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미
감(甘), 한(寒)
작용부위
효능양혈(凉血)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행혈(行血)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이습(利濕)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생기(生肌)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지혈(止血)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청열(淸熱)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해독(解毒)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주치병증결핵(結核)결핵이란 심한 화열(火熱)이 몰리고 맺혀서 딴딴해진 것인데 마치 과일의 씨와 같이 된 것이다(結核者火氣熱甚則鬱結堅硬如果中核也).나력(瘰癧)서루(鼠瘻), 역자경(癧子頸), 경력(頸癧), 노서창(老鼠瘡) 작은 것이 나(瘰), 큰 것이 역(癧)임.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근심과 분노로 간화(肝火)가 막혀 담(痰)이 되어 경락에 머물렀다가 근육을 수축해 멍울이 됨. 목(頸項)과 귀 뒤, 자개미에 한두 개의 멍울이 생겨 구슬을 꿴 것처럼 이어지고, 처음에는 콩알만 하다가 점차 커져 복숭아씨 만해지고, 증한장열(憎寒壯熱), 인항강통(咽項强痛)이 있고, 누르면 움직임. 남자는 이마에 힘줄이 드러나고, 조열(潮熱)이 나고, 기침하고, 땀이 남. 부인은 눈에 핏발이 서고, 월경이 중단되고, 골증(骨蒸)과 오심번열(五心煩熱)이 있음.독사교상(毒蛇咬傷)독사(毒蛇)에 물려서 생긴 외상(外傷).붕루(崩漏)붕중누하(崩中漏下) 여성 성기의 부정 출혈. 허실(虛實)이 있고, 한열(寒熱)로 충임맥이 불능섭혈(衝任不能攝血)하고, 간불장혈(肝不藏血)하며 비불통혈(脾不統血)하여 하초열이 박혈망행(下焦熱迫血妄行)하거나, 원기대허하여 그 혈을 불능수렴(不能收斂其血)하거나 어혈내조로 신혈귀경못하여 (瘀血內阻新血歸經) 일어남. 월경기간이 아닌 때의 갑작스런 다량의 자궁출혈이나 지속적인 자궁출혈로서 혈붕(血崩), 혈루(血漏)와 같음. 사춘기, 갱년기에 많음. 성기 자체의 기질적 병변과 기능장애 및 전신장애에 수반될 수 있음.수종(水腫)몸 안에 수습(水濕)이 고여 얼굴과 눈, 팔다리, 가슴과 배, 심지어 온몸이 붓는 질환. [영추(靈樞)] <수창(水脹)>에서 "수(水)가 막 일어날 때에는 눈꺼풀이 마치 방금 일어났을 때처럼 조금 붓는데, 목의 동맥이 뛰며 때로 기침하고 사타구니가 차며 정강이가 붓고 배가 커지면 수종이 이미 형성된 것이다.(水始起也, 目窠上微腫, 如新臥起之狀, 其頸脈動, 時咳, 陰股間寒, 足脛腫, 腹乃大, 其水已成矣.)"라고 하였다습열황달(濕熱黃疸)양황(陽黃)의 하나. 주로 습열이 간담경(肝膽經)에서 서로 뭉쳐 쌓였다가 일어남. 신열(身熱), 번갈(煩渴), 간혹 번조(煩躁) 등이 따름. 열이 우세하면 황달색이 선명하고 발열, 구고(口苦), 구건(口乾), 소곡선기(消穀善飢), 간혹 소변열통적삽(小便熱痛赤澁) 외에 대변비삽(大便秘澁), 복창(腹脹), 때로 심번(心煩), 오심, 구토 등이 있음. 습이 우세하면 황달색이 어둡고, 몸이 무겁고, 배가 그득하고, 입맛이 없고, 대변이 묽음.질타손상(跌打損傷)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손상당한 것폐로해혈(肺癆咳血)폐로(肺勞)로 인해 기침하면서 피를 뱉는 병증허로골증(虛勞骨蒸)허로로 인한 골증
포함 처방 (총 9건)소독탕(消毒湯)두창(痘瘡)의 독(毒)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는 처방임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A인동원(忍冬元)소갈(消渴)병이 있을 때 옹저(癰疽)가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처방임인동환(忍冬丸)모든 옹저(癰疽) 창양(瘡瘍) 소갈(消渴)병후에 저(疽)가 생기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인동원(忍冬圓)예방옹저(預防癰疽)의 효능이 있고 갈증을 치료하는 처방임.연교산(連翹散)C해심독(解蕈毒)균심독(菌蕈毒)을 치료하는 처방임.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B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