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인도네시아 전자정부 동향 | ||||||||||||||||||||||||||||||||||||||||||||||||||||||||||||||||||||||||||||
---|---|---|---|---|---|---|---|---|---|---|---|---|---|---|---|---|---|---|---|---|---|---|---|---|---|---|---|---|---|---|---|---|---|---|---|---|---|---|---|---|---|---|---|---|---|---|---|---|---|---|---|---|---|---|---|---|---|---|---|---|---|---|---|---|---|---|---|---|---|---|---|---|---|---|---|---|---|
게시일 | 2016-02-22 | 국가 | 인도네시아 | 작성자 | 김현지(수라바야무역관) | ||||||||||||||||||||||||||||||||||||||||||||||||||||||||||||||||||||||||
인도네시아 전자정부 동향 - 개발 수준이 아직 동남아 국가 중 하위권이나 지속적인 개선 통해 꾸준한 성장 기대돼 - - 한-인도네시아 전자정부 협력센터 개설 통해 우리 기업 진출 용이해지나-
□ 인도네시아 전자정부 개요
○ 전자정부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행정활동의 모든 과정을 혁신함으로써 정부 업무처리가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개선되고, 정부의 고객인 국민에 대해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식정보사회형 정부를 뜻함.
○ 2003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자정부 정책을 규정하고 지방정부를 포함한 각 정부 부처의 정부 포털 개발, 전자문서 관리, 전자정부 개발 계획, ICT 트레이닝 및 지방정부 홈페이지 운영을 의무화했음. 또한, 2006년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 개발을 담당하는 국가 ICT 위원회(Detiknas)를 설립했음.
○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온라인 비자 신청, 원스톱 투자허가 신청 등 여러 공공서비스를 온라인화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정부 포털 홈페이지 자료원: www.indonesia.go.id
□ 세계 속 인도네시아 전자정부
○ UN은 전자정부 개발 지수(EGDI)를 사용해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국가의 노력 및 역량을 측정했음. - EGDI는 온라인 서비스 지수(OSI), 전자통신 인프라 지수(TII) 및 인적자본 지수(HCI)로 나뉨.
○ 2014년 UN이 시행한 전자정부 조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193개 국가 중 106위, 동남아 국가 중 7위로 전자정부 개발 수준이 비교적 하위권에 머묾. - 인도네시아는 인터넷 사용자 수가 2003년 약 800만 명에서 2015년 약 7300만 명으로 급증해 온라인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 부족 등 여러 문제로 아직 전자정부 시스템 사용이 활성화되지 못했음.
동남아 국가 EGDI 지수
자료원: UN 2014년 전자정부 조사
□ 현 인도네시아 전자정부의 문제점
○ 현 인도네시아 전자정부가 겪는 몇몇 문제점은 아래와 같음. - 정부 부처의 기술 부족: 몇몇 정부 부처의 전자시스템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UX Design)이 거의 구축돼 있지 않음. - 인프라 부족: 자원 및 기술 부족뿐 아니라 ICT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 환경 열악 또한 전자정부 시행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함.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되는 ICT 인프라는 전체 인구의 약 5%만 지원 가능한 상태임. - 데이터베이스 부족: 몇몇 정부 부처의 홈페이지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아 게재된 정보의 양,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짐.
□ 2015~2019년 인도네시아 ICT 개발 계획
○ 현 인도네시아 정부는 각각 지방 간의 경제적 연결 및 각각 정부 부처 간의 연결을 추진해 국가 ICT 연결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2015~2019년 인도네시아 정부의 ICT 분야 목표는 아래와 같음. - 비상업 지역 ICT 서비스: 일반 전자통신 서비스 지역(USO)에서 전자통신과 인터넷 100% 지원, 국영 라디오(RRI) 90% 지원 및 국영 TV 채널 88% 지원 - 브로드밴드 고속통신망: 모든 지역을 연결하는 전국적 광섬유 백본 연결망 설치, 고정 브로드밴드 도시 71%, 변두리 지역 49% 지원, 1Mbps 모바일 브로드밴드 도시 100%, 변두리 지역 52% 지원 - 스펙트럼 관리: 디지털 TV로 전환 완료, 모바일 브로드밴드 지원을 위해 350㎒의 대역폭 추가 - ICT 활용능력: 인도네시아 ICT 활용능력 75% 달성 - 전자정부: 전자정부 지수 3.4 달성
□ 한국과 전자정부분야 협력 추진
○ 2014년 12월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한-인도네시아 전자정부 행정개혁 공동위 구성에 관한 MOU를 체결했으며, 2015년 8월 전자정부 행정개혁 협력센터 구축 및 운영에 대한 MOU를 체결했음.
○ 한-인도네시아 전자정부 협력센터는 201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개소돼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양국이 함께 운영. 주 업무는 인도네시아 전자정부 마스터플랜 수립 등 공동 프로젝트 개발, 전자정부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 기술 및 인력 교류, 인도네시아 정부기관 전자정부 및 법제도 자문과 정보화 컨설팅 추진 등임.
□ 시사점
○ 인도네시아의 급격한 인터넷 사용자 증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자정부에 대한 높은 관심 등에 견인돼 인도네시아 전자정부는 잠재 발전가능성이 큼. - 현재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약 7300만 명으로 인도네시아 전체 인구의 약 29%에 달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13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ICT 사업에 약 12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2014년 투자액은 전년대비 약 133% 증가해 28억 달러에 달함.
○ 한-인도네시아 전자정부 협력센터 개설을 통해 우리 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이 한결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됨. - 한동협 LG CNS 법인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디지털포렌식, 법령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 구축을 희망하고 있다 밝힘.
자료원: UN E-Government Survey 2014, Jakarta Post, 인도네시아 정부 포털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머니투데이 등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료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