온화하고 순종적이지만 사냥터에서는 다양한 지역 및 사냥감에 쉽게 적응하는 열정과 지능을 가지고 있다. 후각이 매우 예민해서 본능적으로 사냥감의 냄새를 맡으며, 이때 유용하면서도 정확한 탐지 능력을 발휘한다. 훈련을 잘 따라 하는 편이라서 훈련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빨라 배운 것을 쉽게 소화한다. 상황판단력도 지니고 있다.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에서 키우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넓은 장소가 있는 곳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산책을 통해 충분한 운동량만 충족시켜준다면 실내에서도 기를 수 있다. 평균 수명은 12~14년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병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튼튼하지만 백내장이나 각막염 등 안과질환과 중이염 등 귀와 관련된 질병에 약한 편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고관절 탈구 등과 척추 디스크에 걸리는 사례가 간혹 보고가 되므로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활발하고 항상 움직이려고 하기 때문에 강하게 구속하지 않으면서 기르는 것이 가장 좋다. 훈련 또한 놀이 등을 통하여 가볍게 놀아주거나 산책을 시키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복종 훈련 등만 시켜도 아주 좋은 반려견으로 같이 생활할 수 있다. 영리하고 호기심도 많아서 훈련을 잘 따라 하는 편이며, 훈련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빨라서 배운 것을 쉽게 소화한다. 또한, 스스로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판단력도 지니고 있다.
식탐이 다소 많은 편이어서 사료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않거나 운동을 제대로 시키지 않으면 쉽게 비만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는 유의해야 한다. 운동량이 많아서 매일 30분 이상의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달리면서 노는 것과 수영도 매우 좋아한다.
털 빠짐은 보통 정도이고 털갈이 시기도 불규칙한 편으로 털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쉽게 기를 수 있다. 수시로 빗질을 해 주어서 빠져있는 털을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목욕도 피모가 심하게 오염되었을 경우에만 시켜주면 된다.
► 기 원 : 브루보네 포인터(Bourbonnais Pointer)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존재하던 역사가 오래된 프렌치 포인터로 프랑스의 브루보네를 여행하던 이탈리아 사람에 의해 1598년에 처음으로 알려졌다. 1900년대의 무분별한 사육으로 인하여 본능적인 사냥 능력을 잃어 갔으나, 최근에 그 잃어버린 본능을 되찾기 시작하였다. 탄탄하고 원기 왕성한 브루보네는 종종 꼬리가 없이 태어나기도 하며, 그 흔적만 나타나기도 한다. 여러 용도에 쓰이는 조렵견은 땅이나 늪, 또는 얼음이 거의 녹은 수중에서 사냥감 추적, 방향지시, 그리고 회수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준다. 감정적인 면을 보면 이 종은 느긋한 성격을 지녀 모든 프렌치 포인터 중에서 가장 무난한 성품의 개이다.
브루보네의 인기는 1800년대부터 계속되었으나 20세기로 접어들어 최고의 사냥개로 자리 잡았다. 세계대전으로 인해 멸종될 뻔 하였으나 최근 다재다능한 사냥개로 그 수가 늘고 있다. 희소 견종인 이 개를 보존하기 위해서 1925년 최초의 브루보네 포인터 클럽이 설립되었지만 자연적으로 짧은 꼬리로 태어나야 한다는 것과 털 컬러가 ‘빛바랜 라일락(Faded Lilac)’의 색이어야 한다는 엄격한 스탠다드(견종표준) 때문에 1930년대에는 멸종의 직전까지 갔다.
1970년대 브리더들은 이 개를 보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그 덕분에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매우 보기 힘든 희소 견종이어서 아직까지는 멸종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없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는 ‘브라크 듀 브루보네(Braque du Bourbonnais)’라고 부른다.
