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東江)은 흐르는데(영월동강 굽이치네)
박경규 작사, 작곡
푸른 물 흘러 흘러 강원유곡 백삼십리 강 허리에 흰빛 자갈 눈빛을 가른다 정선평창 기암절벽 굽이마다 돌고 돌아 징검다리 건너 어라연에 영월동강 굽이치네 아~ 높고 낮은 산자락에 하얀 구름 머무르고 이슬 맺힌 맑은 햇살에 동강은 흘러 흐르는데
조양 수 흘러 흘러 가수리길 동남 천에 강 허리에 적빛 자갈 눈빛을 가른다 청령 포 어린 단종 두견도 울고 울어 거운교 건너 문산 나루 영월동강 굽이치네 아 ~ 높고 낮은 산자락에 뭉게구름 머무르고 풀빛 맺힌 푸른 하늘에 동강은 흘러 흐르는데
이 노래는 박경규 작사, 작곡 “동강은 흐르는데” 가곡이다. 동강(東江)은 남한강 수계에 속하며 정선, 평창 일대 깊은 골짜기를 흘러내린 물들이 정선 읍내에 이르면 조양 강이라 부르고, 이 조양 강에 동남 천 물줄기가 합쳐지는 정선 읍 남쪽 가수리 부터 영월에 이르기까지의 65km 이르는 구간을 '동강(東江)'이라 부른다.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수달 등 동, 식물들 과, 각종 어류 어름 치, 쉬리등과, 원앙, 황조롱이 새들이 서식 하고 있다고 한다. 한때 동강은 땜을 건설 한다고 하였는데, 환경 단체의 강력한 반대로 세계환경의 날 동강 댐 백지화가 발표되어 무산되었다고 한다. 작곡가는 이 아름다운 동강이 물에 잠긴다고 생각 하니 마음이 편치 않아 노래로 남기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노랫말을 직접 만들고, 작곡하여 “동강이 흐르는데”가 탄생 되었다고 한다.
작사, 작곡가 박경규(朴敬圭)선생님은(1955-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 중앙 대학교 음악 대학 작곡과를 졸업 중앙 대학교 정경대학 신문 방송학과를 수료 하였으며, 제주 대학 의과 대학 의공 박사이다. 한국 방송 공사 프로듀서, 국제 작곡가 제전 (IFC파리) 심사위원, 대한민국 방송 대상. 대불 대학 교수, (음악 치료학) 한국 방송 작가 아카데미 원장, 한국 예술 가곡 연합회 회장이며 국악 방송 본부장. 한국 예술 콘텐츠교육원 원장 이다. 작곡으로는 <대관령> <안개꽃>등은 유명한 가곡이 있다.
동강 할미꽃 (사진 폄)
6월은 푸르다, 눈을 들어 바라보면 강물도 푸르고, 산과 들과, 하늘도 모두가 푸르고 빛난다.
6월의 동강은 강원도 영월 조양강으로 부터 시작 하여 길이가 약 65km된다.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五臺山1,563m)에서 발원 하여 오대 천과, 조양 강 이 합류하여 영월 하송리 에서 만나 남한강 상류로 흘러 4억 5,000년 전에 융기 되어 석회암 지역으로 단층 운동과 습곡 운동의 영향으로 현재의 지형이 형성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동강 유역에는 많은 동굴(약 256개)이 있다고 한다.. 특히 백룡동굴(白龍洞窟)은 천연 기념물 260호로 지정 되었다.
그리고 동강(東江)은, 강물이 흐르는 계곡에 스포츠 레프팅 장소로 유명 하며, 각종 휴양림, 펜션들이 잘 마련되어 있고, 관광 및 휴가지로 유명 하다, 특히 봄이면 바위 절벽에 피어나는 우리나라 고유종 동강 할미꽃은 그 꽃이 아름다음으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 받는 꽃 이다. 그래서 매년 봄이면 정선읍에서는 동강 할미꽃 축제도 연다고 한다.
특히 동강은 어린 나이에 비운에 죽은 단종(端宗)의 혼령(魂靈)의 전설 있는, 청령포(淸泠浦)와 “어라연(魚羅淵)”이 있어, 경치 좋기로 유명하며, 한번은 가볼만한 우리나라 역사 여행지다. 특히 조선 후기 방랑시인 김삿갓(이름 김병연(金炳淵(1807~1863)) 묘(墓)가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 노루목 마을에 있다고 하며 많은 이들이 찿는 다고 한다.
초여름 산과 계곡의 푸른 물결이 어우러지는 영월 동강의 흐르는 물결 속에, 그 아픈 역사 전설이 담겨진 단종의 가슴 아픈 사연을 달래며, "동강은 흐르는데” 노래를 불러 본다.
푸른 물 흘러 흘러 강원유곡 백삼십리 강 허리에 흰빛 자갈 눈빛을 가른다 아~ 높고 낮은 산자락에 하얀 구름 머무르고 이슬 맺힌 맑은 햇살에 동강은 흘러 흐르는데~~~
https://youtu.be/B5tLvPRmL7Q (노래 터네 임웅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