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카메라 매출량 하락에도 불구하고 액션캠 매출은 상승 -
- 쇼트 클립 동영상 플랫폼 유저 급증으로 액션캠 시장 성장 지속될 듯 –
자료원:봉황망(凤凰网)
□ 상품 개요
〇 액션캠(运动相机)
- 액션캠은 레저 스포츠 촬영을 위한 캠코더로, 빠른 움직임 속에서도 선명하고 안정적인 촬영을 할 수 있음.
* 쇼트 클립 시장이 급성장하고 '왕홍(网红)경제'가 부상함에 따라, 액션캠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의 동영상 및 인터넷 방송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액션캠의 특징:
1. 작고 휴대하기 편한 사이즈로, 장비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촬영 시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음.
2. 방수, 충격 방지 및 손떨림 방지 등의 기능이 있음.
3. 촬영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헬멧, 서핑 보드, 자동차, 자전거 등에 부착하여 손으로 촬영이 어려운 활동을 할 때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음.
4. 고화질 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생방송 촬영도 가능함.
〇 액션캠의 HS CODE 상 분류
- 액션캠은 HS CODE에 의하면 8525.80.2090로 분류됨. 즉, '디지털카메라-기타'에 해당하며, 액션캠만을 위한 별도 코드는 없음.
HS CODE | - 6단위 : 8525.80 - 8단위 : 8528.80.20 - 10단위 : 8525.80.2090 |
상품명 | - 6단위 : 텔레비전 카메라·디지털 카메라·비디오카메라레코더 - 8단위 : 디지털 카메라 - 10단위 : 기타 |
□ 시장동향
〇 전 국민 쇼트 클립 영상 시대, 쇼트 클립 시장 규모 전년 동기 대비 744.7% 증가
- 쇼트 클립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 업로드되며, 이동 시간 혹은 짧은 휴식 시간에 보기 적합한 짧은 동영상임. 보통 동영상 플랫폼에 시시각각 새로운 동영상들이 업로드되며, 동영상 길이는 몇 초에서 몇 분까지 상이함.
- '왕홍경제(网红经济)'가 각광받음에 따라, 동영상 제작 산업에서 대규모의 전문 동영상 콘텐츠 제작자들이 점차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이들은 주로 웨이보(微博), 미아오파이(秒拍), 콰이쇼우(快手), 틱톡(抖音), 진르토탸우(今日头条) 등 유명 플랫폼을 통해서 큰 인기를 끌며, 경제적 수익을 내고 있음.
- <2019년 중국 온라인시청발전연구보고서(2019中国网络视听发展研究报告)>에 의하면, 온라인 동영상(쇼트 클립 영상 포함)은 중국 인터넷 산업에 있어서 메신저에 버금가는 두번째로 큰 분야로서, 그 중에서도 쇼트클립 영상이 온라인 동영상 분야에서 큰 부분을 차지함. 쇼트 클립 영상은 시청 시간, 시청자 규모 측면에서 롱 클립 영상(길이가 긴 동영상)을 앞서며, 중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오락 콘텐츠로 자리 잡음. 이로써 전 국민 쇼트 클립 시대가 열리게 됨.
- 2018년 12월 말 중국 온라인 동영상(짧은 영상 포함) 시청자 규모는 전체 인터넷 유저의 87.5%에 해당하는 7억 2500만 명에 달함. 그 중 쇼트 클립 영상 시청자 규모는 전체 인터넷 유저의 78.2%에 해당하는 6억 4800만 명임.
- 온라인 동영상 시장은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8년 전체 온라인 동영상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2.8% 증가한 1871억 3천만 위안에 달함. 그 중 쇼트 클립 영상 시장의 규모는 467억 1천만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744.7% 성장하며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여줌.
2018년 중국 온라인 동영상 시장 규모 현황
(단위 : 억 위안)
자료원: 2019 중국 인터넷 시청각 발전 연구 보고서《2019中国网络视听发展研究报告》
액션캠을 이용하여 음식을 찍는 모습
자료원:신랑망(新浪网)
〇 카메라 시장의 추세를 거스르는 액션캠의 성장, 변화하는 카메라 시장 구조
- 기존의 디지털카메라 시장은 최근 하향세인 반면, 액션캠 시장은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음. Frost&Sulivan 데이터에 따르면, 2010~ 2019년 기간 중 전 세계 액션캠의 연평균성장률(CAGR)은 54.7%로, 출하량은 2010년 40만 개에서 2019년 2030만 개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이와 동시에 전체 디지털카메라 시장에서 액션캠이 차지하는 비율은 1.73%에서 76.03%로 증가하며, 액션캠은 전 세계 디지털카메라 시장을 이끄는 주 원동력이 됨.