► 비 고 : 브루보네 포인터 (Bourbonnais Pointer)는 2006년 2월 21일 FCI(세계애견연맹)에서 7그룹인 ‘포인팅 도그(Pointing Dogs)’ Section 1 컨티넨탈 포인팅 도그(Continental Pointing Dogs) 넘버 179번으로 공인되었다. 이 외에도 AKC (FSS), UKC (Gun Dog) 등에도 가입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브루보네 포인터의 크기는 체고 48~57㎝, 체중 16~25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큰 편이다. 주로 새를 사냥하는 조렵견 그룹인 스포팅 그룹에 속하며, 포인팅과 리트리버 등 다양하게 이용 되었다. 외모는 짧은 털의 탐지견으로 다부진 신체구조를 가진 중형의 신체비율이며, 브라크 타입(털이 없고 귀가 덜렁거리는 형태를 지닌 견종)의 견종이다. 힘이 세고 다부진 근육질로 단단함과 강인한 인상을 풍기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아함이 없는 것도 아니다. 암컷의 실루엣은 약간 덜 다부지고 좀 더 우아하게 보인다.
신체 비율은 체장이 체고와 같거나 약간 길어 보인다. 흉심은 체고의 절반과 같거나 그 절반보다 약간 더 깊으며, 주둥이의 길이는 이마 길이보다 매우 짧게 보인다.
► 머리 : 머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서양 배 모양의 두상이며, 경박하지도 육중하지도 않게 몸통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두개골은 사방으로 둥글둥글하게 보이고 옆면은 둥글며, 마루 뼈(parietal bone, 두정골)와 광대 활(zygomatic arch, 권골궁)이 잘 발달되어 있다. 두개골과 주둥이의 축선은 평행하거나 앞쪽으로 살짝 비켜 지난다. 스톱은 약간 두드러져 있다.
• 코 : 코는 뭉툭하고 콧구멍은 잘 열려 있으며, 대부분 입술의 수직선보다 앞으로 나와 있다. 코의 색은 색소 손실 없이 털의 색상과 같다. 주둥이는 힘이 세고, 주둥이의 시작 부분은 넓으며 끝으로 갈수록 살짝 좁아져 원뿔대 모양을 하고 있다. 암컷은 수컷의 주둥이보다 조금 덜 넓다. 콧마루는 곧거나 아주 약간 볼록하게 보인다.
• 입 : 입술(머즐)은 너무 두껍지 않으며, 윗입술은 구각의 큰 주름을 만드는 일 없이 아랫입술을 덮는다. 입술의 가장자리는 적절하게 착색되어 있다. 턱은 튼튼하며 위아래 길이가 같고, 이빨은 온전한 치열을 갖추고 있고, 협상교합(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상태)이지만 절단교합(위턱의 앞니와 아래턱의 앞니의 끝 부분이 마주쳐 맞물리는 상태)도 허용된다.
• 눈 : 눈은 크고 다소 둥글며, 털의 색에 따라서 눈의 색은 녹갈색이거나 짙은 호박색을 띤다. 눈꺼풀 가장자리는 적절히 착색되어 있다. 눈초리는 강렬하고 온화하며, 지적으로 보인다.
• 귀 : 귀는 중간 길이로 목덜미에 닿거나 목덜미를 지나는 부위까지 닿으며, 귀가 시작되는 상당히 넓은 부위는 눈 높이나 그보다 살짝 위에 있는 것은 인정된다. 귀는 자연스럽게 볼에 닿아 있으며, 편평하거나 살짝 안으로 말려 있다.
► 목 : 목은 지나치게 길지 않고 근육질에 알맞은 길이로 조화롭게 어깨로 이어져 있다. 목 밑의 처진 피부는 허용된다.
