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키 + R 누른 후, 검색창에 Regedit을 누른 그 순간 부터
Windows는 여러분들 손에 놀아납니다.^^
그럼 모두 즐감하시길...^^
(만족하셨다면 추천 버튼 한번만 쓰다듬어주시길^^)
차 례 :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방법
* 주의 사항
* 레지스트리 파일 백업 방법
* 레지스트리 복구 방법
* 레지스트리 변경 적용
* 레지스트리의 구성
* TIP - 레지스트리 관련 팁
* TIP - 기타팁
━━━━━━━━━━━━━━━━━━━━━━━━━━━━━━━━━━━━━━━━━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법 ▧▧▧▧▧▧▧▧▧▧▧▧▧▧
━━━━━━━━━━━━━━━━━━━━━━━━━━━━━━━━━━━━━━━━━
시작메뉴 - 실행 - C:\WINDOWS\REGEDIT.EXE - 엔터
(C:\WINDOWS\ 는 WINDOWS '9X 의 설치 디렉토리)
━━━━━━━━━━━━━━━━━━━━━━━━━━━━━━━━━━━━━━━━━
▧▧▧▧▧▧▧▧▧▧▧▧▧▧▧▧▧ 주의 사항 ▧▧▧▧▧▧▧▧▧▧▧▧▧▧▧▧▧
━━━━━━━━━━━━━━━━━━━━━━━━━━━━━━━━━━━━━━━━━
레지스트리 라는 것이 윈도우즈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니 만큼 상당히 조심해서 다루지 않으면 멀쩡하던 윈도우가 갑자기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섭게 변할 수도 있다.하지만 레지스트리 편집이라는 것이 없다면 개성있는
자기 만의 윈도우를 꾸밀 수가 없을것이다. 안전한 작업을 하기위해서 WINDOWS 폴더
안에
있는 SYSTEM.DAT , SYSTEM.DA0 , USER.DAT , USER.DA0 이 네개의 파일을 미리
백업해두는
것이 좋다. 레지스트리 오류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를 대비해서.
━━━━━━━━━━━━━━━━━━━━━━━━━━━━━━━━━━━━━━━━━
▧▧▧▧▧▧▧▧▧▧▧▧▧▧▧ 레지스트리 백업 방법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나오는 키 중에서 내 컴퓨터를 선택하고 메뉴중에서
"레지스트리 파일로 저장" 을 선택한다.원하는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확장자
가 REG 인 파일이 하나 생성이 된다.
다음으로 MDIR 상에서 WINDOWS 디렉토리로 이동한후 ALT+Z를 누른다.
SYSTEM.DAT, SYSTEM.DA0, USER.DAT, USER.DA0 이네개의 파일을 찾아서 스페이
스바로 선택
한후 위에서 백업한 *.REG 파일과 함께 적당한 디렉토리로 복사해둔다.
압축을 해놓아도좋다.
━━━━━━━━━━━━━━━━━━━━━━━━━━━━━━━━━━━━━━━━━
▧▧▧▧▧▧▧▧▧▧▧▧▧▧▧ 레지스트리 복구 방법 ▧▧▧▧▧▧▧▧▧▧▧▧▧▧▧
━━━━━━━━━━━━━━━━━━━━━━━━━━━━━━━━━━━━━━━━━
레지스트리의 이상으로 부팅이 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다음과 같이 해본다.
첫번째 방법 :
* 이 방법은 부팅은 되는데 레지스트리 오류가 생겼을때 사용한다.만약 부팅이 안될경우
안전모드로 한번 부팅을 해본다. 부팅이 되었다면 이방법을 시도해보고 그래도 부팅이
안된다면 아래 두번째 방법을 이용한다.
(안전모드 부팅법 : 부팅시 기능키 F8 을 눌러서 나오는 메뉴중 3번을 선택)
* 위에서 백업한 *.REG 파일을 탐색기나 내 컴퓨터에서 더블클릭하고 재부팅을 한다.
그래도 해결이 안되었다면 아래 방법을..
두번째 방법:
1. 시동 디스크 (부팅 디스켓)로 컴퓨터를 시동한다.
2. C:\>Cd Windows
3. C:\Windows>Attrib -r -h -s system.dat
4. C:\Windows>Attrib -r -h -s system.da0
5. C:\Windows>Ren system.dat system.bad
6. C:\Windows>Ren system.da0 system.dat
7. C:\Windows>Attrib -r -h -s user.dat
8. C:\Windows>Attrib -r -h -s user.da0
9. C:\Windows>Ren user.dat user.bad
10. C:\Windows>Ren user.da0 user.dat
━━━━━━━━━━━━━━━━━━━━━━━━━━━━━━━━━━━━━━━━━
▧▧▧▧▧▧▧▧▧▧▧▧▧▧▧ 레지스트리 변경 적용 ▧▧▧▧▧▧▧▧▧▧▧▧▧▧▧
━━━━━━━━━━━━━━━━━━━━━━━━━━━━━━━━━━━━━━━━━
아래 서술한 모든 레지스트리 편집을 하고 나면 변경한 내용이 바로 적용이 안된다.
그럴땐 모든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 바탕 화면에서 단축 아이콘이 없는 곳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누른다. 그다음 F5 키를 누른다. 그래도 적용이 안되는것은 재부팅
을 해야한다. 그래도 안되면 레지스트리 편집내용을 다시한번 확인해보시길.
━━━━━━━━━━━━━━━━━━━━━━━━━━━━━━━━━━━━━━━━━
▧▧▧▧▧▧▧▧▧▧▧▧▧▧▧ 레지스트리의 구성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6개의 키가 화면에 나타난다.
┌──────────┐
│1.HKEY_CLASSES_ROOT │
└──────────┘
이 키는 OLE 데이터,파일 타입,윈도우에서 사용 하는 확장자,파일과 프로그램간의 연결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다.
┌──────────┐
│2.HKEY_CURRENT_USER │
└──────────┘
현재의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키로 ,제어판 설정 ,네트워크 정보 ,컴퓨터환경 설정등
윈도우즈에 설치 되있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설정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3.HKEY_LOCAL_MACHINE│
└──────────┘
이 키는 하드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동 시키는 드라이버 등 하드웨어에 관련된 정보가 기록
된다는 것을 제외 하고 HKEY_CURRENT_USER 키와 매우 유사하다. 레지스트리에서 가
장
위험하고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키이기 때문에 이를 다룰때는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
│4.HKEY_USERS│
└──────┘
HKEY_CURRENT_USER 에 저장된 정보 전체와 데스크탑 설정,네트워크 연결등의 정보
가 저장
되어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계정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
│5.HKEY_CURRENT_CONFIG │
└───────────┘
이곳은 레지스트리 가운데 가장 단순한 부분으로 여기 에는 위에서 설명한
HKEY_LOCAL_MACHINE 에 서브로 존재하는 Config의 내용만을 담고 있다. 현재 설치
되 있는
하드웨어의 목록을 볼 수 있다.
