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불광사 11학번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권 옥희
    2. 자문성
    3. 이경미(본명화)
    4. 심애불
    5. 자광운
    1. 김수진
    2. 일산
    3. minjung
    4. 명안심
    5. belhomme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스크랩 국립중앙박물관 "발원전" 7월 17일 번개
보응 추천 0 조회 58 15.07.10 13:56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국립중앙박물관 "발원" 특별전시회(8월2일까지)

 

 

 

 

 

서울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발원" 간절한 바람을 담다 특별전은 불교미술

작품에 남아 있는 발원문을 통해 옛 사람들의 정서와 소망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것이다.         

 

 

 

 

 

 

삼국시대로 부터 현재까지 사람들은 무었을 소망했고 어떻게 살기를 원 했을까.왕실에서 부터 천민에

 이르기까지 유물을 통해 옛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7월 세째주 금요일인 7월17일 오후 3시 부터 대단한 문화해설사로 부터 설명을 들으며 "발원전"을     

 보려고 합니다. 시간이 되시는 분은 7월 17일 오후3시까지 박물관 본관 1층 전시실 앞으로 오세요      

    일찍 오셔서 미리 관람 하시고 있다가 설명을 들으면 더 좋겠지요 (연락처 바위솔 010-3383-1112)       

 

 

 

 

 발원전"에는 불교미술품의 걸작 431점이 전시된다 그 중 134점이 국보와 보물인데.......                    

이 곳에 몇점의 작품과 발원문을 소개한다. 인목대비가 모든것을 잃었던 당시의 심정도 헤아려 보기를

 

 

 

 

 

 

연가칠년명불입상('延嘉七年'銘 佛立像 국보 119호) 승려 40인이 발원한 불상 고구려539년 금동제.     

경남 의령군 대의면에서 발견된 불상.                                                                                       

                                                                                

불상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제작년도, 그리고 제작 목적을 기록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이다.

광배 뒷면의 명문에 의하면 이 불상은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있는 동사(東寺)에서 승려 40인이 발원한

     것으로 천불(千佛) 중 29번째 인현의불(因現義佛)을 만들어 승려 법영이 공양하였다.                             

부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기 위한 발원의 목적이 기록되어 있다 (박물관 설명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국보 제106호) 백제유민이 조성한 불비상 (통일신라 673년,석제) 세종시.비암사                  

               

   서방 극락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이 새겨진 비석 모양의 조각상이다.정면에는 전씨(全氏)를 비롯한 주요

     발원자들의 이름과 나라를 위해 발원 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측면에는 50명의 후원자들이 모든 중생을 

  위해 발원 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여기에는 백제의 성씨와 관등, 신라의 관등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 되어   

      있어 옛 백제의 유민들이 주요 발원자로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측면의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天人)         

    8구와  뒷면 불상 20구 옆에 후원자들의 직함과 이름을 새겨 놓았다. (박물관 설명문)                             

 

불상의 뒷 면에는 4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5구씩의 작은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을 조각하고 그 사이에 

                    사람의 이름과 관직을 새겼다. 그 관직과 이름이 백제인인 것이다. 나라를 잃은 죄를.... 모시던 임금과                       

            조상에게 사죄하며 명복을 비는 의미로 만들었다 (2014년 6월 29일 충청일보 기사에서 인용)                            

                 

   * 불비상 (佛碑像)이란 돌을 비석처럼 다듬어 사면에 조각을 해 세운 비를 말함.                                    

                            

 

 

 

전대구동화사비로암삼층석탑납석사리호 (傳大邱桐華寺毘盧庵三層石塔蠟石舍利壺) 보물 제741호         

    

별칭 민애대왕석탑사리호''에는 신라 44대왕인 민애왕(생존기간 817~839..재위기간 838~839)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써있다. 왕위 계승을 둘러싼 암투로 죽임을 당하고 죽인 왕들이지만 왕권 수호를 위해     

              정적이였더라도 화해의 의미로 후대 왕인 45대 신무왕이 탑을 쌓고 사리호를 만들었다.                                     

                                  

 * 납석 : 촉감이 매끈매끈하고 기름같은 광택이 나는 광물. 곱돌이라고도 한다.                                   

