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2018 | 증감률('18/'17) |
| 총액 | 666.0 | 750.0 | 904.0 | 20.6 |
1 | 멕시코 | 45.0 | 111.0 | 251.0 | 127.2 |
2 | 독일 | 243.0 | 209.0 | 191.0 | -8.9 |
3 | 한국 | 25.0 | 50.0 | 91.0 | 82.9 |
4 | 벨기에 | 53.0 | 70.0 | 74.0 | 6.5 |
5 | 스페인 | 56.0 | 52.0 | 55.0 | 6.4 |
6 | 네덜란드 | 102.0 | 66.0 | 46.0 | -29.5 |
7 | 프랑스 | 31.0 | 41.0 | 43.0 | 5.4 |
8 | 포르투갈 | 37.0 | 63.0 | 40.0 | -36.4 |
9 | 영국 | 14.0 | 26.0 | 27.0 | 5.3 |
10 | 러시아 | 10.0 | 13.0 | 27.0 | 109.5 |
자료: KITA
ㅇ 대한국 수입액 추이
중국의 맥주(HS Code: 22030000 기준) 대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수입액 | 13.0 | 20.0 | 25 | 50.0 | 91.0 |
증감률 | 59.9 | 48.7 | 26.4 | 98..8 | 82.9 |
자료: KITA
□ 경쟁동향
ㅇ 5대 브랜드가 시장 장악
- 현재 중국 맥주 시장의 주요 브랜드는 화뤈쉐화(华润雪花), 칭다오맥주(青岛啤酒), Budweiser(百威), 옌징맥주(燕京啤酒) 및 Carlsberg(嘉士伯)로 이들 5대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합계가 70% 이상으로 업계 집중도가 높음.
- 2018년 화뤈쉐화(华润雪花)가 시장점유율 23.2%로 선두를 차지함.
- 칭다오맥주(青岛啤酒), Budweiser(百威)가 뒤를 이어 시장점유율 16% 정도를 차지함.
- 5대 브랜드외 중소 브랜드가 나머지 30% 정도의 시장점유율을 나눠 가짐.
2018년 중국 맥주 시장 판매량 점유율
(단위: %)
자료: 前瞻网
ㅇ 지역별 선호 브랜드 뚜렷
- 예를 들면 화뤈맥주(华润啤酒)는 쓰촨(四川), 랴오닝(辽宁), 안후이(安徽) 등에서 시장점유율 60% 이상을 달성함.
- 칭피(青啤)는 주로 산둥(山东), 산시(山西)에서, Budweiser(百威)는 주로 푸젠(福建), 헤이롱쟝(黑龙江)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음.
- 옌징(燕京)은 주로 베이징(北京), 내이멍(内蒙)과 광시(广西)에서 시장점유율이 높고, Carlsberg(嘉士伯)는 주로 신쟝(新疆), 닝쌰(宁夏), 충칭(重庆), 윈난(云南)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음.