┌────────┐
│6.HKEY_DYN_DATA │
└────────┘
HKEY_DYN_DATA 는 Config Manager 와 PerfStats 라는 두개의 서브키를 갖고 있으
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즈의 상태를 기록합니다. 다른 레지스트리 키와 달리 하드 디스크에
기록 되지 않기 때문에 이 값은 변경할 수 없다.
┌──────────────────────────┐
│ (W9X) 윈도우즈 95,98 모두 적용 가능한 항목. │
│ (W95) 윈도우즈 95에서만 적용 가능한 항목. │
│ (W98) 윈도우즈 98에서만 적용 가능한 항목. │
└──────────────────────────┘
☆ ━━━━━━━━━━━━━━━┓━━━━━━━━━━━━━━━━━━━━━━━━
TIP 1 - 레지스트리 관련 ┃▧▧▧▧▧▧▧▧▧▧▧▧▧▧▧▧▧▧▧▧▧▧▧▧
┗━━━━━━━━━━━━━━━━┛━━━━━━━━━━━━━━━━━━━━━━━━
┌─────────────────┐
│1. 시작 메뉴 속도 높이기. (강추천)│ (W9X)
└─────────────────┘
* 시작메뉴를 열 때 하위 메뉴가 나오는 속도를 매우 빨라지게 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Contral Panel - Desktop 여기로 이동.
MenuShowDelay 키가 없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을 누른다
음
MenuShowDelay 키를 새로만든다.이미 존재 한다면 그냥 새 값을 입력한
다.
값을 0 으로 하면 매우 빨라진다.
┌──────────────┐
│2. 자동 메뉴 확장 기능 제거.│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 되어있는 프로그램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하위의
메뉴가 나온다. 이것을 자동 메뉴 확장 기능 이라고 하는데,때로는 이기능이 불편할 때
가 있는데 이기능을 없앨 수도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Desktop 으로 이동한다.
우측 화면에 MenuShowDelay 라고 하는 키 를 등록한 후, 여기에 65534라
는
값을 넣어 준다.이제 윈도우즈를 재시작 하면 마우스로 클릭하기전 까지는
하위 메뉴들이 저절로 나오는 일은 없을 것이다.
┌───────────────────────┐
│3. 단축 아이콘 왼쪽 밑에 있는 화살표 없애기. │ (W9X)
└───────────────────────┘
* 단축 아이콘 밑에 나오는 화살표는 별필요도 없는데 화면만 지저분하게 한다. 윈도우를
좀더 깔끔하게 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이방법을 쓰는것도 좋을 듯 하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lnkfile 여기로 이동.
화면의 우측에 나타나는 내용중에 'IsShortCut'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삭제한다.
그다음 다시 HKEY_CLASSES_ROOT - Piffile 로 이동 한다. 우측 화면
에서
IsShortCut 라고 되어 있는 것을 삭제한다.
┌────────────────────┐
│4. 아이콘에 256컬러 이상의 컬러 입히기. │ (W9X)
└────────────────────┘
* 플러스팩을 설치하면 바탕화면 테마와 함께 256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보여준다. 그러나
굳이 플러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256이상의 아이콘을 볼 수있다.단, 보유하고 있는 VGA
카드에서 16비트컬러나 24비트 컬러가 가능해야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ER - Control Panel - Desktop - windowmetrics 로
이동.
SHell Icon BPP란 '문자열값'을 추가한 후 16또는 24로 값을 주면 256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
│5.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서 지워지지 않는 항목 제거│ (W9X)
└────────────────────────────┘
*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설치 되있는 상태에서 언인스톨을 하면 이 목록에서 지워진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거 하였거나 혹은 프로그램은 삭제 되었더라도 목록에서는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런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 편집방법
이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Uninstall 이라는 항목으로 이동하면 현재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볼 수있다. 이 상태에서 제거하고 싶은 목록 을 삭제
한다.
┌──────────────────┐
│6. 윈도우즈95를 98처럼 버전 바꾸기. │ (W95)
└──────────────────┘
* 윈도우즈95임을 알리는버전을 98버전으로 바꿔준다. ( 눈속임 ^^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으로 이동. 우측 화면에 윈도우즈와 사용자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가 출력되는데, 그 중에 'Version' 과 'Version Number' 가 있을
것이다. 이 부분에 'Windows 98' 이라고 입력하고 숫자도 '4.00.1596'으로
넣자.이로써 등록정보만으로는 최신버전의 윈도우즈로 탈바꿈한다. 사용자
이름과 회사명도 바꿀 수 있다.
┌───────────────┐
│7. 자동으로 최신 정보로 고치기│ (W9X)
└───────────────┘
* 탐색기에 어떤 디렉토리를 만들어 넣었다든지 혹은 레지스트리 내용을 변경하였을 경우
변경된 내용이 곧바로 화면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즉 디스크의 라벨을
바꾸었다든지, 새로운 폴더를 등록 하거나 이동시켰을 때 화면에 나타나는 정보가 갱신
되지 않는 것이다. 이를 해결 하는 방법이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Update
로이동.화면 오른쪽에 보이는 'UpdateMode' 의 값을 01 에서 00 으로 바꿔
준다.
┌────────────────┐
│8.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W9X)
└─────────────────
* 윈도우즈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창의 최대화 , 최소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도 속도를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여기서는 그 속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_ - Control Panel - desktop - windowmetrics로
이동
우측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문자열 값'을 선택하고
MinAnimate라고 입력한다.그다음 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을 '0'으로 설정
한다. 이것으로 창이 열리거나 닫힐때 최대화 , 최소화 애니메이션 표시가
되지 않아 창의 표시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
│9. 휴지통 의 이름 바꾸기. │ (W9X)
└─────────────┘
* 바탕 화면에 있는 휴지통의 이름을 자기 마음대로 바꿀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CLSID -
로
이동. 우측창의 '기본값'이란 이름의 문자열을 더블 클릭 한다.변경하고자
하는 이름을 써 준다.
* 참고로 다른 것 몇가지도 함께 바꿀 수 있다.
: 내 컴퓨터
: 네트웍 설정
: 받은 편지함
: 서류 가방
: 인터넷
: 전화 접속 네트워킹
: 제어판
: 프린터
: The Microsoft Network.
┌───────────────────────────┐
│10. 휴지통 메뉴에서 '이름 바꾸기'와 '삭제' 추가하기 │ (W9X)
└───────────────────────────┘
* 휴지통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렀을 경우 '이름 바꾸기'와'삭제'
메뉴를 추가 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LASSES_ROOT - CLSID -
- ShellFolder 로 이동
Attributes 라는 이진값을 등록 하고 값으로 70 01 00 20 을 준다.
