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학술위원의 글을 함께 읽고자 합니다.
하룻강아지
흔히
사회적 경험이 적고 자신의 얕은 지식만을 가지고 덤벼드는 사람을 가리켜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한다.
이 속담에는
‘하룻강아지’가 등장하는데,
언뜻 보면 태어난 지 하루밖에 안 된 강아지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속담이라도 그렇지,
갓 태어나서 눈도
못 뜨고 제대로 서지도 못하는 강아지가 범에게 덤빌 리는 만무하다.
이 ‘하룻강아지’의 ‘하룻’은 날짜를 헤아리는 그 ‘하루’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옛날 우리 선조들은 소나 말, 개 등과 같은 가축의 나이를
‘하릅, 이듭, 사릅, 나릅, 다습, 여습’ 들처럼 세었다.
이때의 ‘하릅’은 한 살을 뜻하므로, 한 살 먹은 개를 ‘하릅강아지’라 하였고,
이 말이 오늘날 ‘하룻강아지’로 변하여 내려온 것이다.
그러므로
'하룻강아지'는 태어난 지 하루 되는 강아지가 아니라,
이미 한 살이 된 개를 일컫는 말인 셈이다.
개는 태어나서 일 년쯤 지나면 견문은
모자라지만 힘은 넘칠 때라,
범이 얼마나 무서운 줄도 모르고 천방지축 까부는 모습이 쉽게 그려진다.
송아지나 망아지도 나이가 한
살이 되면 각각 ‘하릅송아지’, ‘하릅망아지’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한해살이풀을 평안도에서는 아직도 ‘하릅나무’라고 하니,
‘하릅, 이듭(또는
’두습‘), 사릅, 나릅, 다습, 여습’ 들과 같은 우리말들을 쉽게 잊을 일이 아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우리가 지켜 나가야 할 문화재의
모두가 아니라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