 

 

 

사리호 명문 해석 글 ( 박물관 해석)  크릭하면 글씨가 크게 보임

 

 

 

 

 

 

 복장물을 넣은 관음보살상 (고려, 13세기 초, 목조)                                                                         

 

 관음보살은 세상의 소리를 살펴 고난에 처한 사람의 외침을 듣고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고려시대 관음보살상은 갸름한 얼굴에 입체적인 이목구비가 특징으로 자비로운 보살의 이미지를 부드럽고

   우아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높은 보관과 화려한 장신구는 섬세하고 귀족적인 고려시대 불교문화의특징을

   잘 보여준다.오른쪽 다리는 올리고 왼쪽 다리는 아래로 늘어뜨린 유희자 자세는 화엄경 입법계품에서       

   보타락가산의 바위 위에 앉은 관음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눈에는 수정을 감입하고 총 15개의 부재를     

  못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자연스러운 자세를 표현하였다.                                                               

                                    

 

    

             

 

금강산 사찰에서 발원한 관음보살상 (조선,1763년,목제)                                                                 

 

1965년 한일협정으로 반환된 보살상으로 복장물도 함께 반환되여 제작연대를 알 수 있다. 동그란 턱선에

평면적인 얼굴 표현과 방형 기둥을 연상시키는 신체 표현은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이다.                       

                   

 

 

 

불상을 조성하며 발원한 글    * 위 사진을 크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이름 확인 할 수 있음                    

                                                                                                     

1763의 조성발원문에 따르면 안양암에서 제작된 두 점의 관음보살상 가운데 한 점은 안양암에, 한 점은

문수암에 봉안하였다. 관음보살상의 제작은 비구 양재,이복경,이익대,이최대,최덕무,등이 후원하였으며

제작을 이끈 조각승은 최겸이다. 조선후기 발원문은 이처럼 불사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사람을 의미하는

시주질(施主秩)과 불상 제작 실무를 수행한 사람들을 뜻하는 연화질(緣化秩)을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승려와 일반인이 다수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위 사진이 복장유물인 발원문임)                  

 

 

 

 

고려와 조선시대의 관음보살상의 비교 (고려시대의 섬세하고 화려한 보관이 조선시대에는 간결해졌다)

 

 

 

 

 

 

 아미타삼존불상,고려1333년,금동제 (관료부터 천민까지 함께 조성한 아미타삼존불)                            

 

서방 극락정토의 아미타불과 그 협시불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삼존불이다. 고통으로

부터 벗어나 즐거움만 가득한 극락세계에 태어나고자 했던 중생의 간절한 바람은 아미타 신앙의 유행을 

 가져왔다. 이 아미타삼존불상은 1333년 9월 22일에 조성된 것이다.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의 바닥

 안쪽 면에 적힌 묵서를 통해 장현과 그의처 선씨의 시주로 불상이 조성되었고 조성을 주관한 주요 인사는

승려 행인,영전,계환,이였었음을 알 수 있다                                                                                 

 

 

 

 

       대세지보살상의 바닥에 써 있는 묵서" 시주 장현처 선씨 옆에 동량 행인,영전,계환,이란 글이 써 있다.        

동량은 시주를 받는 직책의 이름으로 구걸하는 사람에게 동냥을 다닌다''란 말은 여기서 나온 말이다. 

 

 

 

 

 

영조대왕이 하사한 도포 (영조대왕 도포와 발원문,1740년, 재질 은조사. 파계사 소장)                          

 

  1740년 영조대왕(1694~1776)이 하사한 도포로 파계사 원통전의 관음보살상을 개금 중수할때 납입한       

 복장물이다. 이곳은 숙종 계비 인원왕후 영조와 영조비 정성왕후의 탄일 불공을 드리는 왕실의 원당으로  

 1740년 12월 영조대왕이 왕의 도포를 하사 하면서 만세유전을 기원 하였다 1740년은 영조가 정치적        

  대통합을 이루고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인정받았던 해이기도 하다. 연한 녹색의 영조대왕 도포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도포에 격식을 더 했으며 넓은 소매에 일반인의 곧은 깃과는 달리 당코깃(반폭판깃)의 형태다.

 

 발원문                                                                                                                                    

 건륭5년(1740,영조16) 경신 12월 11일 복장기                                                                                

 

성상께서는 갑술년(1694,숙종20)에 태어나셨으며 성은 이씨이다.청사(靑紗) 상의 1령(領)을 파계사에     

  대대손손 남기는 것은 삼전의 탄일에 불공을 드린 국가의 원찰이기 때문이다.                                       

 

 

 

 

 

 인목대비가 발원한 금광명최승왕경 (조선 1622,동국대박물관 소장)                                                  

 

인목대비는 선조의 두 번째 비였으나 광해군의 즉위 후 아버지 김제남과 아들 영창대군을 잃고 딸인      

  정명공주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었다."금광명최승왕경"은 폐서인 신분이였던 인목대비가 손수 필사한 경전

  이다.경전을 간행하면서 아버지와 형제 아들 영창대군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고 딸 정명공주와 상궁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였다. 이 경전을 필사한 이듬해 인목대비는 인조반정으로 복위되었다. 경전의 표지에는  

자수가 남아있어 한 땀 한 땀 수를 놓았던 인목대비의 정성과 간절함이 엿보인다.                               