┌───────────────┐
│11. 바탕화면에서 휴지통 없애기│ (W9X)
└───────────────┘
* 바탕화면에서 휴지통을 없애고 싶으면 레지스트리 편집을 이용해서 제거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Desktop - NameSpace 로 이동 해서 하위메
뉴
에 있는 이값을 삭제한다
* 휴지통을 없애고 나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했을 경우 휴지통을 비울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진다. 그렇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고, 일단 새로운 휴지통을 만들 적당한 곳에 새
폴더를 만든다. 폴더 이름은 '휴지통.' 이렇
게
입력 한다. 이 폴더를 만들고 나면 이제부터 이 폴더가 휴지통을 대신 하게 될 것이다.
휴지통비우는 방법은 탐색기나 내컴퓨터를 이용해 새로만든 폴더로 가서 평소에 휴지통
비우던데로 하면된다.
┌──────────────────────────┐
│12. 배경화면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숨기기.│ (W9X)
└──────────────────────────┘
* 별로 쓰지도 않는 아이콘이 바탕화면에 자리잡고 있으면 괜히 지저분해 보이기만 한다.
레지스트리를 조금만 변경해주면 그 아이콘을 숨길 수 가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DWORD값 을 선택한다. "New Value #1" 의 이름 을
"NoNetHood"
로 바꾼다. 더블클릭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3. 시작 메뉴에 있는 '실행' 을 없애기.│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Run' 이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4. 시작 메뉴에 있는 '찾기'를 없애기. │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Find'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
을
준다.
┌─────────────┐
│15. 로그오프 메뉴 없애기 │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로그오프' 메뉴를 없애보자.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LogOff' 라고 변경한 후 값으
로
1을 준다.
┌─────────────┐
│16. 즐겨찾기 메뉴 없애기 │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즐겨찾기' 메뉴를 없애보자.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FavoritesMenu'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7. 문서 메뉴 없애기 │ (W98)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 메뉴를 없애보자.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RecentDocsMenu'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 18. 시스템 종료 메뉴 없애기 │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 종료' 메뉴를 없애보자.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Close'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 19. '제어판''프린터' 메뉴 없애기'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항목안의 '제어판'과 '프린터' 메뉴를 없앨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SetFolders'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20. Desktop에 있는 모든 아이콘들을 숨기기.│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만든 후 이름을 NoDesktop 이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21. Windows 설치화일의 위치를 변경하기. │ (W9X)
└────────────────────┘
* 윈도우를 설치했던 디렉토리를 변경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Setup 으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SourcePath 를 찾아 더블 클릭 합니다.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로 바꿉니다
┌─────────────────┐
│22. 내컴퓨터를 탐색기로 사용하기. │ (W9X)
└─────────────────┘
* 내컴퓨터를 더블 클릭하면 내컴퓨터가 아닌 탐색기가 실행이 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CLSID -
- shell 로이동한다. shell항목을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등록 - 키" 를
차례로 누른다. 'open' 이라는 이름의 키를 새롭게 등록한다. open 항목을
오른쪽 마우스로 누르고 "등록 - 키"를 차례로 누른다.command라는 이름의
키를 새롭게 등록한다. command 항목을 왼쪽 버튼으로 한번누른다. 오른쪽
화면에서 기본값이라는 항목을 더블클릭한다. 데이터 값에 explorer.exe를
입력한다.
┌─────────────────┐
│23.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켜놓기. │ (W9X)
└─────────────────┘
* 정성들여서 잘 정렬해둔 아이콘을 누군가가 흐트려 놓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아래 방법을
이용해보자.
변경 할 사항: 우선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을 잘 정돈시킨다음 재부팅을 한다.
재부팅이 되었으면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NoSaveSettings" 라는 DWORD값을 만들고 값으로 1을넣
는다
이제 확인하는 의미에서 아이콘들을 흐트려 놓고 재부팅 해보자.
흐트려 놓았던 아이콘들은 없어지고 전에 잘 정돈 해놓은 아이콘들이 나올
것이다.
┌───────────────────────┐
│24. 내컴퓨터의 오른쪽 버튼에 프로그램을 달자. │ (W9X)
└───────────────────────┘
* '내 컴퓨터'아이콘을 오른쪽 버튼으로 눌렀을때 나오는 메뉴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등록 해 두면 바탕 화면을 어지럽
히지 않고도 좀더 빠르게 실행을 할수 있다. 메모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CLSID -
- shell 로 이동한다. shell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버튼으로 누르고
"등록 - 키"를 차례로 누른다.'메모장' 이라는 이름의 '키'를 새롭게 등록
한다. 새로 만든 '메모장' 키를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누르고
"등록 - 키" 를 차례로 누른다. 'command' 라는 이름의 키를 만든다.
command 항목을 왼쪽 마우스로 한번 누른다. 오른쪽 화면에서 '기본값'
이라는 항목을 더블 클릭한다. 데이터 값에 C:\Windows\Notepad.exe 를
입력한다.
┌────────────────────────────┐
│25. "시작하려면 이곳을 누르십시오" 라는 메세지를 없애기.│ (W9X)
└────────────────────────────┘
* 윈도우를 시작하면 작업표시줄에 "시작하려면 이곳을 누르십시오"라는 메세지가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 메세지가 눈에 거슬리면 없앨수도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로 이동한다. 'NoStartBanner' 라는 이름의 새로운 '이진값'을
등록한다. 오른쪽 화면에서 NoStartBanner 의 값으로 01 00 00 00 을 입력
한다. HKEY_USERS - .Default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화면에서 NoStartBanner 라는 이름의 새로운 이진값을 등록하고,
NoStartBanner 의 값으로 01 00 00 00을 입력한다.
┌─────────────────────────┐
│26. 실행(R)...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항목 삭제 │ (W9X)
└─────────────────────────┘
* 시작 메뉴의 "실행(R).." 에는 지금까지 실행했었던 프로그램의 항목이 26 개까지 등록
된다. 이 등록 항목의 일부만을 삭제할 수가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RunMRU 로 이동한다.우측 화면에 나오는 리스트중 원하는 항
목
을 삭제한다. 처음(기본값)과 끝(MRUList)에 있는 건 지우지 말도록.
┌─────────────────────────────────┐
│27. 폴더를 열었을때 화일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 속도 향상.│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Update 로
이동. 오른쪽 창의 'Update' 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고 수정을
선택,value를 01에서 00으로 바꾼다.