- 기존 디지털카메라의 출하량은 2010년 최고점을 기록한 후,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음. 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안에 내장된 자체 카메라의 품질이 계속해서 좋아지며 디지털카메라를 대체했기 때문임.
2013~2019년 전 세계 액션캠 및 기타 디지털카메라 출하량
(단위: 백만 대)
자료원: Frost&Sulivan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〇 중국 액션캠 시장 현황
- 최근 들어 운동과 건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짐. 또한 액션캠의 종류가 많아지며, 젊은층 사이에서 액션캠을 이용해 본인의 야외 스포츠 장면이나 소소한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유행하기 시작함.
- 제품의 기술력, 품질 및 소비자의 제품 사용 기술이 이미 일정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갈수록 많은 전자제품 브랜드들이 액션캠 시장에 뛰어들고 있음.
- 현재 중국에는 GoPro, DJI(大疆), Insta360 등 대형 브랜드들이 여전히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하지만 최근 가성비가 좋은 샤오이(小蚁), 샤오미(小米) 등의 브랜드가 인기를 얻으며, GoPro 등 대형 브랜드가 장악했던 액션캠 시장에 분할이 일어나고 있음. 향후 중국 액션캠 시장에서 중국 및 해외 브랜드 간의 경쟁이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예상됨.
중국 액션캠 대표 제품
브랜드 | 제품 | 모델명 | 국가 | 특징 | 가격(위안) |
GoPro | ![]() | HERO7 Black | 미국 | 손떨림 방지, 방수, 4K고화질,음성 컨트롤,터치 스크린,생방송 기능 | 3,398 |
DJI | ![]() | Osmo Action | 중국 | 전후방스크린,자체 방수,4K고화질,음성 컨트롤 | 2,499~ |
Insta360 | ![]() | One X | 중국 | 360도 촬영,GPS 내재,타임랩스 촬영,고속 전송 | 2,498~ |
Xiaoyi | YAS.1616.CN | 중국 | 4K고화질,생방송 기능,고용량 배터리,전자 손떨림 방지 | 799~ | |
SONY | ![]() | FDR-X3000 | 일본 | 4K고화질,타임랩스 촬용,60m 수중촬영,광학 손떨림 방지 | 3,280 |
Drift |
| Ghost X | 영국 | 5시간 연속 촬영,고화질 방송,330°회전 렌즈 | 1,299~ |
SJCAM | | SJ8 Pro | 중국 | 고화질 터치스크린,디지털 줌렌즈,방수, 손떨림 보정 | 1,499 |
MIJIA | | 5435968 | 중국 | 145°광각 렌즈,2.4인치 터치스크린,슬로우모션 촬영 | 699~ |
자료원: KOTRA 상하이 무역관 종합정리
□ 유통구조
〇 온라인 판매 위주, 오프라인은 고객 체험에 중점
- 전자상거래: 티엔마오(天猫), 징동(京东)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해 있으며, 브랜드 공식 스토어 혹은 대리점을 통해 판매함.
- 오프라인 종합 전자제품 매장: 수닝이고우(苏宁易购), 고메이전기(国美电器), 용러전기(永乐电器) 등 대형 오프라인 전자 제품 매장에 납품함.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사용해 본 후 구매가 가능해 고객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음.
- 오프라인 브랜드 공식 매장: 통일된 실내 장식과 진열을 통해 제품 특징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고, 브랜드 홍보에도 유리함.
DJI 상하이 신천지 공식 매장 외관
자료원: 따종디엔핑(大众点评)
DJI 공식 매장에 진열된 액션캠 및 매장에서 열리는 액션캠 관련 세미나
자료원: 따종디엔핑(大众点评)
□ 중국의 카메라류 (HS CODE 8525.80) 수입동향
* 중국 및 한국 통계상 HS CODE 10자리 품목별 수출입 통계 기록이 없어 6자리 기준으로 분석함.
