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북극해 항로로 中에 원유 첫 운송…기간단축 효과 아직 미미
* 7∼8월 발트해 연안 항구서 3차례 보내…쇄빙선 부족 등이 걸림돌
-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가 자국산 대표 원유인 우랄유를 유럽 대신 중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북극해 항로(NSR)를 활용하고 있지만, 기대했던 운송 시간 단축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음
- 23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에 따르면 러시아 에너지기업 가스프롬네프트와 로스네프트는
지난 7월 러시아 북서부 발트해 연안 항구인 프리모르스크와 우스티-루가 등 2곳에서
모두 20만t가량의 우랄유를 유조선 '프리모르스키 프로스펙트' 등 2척에 실어 중국으로 보냈음
- 러시아가 북극해 항로를 통해 우랄유를 운송한 것은 이번이 처음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후 유럽을 대신할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른 중국과 인도 등에
러시아산 원유를 공급하기 위해 주로 지중해 등을 거치는 수에즈운하를 이용해왔음
- 다만 원유 운송 시간과 비용 등을 줄이기 위해 중국 등으로 이르는 거리가 더 짧은 북극해 항로를
이용하는 시도 역시 병행하고 있지만, 아직 기대한 만큼의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음
- 원자재 정보업체 케이플러(Kpler)는 발트해 연안 항구인 프리모르스크에서 중국 산둥성 르자오(日照)까지
수에즈운하를 이용할 경우 운송 기간은 평균 50일 정도가, 북극해 항로를 통해서는 40∼42일이 각각 걸릴 것으로 분석했음
- 하지만 지난 7월 발트해 항구에서 출발한 유조선들은 쇄빙선의 유도를 받고 있음에도 바다가 두껍게 얼어있는
북극해 동부 해역의 상황으로 인해 제 속도를 내지 못해 중국까지 운송 기간은 최대 50일이 걸릴 전망
- 또 북극해 동부지역 해빙(海氷) 상황이 다소 나아진 이달에도 프리모르스크에서
우랄유 10만t을 싣고 출발한 유조선의 경우 중국에 도착하기까지 43일이 걸릴 전망
-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서도 러시아가 북극해 항로를 통해 중국 등으로 원유를 운송하려는 시도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음
- 앞서 지난 5월 러시아 국영 원자력발전 기업 로사톰의 알렉세이 리하체프 대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의에서 원유 운송경로로 북극해 항로를 이용하는 문제를 논의했음
- 당시 리하체프 대표는 "북극해 항로는 가장 안전하고 매력적인 경로"라고 언급했음
- 하지만 쇄빙 기능을 갖춘 유조선과 쇄빙선이 부족한 문제는 러시아가
북극해 항로로 많은 양의 원유를 운송하는 데 있어 걸림돌로 지적됐음
- 러시아가 오랜 기간 개발에 공을 들여온 북극해 항로는 서부 북극권 카르스키예 해협에서
극동 추코트카 자치구의 프로비데니야만까지 약 5천600㎞에 이름
- 러시아는 해당 항로 개발을 위해 향후 10여 년 동안 1조8천억 루블(약 25조 원)을 투입할 방침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후 아시아로의 원자재 등 수출 확대를 위해 극동으로 향하는 북극해 항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현재 3천만t 중반대 수준인 연간 화물 운송량은 2030년에 1억9천400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출처] [무역물류동향]_국내외 항공수출/항공수입/해운수출/해운수입 뉴스_2023.08.24(목)|작성자 지앤수인터내셔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