┌───────────────────────┐
│28. 도스모드에서 긴파일이름뒤의 ~ 표시 없애기.│ (W9X)
└───────────────────────┘
* 예를 들어 윈도우즈 에서 'Acd Wallpaper.bmp' 라는 이름을 지정 했을때 '도스창'에서
이 파일을 보면 Acdwal~1.bmp 이런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매우 지저분해 보인다.
레지스트리 편집을 하면 파일이름 앞부분의 8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게 할수 있다. Acdwallp.bmp 이런식으로.. 파일명이 잘려 나가는게 아니고 단지 화면
에 보이지 않게 하는것뿐이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File system 으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NameNumerictail이라는 '이진값'을
등록하고 값으로 00 00 00 00 을 입력한다.
┌────────────────────────┐
│29. Windows 구동시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 없애기│ (W9X)
└────────────────────────┘
* 보통 자동실행 프로그램은 '시작프로그램' 이나 Windows 디렉토리 안에있는 Win.INI
파일안의 Load= , Run= 이라는 항목에 등록이 된다. '시작프로그램' 이나 'Win.INI'
파일안은 비어 있는데도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레지스트리에 직접등록이 되있는 경우다.그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선 레지스트리
편집을 해야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run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사용하지 않을 프로그램 을
제거한다.
┌────────────────────────────────┐
│30. 탐색기나 내컴퓨터에서 BMP파일을 아이콘 형식으로 보이게 하기.│ (W9X)
└────────────────────────────────┘
* 탐색기나 내 컴퓨터를 실행했을경우 BMP 파일의 이미지가 아이콘형식으로 나타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Paint.pictures - defaulticon로 이동해서 기본값 을
%1 로 변경한다. 만약 ACDSee 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Hkey_classes_root - ACDC_BMP - defaulticon 로 이동해서 기본값을 %1
로
변경해줘야 한다.
┌─────────────────┐
│31. CD-ROM의 자동 실행을 막는 방법│ (W9X)
└─────────────────┘
* 윈도우 CD나 오디오CD를 넣으면 윈도우는 CD-ROM 타이틀을 스스로 인식해서 자동
실행한다. 이는 윈도우즈내에 자동실행(AUTO PLAY)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CD를 삽입 한 후 'Shift' 키를 누른다거나,
시스템 등록 정보의 CD-ROM등록정보에서 삽입자동통지 항목을 제거해 주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해 보겠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ear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NoDriveTypeAutoRun 을 선택
한 뒤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메뉴에서 '수정'을 선택한다.
나타나는 이진값편집 창에서 '95 00 00 00'을 'BD 00 00 00'으로 수정한다
┌──────────────┐
│32. 메모장의 글꼴(폰트)변경.│ (W9X)
└──────────────┘
* 메모장의 글꼴을 원하는 글꼴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Config - 0001 - Display - Settings 으로 이
동.
오른쪽 창에서 fixedfon.fon 라는 문자열 값을 찾아 더블클릭하여 원하는
폰트를 적으면 된다.
┌────────────┐
│33. 색상 구성표 저장하기│ (W9X)
└────────────┘
* 새로 바꾸어놓은 윈도의 화면배색을 저장해놓을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Appearance - Schemes
로 이동,선택하고 메뉴에서 '레지스트리' → '레지스트리를 파일로 저장'
을 선택한다. *.reg 형식으로 저장하고 다음부터는 이 파일을 더블클릭을
해서 레지스트리에 입력시킨 다음,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 '화면배색'
탭에 있는 색상표에서 지정해 주면 된다.
┌─────────────────────────────┐
│34. 오른쪽 마우스버튼 메뉴에 '연결 프로그램' 항목 추가하기│ (W9X)
└─────────────────────────────┘
* 원하는 아이콘을 대상으로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연결프로그램'이라는 메뉴가 나타난다.그러나 Shift키를 누르지 않고도 항상 나타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PENT_USER - * 으로 이동. shell 이라는 이름의 하위키를 만
들고
'Shell' 키 아래에 Openas 라는 이름의 하위 키를 하나 더 만든다. 그리고
Openas 키아래에 Command 키를 하나 더 만든다. 이제 Command 키의 오
른쪽
창에서 "(기본값)"을 더블클릭하여
C:\windows\rundll32.exe shell32.dll,OpenAs_RunDLL %1 을 입력한다.
┌────────────────────────────┐
│35. 오른쪽 마우스버튼 메뉴에 '도스 나들이' 항목 추가하기│ (W9X)
└────────────────────────────┘
* 내컴퓨터나 탐색기에서 폴더를 대상으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때 '도스 나들이'
라는 메뉴를 새로 추가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CLASSES - Directory - shell
로 이동.
이 키 아래에 Dos Prompt 라는 이름의 새로운 키를 하나 만든다.
우측창에서 '기본값'을 더블 클릭하여 값으로 '도스 나들이' 라고 적는다.
(다른 이름을 적어도 상관 없음.) 'Dos Prompt' 키 아래에 'Command' 라
는
이름의 새로운 키를 만든다. 'Command'키 오른쪽창의 '기본값'을 더블클릭
하여 값에 Command.com 이라고 적는다.
┌───────────────────────┐
│36. 각 프로그램 실행마다 WAVE(사운드) 추가하기│ (W9X)
└───────────────────────┘
* 각 프로그램을 실행 할때 사운드이벤트를 추가 할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을 실행하게 되면 아무소리없이 썰렁하게 메모장만 실행된다.하지만
사운드를 추가하면 실행할때마다 추가한 사운드가 흘러나오게 할수 있는것이다.
단, 아이콘으로 실행할 경우는 적용이 안되고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거나 탐색기나
'내 컴퓨터'에 확장자가 등록이 되있을 경우에만 적용됨.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AppEvents - Schemes - Apps 로 이동.
Apps 키 아래에 새로운 레지스트리 키를 하나 만든다.
이때 만들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명과 이름이 똑같은 이름의 키를 만들어야
한다.메모장의 파일명은 Notepad.exe 이므로 Notepad 라는 레지스트리키를
만든다. 이 키를 선택하고 오른쪽 창의 '기본값'을 더블클릭하여 "메모장"
이라고 입력한 후 "Notepad" 아래에 "Open" 키와 "Close" 라는 이름의키를
차례로 만든다.
이제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한후 바탕화면에서 기능키 F5를 한번 누른다.
그다음 '제어판 - 사운드' 를 실행한다.
박스안을 살펴보면 방금만든 메모장의 Open,Close 의 WAV 파일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생겼을 것이다.
┌─────────────────────┐
│37. 시스템 종료시 설정사항의 저장을 막기 │ (W9X)
└─────────────────────┘
* 윈도 9x를 종료시키면 바탕화면에 열려있는 창의 위치나 크기 등의 현재 윈도 상태가
저장된다. 현재 설정을 저장하지 않고 윈도우즈가 종료되게 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SaveSettings' 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38. 시스템 폴더(보내기, 바탕화면, 프로그램 파일, 시작 프로그램) 변경 │ (W9X)
└───────────────────────────────────┘
* 윈도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폴더는 다른 경로로 이동하지 못한다. 하지만 레지스트리를
약간만 변경해주면 가능해진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ShellFolders 로 이동.