맥주 시장 선두기업의 핵심적 시장분포
회사명 | 핵심시장 |
화뤈맥주(华润啤酒) | 쓰촨(四川), 랴오닝(辽宁), 안후이(安徽) |
Budweiser맥주(百威啤酒) | 푸젠(福建), 헤이롱쟝(黑龙江) |
칭다오맥주(青岛啤酒) | 산둥(山东), 산시(山西) |
옌징맥주(燕京啤酒) | 베이징(北京), 광시(广西) |
Carlsberg(嘉士伯) | 총칭(重庆), 윈난(云南), 닝샤(宁夏), 신쟝(新疆) |
자료: 前瞻网
ㅇ 중국 시장 주요 맥주 브랜드 제품
순위 | 국가 | 생산지 | 제품명 | 제품이미지 | 가격(위안) |
1 | 중국 | 중국 | 쉐화 용촹텐야
(雪花勇闯天涯) | 139 (500ml/개*24개) | |
2 | 중국 | 중국 | 쉐화롄푸
(雪花脸谱) | 165
(500/개*12) | |
3 | 중국 | 중국 | 칭다오아오구터
(青岛奥古特) | 129
(300ml/개*24) | |
4 | 중국 | 중국 | 칭다오춘성 (青岛纯生) | 119
(330ml/개*24) | |
5 | 중국 | 중국 | 칭다오맥주
(青岛啤酒) | 58 (500ml/개*12) | |
6 | 중국 | 중국 | 옌징맥주
(燕京啤酒) | 125
(500ml/개*12) | |
7 | 중국 | 중국 | 옌징춘성 (燕京纯生) | 95 (330ml/개*24) | |
8 | 미국 | 중국 | Budweiser 춘성 (百威纯生) | 139
(330ml/개*24) | |
9 | 미국 | 영국 | Budweiser (百威) | 12 (300ml/개*1) | |
10 | 덴마크 | 중국 | Carlsberg 빙춘
(嘉士伯冰纯) | 128 (330ml/개*24) | |
11 | 멕시코 | 멕시코 | CORONA (科罗娜) | 68 (355ml/개*6) | |
12 | 한국 | 한국 | Hite | 60 (355ml/개*6) | |
13 | 한국 | 한국 | Cass | 148 (355ml/개*24) |
자료: 징둥(京东商城)
□ 유통구조
ㅇ 즉석 음용(即饮) 경로와 비즉석 음용 경로가 각각 50% 차지
- 즉석 음용 경로(50%) 중 식당이 40%를, KTV 등 오락장소가 10%를 차지함.
- 비즉석 음용 경로(50%) 중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이 10%를, 기존 일반유통경로가 40%를 차지함.
자료: 招商证券
□ 관세율
ㅇ 맥주 HS CODE: 22030000
관세(MFN) | 0% |
증치세 | 13% |
자료: 중국해관
ㅇ 중국에서 맥주제품을 수입할 때, 중국 국가세무국이 받아야 할 소비세를 중국해관에서 대신 징수함.
- '세금포함 수입가격≥0.3745달러/L'인 보리수제맥주는 소비세 세율이 0.253위안/L임.
- '세금포함 수입가격<0.3745달러/L'인 보리수제맥주는 소비세 세율이 0.2227위안/L임.
□ 인증
ㅇ 중국어 라벨
- 중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포장식품은 중국어 라벨을 부착해야 함.
- 중국어 라벨에는 원산지, 중국 내 대리상 상호명, 주소, 연락처 등을 기재해야 하며 중국어 라벨은 보통 검역·통관 대행사를 통해 심사·등록함.
ㅇ 수출기업 및 수입기업 등록
- 대중국 맥주 수출 시 중국 검역·통관 대행사를 통해 중국해관에 수출기업 및 수입기업 등록을 사전에 해야함.
ㅇ 검역증명서(위생증서)
- 중국에서 수입제품에 대해 검역을 실시함. 맥주제품은 중국해관에서 발급하는 겸역증명서를 받아야 시장에서 판매 가능
□ 시사점
ㅇ 중고급 맥주의 점유율 향상 전망
- 소비 고급화에 따라 중고급 맥주시장의 시장점유율은 빠르게 성장할 것임.
- 관련 기업은 고급 맥주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ㅇ 캔맥주 시장의 성장을 기대
- 캔맥주는 판매가 편리하고 유리병보다 회수하기 편해서 맥주산업에 있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임.
ㅇ 무알콜과 저알콜 맥주시장 주목
- 소비자가 건강한 생활방식을 추구함에 따라 알콜 섭취량이 적은 제품을 찾을 것임.
- 이에 따라 무알콜, 저알콜 맥주는 건강의식이 있는 사람들의 주목을 끌 것임.
ㅇ 고급제품 이미지 강화
- 현지 칭다오맥주 판매상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제품 마케팅 과정에서 칭다오맥주(青岛啤酒)는 '프리미엄과 일반제품 구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고급 및 저급제품은 앞으로 판매경로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함. 프리미엄 제품의 운영진을 따로 만들어 대형 매장과 나이트클럽 등의 판매경로만 전문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프리미엄 제품과 관련된 우수한 이미지를 형성해나가고 있음.
자료: 前瞻网, KITA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