〇 2018년 수입액 45억 달러, 동기 대비 5.7% 하락
- 2013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34.5% 증가한 133억 54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함. 2013년 이후 수입액은 매년 감소하며 2016년에는 40.1%의 최대 감소 폭을 보임.
- 2017년 17.6% 하락에서 2018년 5.7% 하락으로 하락세가 약해지며, 향후 시장 성장 가능성을 보여줌.
2009~2018년 중국 카메라 수입액 및 증감률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주: 통계는 HS CODE 8525.80 기준
〇 한국이 중국 카메라 최대 수입국 2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베트남, 일본은 각각 2, 3위 차지
- 2018년 중국 카메라류 총 수입액은 45억 달러로 동기 대비 5.7% 하락함.
- 2017년 한국으로부터 수입액은 약 10억 7300만 달러였으나 2018년에는 전년 대비 17.2%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한국이 최대 수입국 자리를 유지함. 전체 수입액에서 대 한국 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9.7%에 달함.
- 수입액이 가장 큰 10개 국가(지역) 중 한국, 일본, 태국, 대만을 제외한 다른 국가(지역)들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10대 수입국이 총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2.2%에 달함.
2016~2018년 중국 카메라류 수입 금액 (단위: 천불,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주: 통계는 HS CODE 8525.80, 순위는 `18년 기준.
〇 중국의 2018년 카메라류 한국 수입액은 8억 8838만 3천 달러
- 최근 5년 간의 수입액 통계를 보았을 때, 중국의 대 한국 카메라류(8525.80기준) 수입액은 2015년에 20억 9760만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함. 그러나 2015년 이래로 대폭 하락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반으로 줄어듦.
- 2017년 대 한국 수입액은 전년대비 31.5% 증가하며 다시 회복하였으나, 2018년 다시 17.2% 하락함.
2014~2018년 중국 대 한국 카메라류 수입규모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주: 통계는 HS CODE 8525.80 기준
□ 중국 액션캠 관세율
〇 액션캠의 중국 HS CODE는 '8525.80.2990'이며, 2019년 대 한국 수입 관세율은 0임.
- 협정 세율: 없음
- 최혜국 세율: 0
- 보통 세율: 130.0% CIF
- 한중 FTA 세율: 0
〇 수입규제 및 인증
- 중국 제품 수입 관련 법규에 의하면, 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액션캠 (8525.80.2990) 제품은 3C 인증 신고를 거칠 필요가 없음.
□ 전망 및 시사점
〇 점차 확대되는 액션캠의 활용 범위
- 영국 연구기관 Technavio가 발표한 '2017~2021년 전 세계 액션캠 산업 조사 보고'에 따르면, 2021년까지 전 세계 액션캠 시장은 2017년에 비해 15%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향후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액션캠 수요가 창출될 것임.
- 전 세계 초고화질 액션캠 시장의 생산액은 32억 6천만 달러에 달하며, 고화질 액션캠 생산액은 22억 2천만 달러에 달함. 향후 시장이 더 커진다면 기술 장벽이 비교적 낮은 액션캠은 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〇 중국의 영상 제작은 대중화되고 있으며, 액셤캠 사용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YOUTUBE 시청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현상과 유사하게 영상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중국에는 유명 쇼트클립 앱인 도우인( 抖音)을 비롯하여 쇼트클립 앱이 약 100개 이상 있으며, 유명 앱들은 1억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음.
- 현재 중국은 누구나 영상을 쉽게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시대로 향하고 있음. 이에 따라 액션캠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한국의 카메라 진출기업들은 중국의 수입 통계에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액션캠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음.
액션 촬영과 Vlog 제작에 편리한 소니의 콤팩트 카메라
자료원: 봉황재경(凤凰财经)
〇 상하이무역관이 인터뷰한 DJI 관계자에 따르면 “액션캠은 비교적 소수 매니아를 위한 제품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국내외 액션캠의 개념에 대한 해석은 이미 현대 젊은층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함. “즉, 좀 더 전문적인 장비를 이용하고 싶은 일부 매니아를 위한 제품 시장은 아직 비어있고, 향후 액션캠 시장이 더 세분화 된다면 더 큰 발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함.
자료원: 신랑커지(新浪科技),소후신문(搜狐新闻), 태평양디에나오왕(太平洋电脑网), 봉황재경(凤凰财经),따종디엔핑(大众点评),한국무역협회, 관세청, Frost&Sulivan,KOTRA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