오른쪽 화면에서 바꾸고 싶은 경로를 변경해준다.
┌─────────────────┐
│39. 작업표시줄에 자기 이름 새기기 │ (W98)
└─────────────────┘
* 작업표시줄에 있는 시계옆에 자신의 이름을 새길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International
로 이동.오른쪽 화면에 문자열값을 's2359'란 이름으로
등록하고 기본값을 원하는 문자를 적어넣는다.
┌───────────────────────┐
│40. 마우스로 끄는 동안 창의 내용을 보이기 │ (W9X)
└───────────────────────┘
* 창의 내용이 보이는 채로 창을 드래그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Desktop
로 이동 문자열값을 'DragFullWindows'라는 이름으로 등록.
값으로 1을 준다.
┌─────────────────┐
│41. PC 스피커의 비프음을 없앤다 │ (W9X)
└─────────────────┘
* 에러가 났을 때 PC 스피커로 '삑삑' 거리며 나오는 비프음을 안나게 할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Sound 로 이동
(Sound라는 키가 보이지 않을경우 새로 등록해 준다)
문자열값을 'Beep'란 이름으로 등록하고 값으로 'NO'를 준다.
┌────────────────────┐
│42. 레지스트리로의 접근 거부 설정하기 │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못하도록 할수 있다.(백업 필수)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System 으로 이동. DisableRegistryTools 라는 이름의
DWORD 를 등록 하고 값으로 1 을 준다.
┌────────────────┐
│43. MTU 조절로 인터넷을 빠르게 │ (W9X)
└────────────────┘
*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패킷의 잘림을 없애서 인터넷이나 통신 속도를 조금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Services -
Class
- NetTrans - 0002 로 이동
MaxMTU 란 문자열 값을 등록하고 값으로 576 을 준다.
┌──────────────────┐
│44. 절대 지울수 없는 아이콘 만들기 │ (W9X)
└──────────────────┘
* 자신의 바탕화면에 함부로 지울 수 없거나 이름을 바꿀 수 없는 아이콘을 만들수 있다.
('내 컴퓨터'와 같은 속성의 아이콘)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
①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CLSID 로 이동한 다음
'FD4DF9E0-E3DE-11CE-BFCF-ABCD1DE12345'와 같은 랜덤한 서브키를 하나 만든다.
예
제의 서브키의 이름과 동일한 형식으로 아무렇게나 입력하면 된다
② HKEY_CLASSES_ROOT\CLSID\의
기본값 이름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여 값을 'My Menu' 와 같이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름
을
적는다
③ HKEY_CLASSES_ROOT\CLSID\로
이동한 다음 'DefaultIcon'이라는 서브키를 하나 만들어 주자. 그런 후 기본값으로서 새로
만들어지는 폴더가 사용될 아이콘의 위치를 지정해 주자. 아래 보기와 같이 아이콘을 포함
하고 있는 실행 파일의 이름을 적어 주어도 된다 (예: c:\windows\explorer.exe)
④ HKEY_CLASSES_ROOT\CLSID\로
다시 이동한 다음 'InProcServer32'라는 서브키를 하나 더 만든다. 그리고 기본값으로서
'shell32.dll'를 지정해 준다. 그리고 문자열 형식으로 'ThreadingModel'이라는 이름을 만든
후 에 값을 'Apartment' 라고 입력한다
⑤HKEY_CLASSES_ROOT\CLSID\ 로
이동한 다음 Shell이라는 서브키를 만들고 그 밑에 "Open My Menu"라는 서브키를 또 만
들어 준다. 주의할 점은 ②번 과정에서 적었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해야한다는 것이다. 마지
막으로 Command 라는 이름의 서브키를 하나 더 만든다. 최종적으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CLSID\{FD4DF9E0-E3DE-11CE-BFCF-A
BCD1DE12345}\Shell\Open My Menu\command 까지 만든 것이다. 그런 후에 기본값으로
'c:\windows\explorer /n /root,c:\MyFolder' 라고 입력해 주자. 여기서 C:\MyFolder는 새
로
만든 아이콘을 실행시켰을 때 열리는 폴더의 위치를 지정해 주면 된다.
⑥ HKEY_CLASSES_ROOT\CLSID\ 로
이동한 다음 ShellEx라는 서브키를 만들고 그 밑에 PropertySheetHandler라는 서브키를 하
나 더 만든다. 마지막으로 이라는 서브
키
를 하나 더 만든다. 최종적으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CLSID\{FD4DF9E0-E3DE-11CE-BFCF-A
BCD1DE12345}\ShellEx\PropertySheetHandler\{FD4DF9E0-E3DE-11CE-BFCF-ABCD1DE1
2345} 이라는 서브키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⑦ HKEY_CLASSES_ROOT\CLSID\로
다시 이동하여 ShellFolder 라는 서브키를 만들고 'Attributes'라는 바이너리 형식의 이름
을
만든다. 그리고 값을 00,00,00,00 으로 주자.
⑧ 이제 새로 만든 시스템 폴더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Desktop\NameSpace 로 이동하여 {FD4DF9E0-E3DE-
11CE-BFCF-ABCD1DE12345} 이라는 서브키를 새로 만들어 준다. 그러면 바탕화면에 새
로
만든 폴더가 위치하게 된다. 만약 내 컴퓨터 폴더 안에 만들고자 한다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MyComputer\NameSpace의 위치에 {FD4DF9E0-E3DE-
11CE-BFCF-ABCD1DE12345} 라는 서브키를 만들어 주면 된다.
☆ ━━━━━━━━━━━┓━━━━━━━━━━━━━━━━━━━━━━━━━━━━
TIP 2 - 기타 ┃▧▧▧▧▧▧▧▧▧▧▧▧▧▧▧▧▧▧▧▧▧▧▧▧▧▧▧▧
┗━━━━━━━━━━━━┛━━━━━━━━━━━━━━━━━━━━━━━━━━━━
┌──────────────────┐
│1. 내 컴퓨터를 탐색기처럼 사용하기. │
└──────────────────┘
* 내 컴퓨터를 실행하면 탐색기와 같은 모양으로, 왼쪽에 트리구조가 나오고 오른쪽에
파일과 폴더들이 나온다.
변경 할 사항: 내 컴퓨터나 탐색기를 실행한다. 메뉴중 "보기 - 옵션"을 차례로 누른다.