 

 

 

 

인목대비가 친히 쓴 금광명최승왕경의 필적.

 

 

 

 

 

                   인목대비가 발원한 불상 (보물 1288호)                                                                                                          

                                                                                                      

 수종사 불상 중 23구의 불상은 1628년 인목대비(1584~1632)가 발원하였으며 조각승 성인이 제작하였다.

 이중 비로자나불상 대좌 바닥에는 인목대비의 조성기가 새겨져 있다. 인목대비는 선조의 계비였으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아들 영창대군을 잃고 폐서인되여 서궁에 유폐 되었던 인물이다. 1623년 인조

  반정으로 복위된 인목대비는  죽은 사람들의 극락왕생을 위해 자주 불사를 행했다. 수종사 불상을 조성한

 1626년은 역모사건이 있던 해로 왕실이 여전히 불안한 상황에 있었다. 인목대비는 억울하게 희생된       

 일가족과 자신의 원통함이 풀리기를 기원하며 불상을 조성하였을 것이다.                                         

 

                 

 

 

이성계와 부인 강씨가 발원한 사리구 (강원도 화양군 장연리 출토. 고려 1390~1391)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기 직전 금강산 월출봉에서 발원하여 봉안한 사리구이다. 사리기는 석함 안에서

발견되었는데 사리를 담은 탑 모양 사리기를 집모양 사리기, 청동완, 백자발에 차례로 봉안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부처가 새겨진 탑 모양 사리기에는 이성계와 부인 강씨의 이름을 기록하고 팔각형 집 모양    

  사리기 안의 은제 팔각통에는 홍영통,황희석,등 이성계 측근과 장인의 이름을 적었다. 주요 후원자일수록

가장 안쪽의 사리기에 이름을 기록하였는데 이성계가 조선 개국에 일조 했던 두 번째 부인인 강씨와     

그의 가문에 대해 각별했음을 잘 보여준다.                                                                                 

 

 

 

 

가장 안쪽에 있던 사리기이다. 원통의 사리기를 원통으로 다시 감싸고 부처가 새겨진 탑 모양의 사리기에

 넣었다. 탑 모양의 사리기에 이성계와 부인 강씨의이름을 기록했다.                                                   

                                                 

탑 모양 사리기 명문                                                                                                                

분충정난 광복섭리 좌명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 수문하시중 이성계 삼한국대 부인강씨 물기씨             

 

 

 

 

 

  탑 모양의 사리기는 다시 은제 팔각통에 넣어 팔각형 집 모양의 사리기에 넣었다.                                  

 

팔각형 집 모양 사리기 명문                                                                                                       

 

경오년 삼월일 사리탑을 조성하여 경건한 마음으로 보전(봉안) 합니다. 수행자 월암 시주는 가이씨 안월 

동지일직 황희석 박씨복수 낙랑군부인 묘선 강택 강양군부인 이씨 묘정 숭전보덕 낙양군부인 김씨        

   효인희관ㅁ지 신남 만든이는 나득부 이씨노룡 박자청영삼사사 홍영통정순택주 황씨홍해군부인 배씨석비  

 

 

 

 

 

"청곡사'명 향완 조선 1397년 청동에 은입사. (신덕왕후 강씨의 명복을 위해 발원한 향완)                      

 

태조 이성계의 부인인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며 진주 청곡사 보광전에 놓았던 향완이다. 향완의 발원자인

청곡사의 승려 성충은 1397년에는 청곡사의 중창 비구로서 활동하였고 1398년에는 신덕왕후 정능의     

  능침사찰인 흥천사의 일을 맡았다. 함께 발원한 김사행은 태조때 환관이었으며 김진은 종1품 찬성을 지낸

     인물이다.왕비의 명복을 빌기위한 향완답게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은이라는 귀한 재료를 사용 제작했다.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5.07.10 13:56

    첫댓글 어제 다녀온 곳 입니다 다른 방에서 옮겨 왔어요

  • 15.07.10 18:45

    자세히 설명되었네요~ ^^
    고맙습니다~ 최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