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을 속이고 달아난 뒤 한강다리를 폭파한 이승만을 국부로 만들려는 망상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가. 2017년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한강의 글을 보면 그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
'미국이 전쟁에 대해서 말할 때, 한국은 몸서리 친다. 승리로 끝나는 전쟁 시나리오는 없다..
군사독재정권이 계엄령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한 1980년 광주항쟁을 다룬 저의 소설 '인간의 행위(소년이 온다)'를 연구하면서 광주뿐만 아니라 제2차 세계대전, 스페인 내전, 보스니아, 아메리카 원주민 학살 등 관련 자료로 범위를 넓혀야 했습니다.
제가 궁극적으로 집중하고 싶었던 것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가 아니라 이 세상의 역사 속에서 드러나는 보편적인 인류의 모습이었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인간을 그토록 잔인하게 해치게 만드는지, 폭력 앞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는 사람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묻고 싶었습니다.
저는 야만과 존엄 사이의 아슬아슬한 틈새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더듬어보고 싶었습니다. 연구를 하면서 깨달은 많은 것 중 하나는 모든 전쟁과 학살에는 국적, 민족, 종교,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인간이 특정 타자를 '인간 이하의 존재'로 인식하는 임계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
이 깨달음 역시 동시에 찾아왔습니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유지할 수 있는 마지막 방어선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완전하고 진실한 인식이며, 이는 이러한 모든 편견을 뛰어넘는 것입니다. 그리고 타인의 고통에 대한 단순한 연민을 넘어서는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의지와 행동이 매 순간 우리에게 요구된다는 사실도 깨달았습니다.
(한강의 영문을 데보라 스미스가 한글로 번역)
While the U.S. Talks of War, South Korea Shudders. There is no war scenario that ends in victory'
...
In researching my novel “Human Acts,” which deals with the 1980 Gwangju Uprising, when the military dictatorship turned to the armed forces to suppress student protests against martial law, I had to widen the field to include documents related not only to Gwangju but also to World War II, the Spanish Civil War, Bosnia and the massacres of Native Americans.
Because what I ultimately wanted to focus on was not one particular time and place but the face of universal humanity that is revealed in the history of this world.
I wanted to ask what it is that makes human beings harm others so brutally, and how we ought to understand those who never lose hold of their humanity in the face of violence.
I wanted to grope toward a bridge spanning the yawning chasm between savagery and dignity. One of the many things I realized during my research is that in all wars and massacres there is a critical point at which human beings perceive certain other human beings as “subhuman” — because they have a different nationality, ethnicity, religion, ideology.
This realization, too, came at the same time: The last line of defense by which human beings can remain human is the complete and true perception of another’s suffering, which wins out over all of these biases. And the fact that actual, practical volition and action, which goes beyond simple compassion for the suffering of others, is demanded of us at every moment
-강진모 페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