파일형식 이란 메뉴를 누른다. "등록된 파일 형식" 이라고 나온 곳에서
"폴더"를 찾아서 오른쪽에 있는 편집을누른다. "명령" 이라고 나온곳에
"explore 와 open" 두 가지가 있을 것이다. 그중 'explore' 를 누르고
오른쪽에 있는 기본값 설정을 누른다. 그러면 explore 항목이 진하게 변할
것이다. 이제 내 컴퓨터나 탐색기를 완전히 종료하고 '내 컴퓨터'를 다시
실행해본다.
┌────────────────────────────┐
│2. MS-DOS 프롬프트 상에서 긴 파일명 또는 폴더명 사용하기│
└────────────────────────────┘
프롬프트 상태에서 'C:\>cd Program Files' 이렇게 명령을 내리면
"매개 변수가 너무 많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나오며 수행이 안된다. 하지만 긴파일 또는
폴더명에 큰따옴표를 넣어서 사용하면 해결이 된다.
예> C:\>cd "Program Files" 이렇게 쓰고 엔터.
┌────────────────────┐
│3. 한글도스모드 와 영문도스모드 자유전환│
└────────────────────┘
도스 프롬프트에서 한글모드와 영문모드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 할 수 있다.
한글모드→ C:\>Chcp 949 또는 C:\>Hcode /K
영문모드→ C:\>Chcp 437 또는 C:\>Hcode /E
전환이 안될경우 Autoexec.bat화일에 다음 줄을 추가한다.
C:\Windows\Nlsfunc.exe C:\Windows\Country.sys
┌───────────────────────────┐
│4. 한글 윈도우 도스창에서 영문 도스 사용하기. (강추천)│
└───────────────────────────┘
1 윈도우 폴더안의 SYSTEM.INI 를 에디트 한다.
2 [386Enh] 라는 항목에서 DEVICE=*MSHBIOS 를 찾는다.
3 그 항목을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DEVICE=*MSHBIOS
4 재부팅.
┌───────────────────────────┐
│5. 단축 아이콘으로 윈도우를 잽싸게 종료하기. (강추천) │
└───────────────────────────┘
1 바탕화면 또는 적당한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단축 아이콘을 하나 만든다
(시작 메뉴에 등록시키면 좋습니다.)
2 아이콘의 대상 파일을 물어볼 때 찾아보기 를 누르고 C:\WINDOWS\RUNDLL.EXE 를
찾아서
입력한다.
3 단축아이콘이 만들어지면 해당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버튼으로 누르고 등록정보를 연다
4 단축 아이콘 탭으로 이동한다.
5 '대상(T):' 이라고 된곳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C:\WINDOWS\RUNDLL.EXE user.exe,exitwindows
6 '시작위치(S):' 라고 된곳의 내용을 모두 지운다.
7 적용을 누른다.
┌───────────────────────┐
│6. 윈도우즈에서 확장 완성형을 사용하기. (추천)│
└───────────────────────┘
*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완성형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는데 완성형만으로는 타이핑 할수
없는 글자들이 굉장히 많다. 확장 완성형을 사용하면 조합형처럼 모든 글자를 타이핑할
수 있다.
* 탐색기를 실행해서 윈도우즈 폴더(디렉토리)로 이동한다.
Iso10646.exe 라는 파일을 찾아서 실행한다
"Iso10640 사용" 에 체크한다.
재부팅.
┌───────────────────────────┐
│7. 단축 아이콘으로 재부팅을 잽싸게 하는 방법. (강추천)│
└───────────────────────────┘
단축 아이콘을 하나 만든다. 그다음 등록 정보로 가서 '단축 아이콘' 항목으로 이동.
나오는 항목중 '대상(T):' 라고 되 있는곳에
C:\Windows\Rundll.exe user.exe,exitwindowsexec 라고 입력 한다. '확인'을 누르고 더블
클릭을 해보면 순식간에 윈도우가 재부팅이 된다.
┌─────────────────────────────────┐
│8. 단축 아이콘으로 시작메뉴에 있는 문서 내용 잽싸게 지우기. (추천)│
└─────────────────────────────────┘
* 시작 메뉴에 '문서'란의 내용을 지우기 위해서는
'시작 → 설정 → 작업 표시줄 → 시작 메뉴프로그램 → 지우기' 이렇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단축 아이콘 하나로 해결해보자.
1 메모장을 열고 다음 내용을 입력한다.
ECHO OFF
ECHO y| DEL C:\WINDOWS\RECENT\*.*
CLS
2 RECENT.BAT라는 이름으로 루트디렉토리에 저장한다.
3 이 배치화일을 배경화면 또는 시작메뉴에 단축아이콘으로 만든다.
4 아이콘을 마우스 우측버튼으로 클릭한 후 메뉴에서 등록정보로 간다.
5 메뉴중 프로그램으로 이동한다
6 실행이라고 되있는곳을 "아이콘 표시"로 바꾼다.
7 "종료시 닫기"를 선택 한다.
8 메뉴중 "기타"로 이동한다.
9 "종료"라고 되있는곳에 "활성 상태시 경고"를 선택취소 한다.
(체크되있는것을 없앤다.)
10 적용을 누르고 확인을 누른다.
참고 : C:\WINDOWS\TEMP\ 라는 디렉토리는 임시 작업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안에 있는
파일
이나 폴더는 전부 필요 없는 파일이다. 괜히 쓸데 없이 용량만 차지 하고 있을뿐..
지워도 별 지장 없으니 RECENT.BAT 파일에 이 디렉토리도 아래와 같이 추가 해
두자
예 : ECHO y| DEL C:\WINDOWS\RECENT\*.*
CLS
┌─────────────────┐
│9. *.RA *.RM 화일을 연속재생하기. │
└─────────────────┘
예를 들어 C:\REAL\ 안에 있는 A.RA B.RA C.RM D.RA 파일을 연속 재생하고 싶다면
다음과
메모장을 실행 시키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FILE:C:\REAL\A.RA
FILE:C:\REAL\B.RA
FILE:C:\REAL\C.RM
FILE:C:\REAL\D.RA
위와 같이 적은 후 확장명을 *.RAM으로 해서 저장한 후 재생한다.
┌───────────────┐
│10. *.MP3 파일을 연속 재생하기│
└───────────────┘
예를 들어 C:\MP3\ 안에 있는 A.MP3 B.MP3 C.MP3 라는 세 개의 음악파일을 연속 재생
하고
메모장을 실행 시키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C:\MP3\A.MP3
C:\MP3\B.MP3
C:\MP3\C.MP3
위와 같이 적은 후 확장명을 *.M3U로 해서 저장한후 재생한다.