► 몸통 : 등선은 곧고 아주 안정적으로 보이며, 기갑은 뚜렷하게 잘 형성되어 있고 견고하며 근육이 잘 발달해 있다. 허리는 짧고 넓으며, 근육질로 등과 잘 이어져 있다. 암컷의 허리는 약간 더 길어 보인다. 엉덩이는 둥그스름하게 보이고 적절히 기울어져 있으며, 강한 근육 조직을 갖추고 있다. 가슴은 넓고 길며, 깊어 보이고 앞다리 무릎 끝이나 그 보다 약간 더 지나는 데까지 이른다. 흉골은 가능한 멀리 뒤쪽으로까지 뻗어 있고, 늑골은 알맞은 정도로 활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몸통 하부윤곽은 뒤쪽으로 점차 상승해 있으며, 옆구리는 평평하고 살짝 올라가 있다.
► 꼬리 : 일부 개체들은 선천적으로 꼬리가 없다. 만약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꼬리는 꼬리 뿌리에서 잘라야 한다. 보통 꼬리는 약간 낮은 위치에 달려 있다. 꼬리를 자르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된 나라의 경우 꼬리는 등선 아래에 들려 있어야 한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매우 근육질이며, 앞에서 보면 두 앞다리는 수직이다. 어깨뼈는 비스듬하고 흉곽에 마주하여 아주 가까이 놓여 있고 단단하며, 눈에 띄게 두드러지는 근육을 갖추고 있다. 상완은 길쭉하고 근육질이다. 앞다리의 무릎은 잘 발달되어 있고, 양쪽 무릎 간격은 너무 좁지 않다. 몸통과 가까이 놓인 앞다리 무릎은 비틀어지지 않았다. 전완은 곧고 근육질이며, 굵어 보이지 않지만 힘이 센 골격을 가지고 있다. 앞 발목뼈도 힘이 세어 보인다. 발목은 전완에 비해서 아주 살짝 기울어져 있다. 앞발은 몸통과 같은 축에 있으며, 그 모양이 둥글거나 숟가락 모양처럼 보인다. 앞다리의 패드는 견고하고 내구력이 있어 보인다. 발가락은 서로 바싹 붙어 있고, 아치형으로 굽어 있다. 발톱은 힘이 세어 보인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튼튼한 골격과 뚜렷한 근육이 보이며, 뒤에서 보면 두 뒷다리는 지면과 수직이고 서로 평행하다. 상부 허벅지는 길고 근육을 잘 갖추고 있으며 아래로 쭉 뻗어 있다. 무릎은 힘이 세고, 상부 허벅지와 허벅지 하부 사이에는 적절한 각이 형성되어 있다. 허벅지 하부는 근육질이며, 상부 허벅지와 거의 같은 길이이다. 뒷무릎 관절은 적당히 아래쪽에 있으며, 튼튼하고 적절한 각을 이루고 있다. 뒷 발목은 수직이고 튼튼하며, 조금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뒷발의 모양은 앞발과 동일하다.
► 털과 색 : 피부는 너무 얇거나 주름이 잡히지 않고 매끄럽다.
털은 가늘고 촘촘하며, 털의 길이가 짧은 단모종이다. 등에 난 털은 약간 더 굵고, 때로는 약간 더 길어 보인다. 머리와 귀에 난 털은 더 가늘고 더 짧은 개체들이 선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모색은 바탕색이 흰색이다. 주로 고운 갈색 틱킹(포도주 빛 적색 점 무늬)이 있거나 복숭아꽃 색과 같은 황갈색 플렉킹(드문드문 있는 얼룩)과 모든 다른 모양의 얼룩이 함께 있다. 귀는 보통 바탕과 같은 색을 띠며, 다소 과하게 틱킹이 나타난다. 흰색과 다른 색이 전체적으로 혼색 된 털도 허용되며, 그렇게 섞인 색상은 곰팡이가 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몸통 전체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머리에 있는 얼룩점들은 단지 몇 개만 있을 때 또는 작은 크기에서만 허용된다.
► 걸음걸이 : 걸을 때는 적절한 보폭으로 걸으며, 사냥을 할 때는 끈기 있으면서도 균형 있고 유연하고 빠르게 갤럽(전력질주)으로 사냥감에게 다가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