┌──────────────────┐
│11. 윈도에서 화면 보호기를 즉시 실행│
└──────────────────┘
키보드의 입력과 마우스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없으면 화면보호기가 실행되지만 화면
보호기를 지금 당장 실행 시키고 싶을 때 가 있다. 화면 보호기 파일은 C:\Windows 또는
C:\Windows\System 폴더에 위치하며, SCR 이라는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원하는 화면 보호기 파일을 찾아 바탕화면 등에 단축아이콘을 만들어주면,나중에 이 단축
아이콘을 더블클릭 함으로써 화면 보호기를 즉시 실행할 수 있다.
┌───────────────┐
│12. 특정 폴더에 휴지통 만들기.│
└───────────────┘
'탐색기'나 '내컴퓨터'를 실행해 '휴지통'을 만들 폴더로 이동한다.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를 차례로 누르고 새폴더를 만든다.새 폴더의 이름을
휴지통. 라고 친다.
그럼 짠 하고 휴지통이 생길것이다.
┌───────────────────┐
│13. 시작 메뉴에 제어판 만들기. (추천) │
└───────────────────┘
탐색기나 내 컴퓨터를 실행해 'C:\Windows\시작메뉴\'로 이동한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 를 차례로 누르고 새 폴더를 만든다.
새 폴더의 이름을 제어판. 라고 바꾼다.
이제 시작 버튼을 눌러보자. 제어판이라는 메뉴가 생겼을 것이다.
┌─────────────────┐
│14. 도스 창의 기본 메모리를 늘리기│
└─────────────────┘
윈도우즈 디렉토리 안에 있는 'system.ini' 파일을 '메모장' 이나 기타 에디트
프로그램으로 불러온다. 그럼 내용중에 [386Enh] 라는 항목이 있는데 그항목 사이에
LocalLoadHigh=1 라고 써 넣는다. 그럼 적어도
실행 가능한 최대 프로그램 크기 = 7 이상,
사용 가능한 최대 상위 메모리 블럭 = 9 이상 오를것이다.
┌────────────────┐
│15. 제어판에 있는 아이콘 지우기.│
└────────────────┘
제어판에 있는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을 삭제 하고 싶으면 'C:\WINDOWS\SYSTEM\' 디
렉토리
안에 있는 *.CPL 화일중 지우고 싶은걸 골라서 삭제 또는 백업을 해둔다.
예: '프로그램 추가 삭제' 아이콘을 지우고 싶으면 APPWIZ.CPL 이 화일을 삭제 또는 백
업
하면된다.
┌────────────────────┐
│16. 프로그램 없이 화면 캡춰하기. (추천) │
└────────────────────┘
별도의 화면 캡춰 프로그램없이도 얼마든지 원하는 화면을 캡춰할 수 있다. 윈도우즈에서
현재 화면에 있는 모든내용을 캡춰 하고 싶으면 Print Screen 키를 누른후 곧바로 그림판
을 실행한다. 그다음 붙여넣기를 하면 신기하게도 모든 화면이 캡춰가된다.일정 윈도우만
캡춰를 하고 싶으면 'Alt + Print Screen' 키 를 누른후 곧바로 그림판을 실행한다.
그다음 붙여넣기를 하면 활성윈도우만 캡춰가 된다.
┌──────────────────┐
│17. 프로그램에 단축키를 달자. (추천)│
└──────────────────┘
어떠한 프로그램을 실행 하려면 보통 바탕화면에 '단축아이콘'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
을 택할것이다.그러나 그렇게 하나,둘.. 단축아이콘을 만들다보면 바탕화면이 아이콘으로
인해 지저분해짐은 물론 찾기도 힘들어질 것이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바탕화면
의 아이콘을 시작 메뉴로 옮겨서 사용을 해야 했는데 이 방법 또한 귀찮아 하시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서 프로그램에 단축키를 다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의외로 모르시는분들이 많더군요.)
우선 해당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해서 등록 정보로 들어
갑니다. 그럼 여러가지 메뉴가 나오죠. (파일정보, 프로그램, 단축아이콘 등등..) 도스용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일 경우 '프로그램' 탭으로,윈도우즈용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일
경우 '단축 아이콘'탭으로 이동한다.그중 '단축키(S)' 또는 '바로가는 키(K)' 라고 된 곳
이 있을 것이다. 그 곳에서 원하는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만약 'S'키를 눌렀다면 자동
으로 Ctrl + Alt + S 라는 단축키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
│18. 로 한/영 전환하기. │
└──────────────────┘
* 예전부터 한글(워드)을 많이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한영전환키' (Shift+Space) 에 익숙
해져 있을것이다.하지만 윈95가 나오고부터 한영전환은 가 아닌 스페이스
키 옆에 있는 한/영 전환키를 써야했다. 한글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할 수
밖에 없는 일인데 다시 예전처럼 바꿀수 있는 방법이 있다.
제어판의 키보드로 이동한다. 키보드에서 일반을 누르면
'PC/AT 101키 호환 키보드/내츄럴 키보드(종류1)'로 되어있을 것이다.여기서 변경을 눌러
모든 장치 보기로 가면 PC/AT 101키 호환 키보드/네츄럴 키보드(종류3)을 선택한 후 확인
을누르면 윈도우CD를 요구 할 것이다. 씨디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재부팅하면
로 한/영 변환이 가능해진다. 변경 후에도 한/영 키로 전환이 가능해진다.
┌───────────────────┐
│19. 한/영 상태 표시기를 없애자. (추천)│
└───────────────────┘
* 윈도우에서 한/영 전환, 한자 표시를 해 주는 '한글 상태 입력창' 이 윈95를 처음 사용
하는 초보자 에게는 도움이 되겠지만,수평 이동줄을 가리는 경우가 있어 눈에 거슬리는
경우도 있고, 윈도우 숙련자들에게는 매우 거슬리는 존재가 되어버린다. 화면에서 아예
추방을 시켜보자.
제어판에의 키보드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자.
실행을 하면 '속도', '언어', '일반' 이렇게 세개의 항목이 나온다. '언어' 로 이동하자.
'작업 표시줄에 언어/한글 입력 상태 표시기 나타내기' 라는 항목에 체크표시 를 한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면 트레이에 만년필 같은 조그만 아이콘이 생길 것이다. 이 아이콘 위
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한/영 상태 입력 창 보기' 에서 체크 표시를 지운다. 그러면
상태 표시기가 없어진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다음 트레이에 등록 되있는 만년필
아이콘을 다시 없애면 깨끗해진 윈도우를 볼수 있을것이다.
┌─────────────────────────┐
│20.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설정'항목 아이콘 만들기│
└─────────────────────────┘
*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에 있는 등록 정보로 들어가면 여러가지 항목이 있는데
그중에 '설정'이란 항목의 단축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먼저 단축 아이콘을 만들 적당한 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바로가기(단축 아이콘) 만들기 명령을 내린다. 창이 열리면 명령줄에
C:\Windows\Control.exe desk.cpl, 디스플레이,3
이라고 적는다. 다음을 누르고 아이콘 이름을 정하면 된다.
┌───────────────┐
│21. 에러메세지 자동 대처 방법 │
└───────────────┘
* 도스용 프로그램을 다루다 보면 한번쯤은 "Abort, Retry, Fail" 이라는 에러 메세지를
만나 보았을 것이다. 이럴 때 대부분 "Fail" 을 선택하게 되는데, 다음부터 이런 에러
메세지가 나왔을 경우 자동으로 Fail 을 선택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Config.sys 파일을 메모장이나 기타 에디트 프로그램으로 불러와서 아래 내용을 추가
한다.
SHELL=C:\COMMAND.COM /F
┌──────────────────────┐
│22. DIR 명령 수행시 출력되는 내용 정렬하기. │
└──────────────────────┘
* 프롬프트 상에서 DIR 명령을 내렸을 때, 출력되는 내용(디렉토리,파일등)을 원하는대로
정렬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시적인 방법 (프롬프트 상에서 아래 명령을 수행하면된다.)
dir /og 디렉토리, 파일순으로 정렬
dir /on 가나다, abc순으로 정렬
dir /od 변경한 날짜순으로 정렬
dir /oe 확장자순으로 정렬
* 두가지 옵션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만약 출력되는 내용을 디렉토리순,
가나다순으로 정렬시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dir /ogn
영구적인 방법
* DIR 명령을 수행했을때의 결과를 항상 디렉토리,가나다순으로 정렬시켜서 출력하고
싶다면 AUTOEXEC.BAT 파일에 아래와 같은 항목을 추가해주면 된다.
SET DIRCMD= /OGN
┌──────────────────┐
│23. 106 키보드에 있는 Window키 활용.│
└──────────────────┘
* 106 키보드를 보면 Ctrl 키와 Alt 키 사이에 윈도우 마크표시가 된 키를 볼수 있다. 이
키를 그냥 눌렀을 경우 시작메뉴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는데 그 외에도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키와 관련된 단축 키를 알아보자.
WinKey + E 윈도우 "탐색기" 실행
WinKey + R 시작 메뉴의 "실행" 메뉴
WinKey + Pause 시스템 등록 정보
WinKey + F 시작 메뉴의 "찾기" 메뉴
WinKey + Ctrl+F "컴퓨터" 찾기
WinKey + M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
WinKey + Shift+M 최소화한 모든 창 다시 열기
WinKey + Tab 작업 표시줄의 작업간 이동
WinKey + F1 윈도우 "도움말" 실행
┌──────────────────┐
│24. 윈설치시 SETUP.EXE의 유용한 옵션│
└──────────────────┘
*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때 SETUP.EXE라는 파일을 실행시켜서 설치한다.여기서는 이파일
에
붙여서 사용할수 있는 유용한 옵션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 사용법 : SETUP.EXE 옵션
/is : 자동으로 scandisk가 실행되는 것을 막는다.
/id : disk space 체크를 하지 않는다.
/iq : cross-linked files 과 folder integrity 체크를 건너 뛴다.
/in : 네트워크 설치 모듈을 건너 뛴다.
/iw : 마이크로소프트 설치 경고문을 건너 뛴다.
┌──────────────┐
│25. 시작단추의 위치를 바꾸기│
└──────────────┘
* 작업 표시줄 제일 왼쪽에 자리잡고 있는 '시작단추' 를 작업 표시줄의 내에서 어떤 곳
으로든지 옮길수 있다. (재미로 한번 해보세요)
(단 작업표시줄이 자동숨김이 선택되있으면 적용이 안됩니다.)
시작단추를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한번 누른다.메뉴가 열리면 다시한번 시작단추를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누른다. 그럼 다시 메뉴가 닫힐것이다. 그럼 그때 Alt 와 - 키를 누른다.
(Alt + -) 그럼 메뉴가 하나 나올것이다. 그중 이동을 선택하고 시작단추를 원하는곳으로
이동하면된다. (이동할때는 키보드의 이동키를 이용)
┌──────────────────────┐
│26. 시스템에 자기만의 로고와 정보 입력 하기 │
└──────────────────────┘
* 제어판의 '시스템' 을 실행하여 '일반'탭을 보면 시스템 사용자 정보가 있고 왼쪽 아래
쪽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LG나 삼보 컴퓨터(등등)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회사의
로고가 있는것을 보았을 것이다.이제 이 보기싫은 로고를 지워 버리고 자기만의 로고와
등록정보를 넣어 보자.
1 로고 만들기.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 사진이나 기타 좋아하는 그림등을 BMP 형식으로 변환한뒤 크기
를
200x120 로 맞춘다. 이미지의 색상은 하이컬러든 트루컬러든 다 된다. 편집을 하였으면
C:\Windows\System 폴더에 Oemlogo.bmp 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2 등록 정보 만들기.
C:\Windows\System 폴더에서 Oeminfo.ini파일을 찾아 메모장이나 기타 에디트 프로그
램
으로 불러오기 한뒤 아래와 같이 자기만의 등록 정보를 입력한다.
만약 Oeminfo.ini 파일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새로 만든다.
┌────────── Oeminfo.INI 파일 예제 ──────────┐
│[general] │
│Manufacturer= SamSung Magic Station X │
│Model= 586 Pentium 133MHZ 32RAM │
│ │
│[Support Information] │
│Line1= │
│Line2= ┌────────── D E U X ───────────┐ │
│Line3= │ │ │
│Line4= │ 전화번호 : 0342 - 744 - 8259 │ │
│Line5= │ 호 출 기 : 015 - 7742 - 0479 │ │
│Line6= │ │ │
│Line7= │ HiPi Boys Only D.E.U.X │ │
│Line8= │ │ │
│Line9= └───────── F O R E V E R ─────────┘ │
│Line10= │
│Line11= │
│Line12= │
│Line13= │
│Line14= │
│Line15=◎D E U X F O R E V E R◎ │
└────────────────────────────────┘
카페 게시글
앗뜨거워-최신유머
(초강추)windows 갖고 놀기 (부제 빌 사장 엿먹이기)
유머나라회장
추천 0
조회 1,956
04.12.20 22:56
댓글 14
다음검색
첫댓글 응?
뭐?
과연 다 읽은 사람이 있을까?
왜?
어쩌라구
빌 엿맥이는게 아니고 윈도우 98 최적화네 ㅡㅡ;;
내용 이해 안가 드르륵..;;
엑스피는 없나요? ㅡㅡ;
드르륵
훔
OTL
-_-↑정말이오?
참나.... 이거 드르륵 하기도 힘들군
ctrl + a 하심 ctrl all 모두 선택된답니다. 좋은게시물 스크랩 해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