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부 이세사키선(스카이트리라인)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41.0km(아사쿠사/오시아게~토부도부츠코엔), 이세사키선 전체는 114.5km로 - 일본 사철 최장거리노선
궤간 : 1067mm
역수 : 30개 역(아사쿠사~토부도부츠코엔/오시아게역 포함)
단선/복선구분 :
복선구간 - 아사쿠사~토부스카이트리 / 히키후네~기타센쥬 / 기타코시가야~토부도부츠코엔
복복선구간 - 토부스카이트리(오시아게)~히키후네 / 기타센쥬~기타코시가야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직류 1500V)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TSP - 토부형ATS)
최고속도 : 120km/h(특급) / 100km/h(급행 이하)
편성량수 : 2/3/4/6/8/10량(최대편성량수 10량)
토부철도의 본선 역할을 하고 있는 노선으로, 토부철도에서 최초로 개업한 기타센쥬~쿠키 구간을 포함하는 창업노선이며, 아사쿠사역에서 출발, 사이타마현 동부를 경유하여 군마현 지역을 연결하는 사철노선이다. 닛코가도와 나란히 달리며, 토부 닛코선과 직통운행을 하여 닛코선의 일부 구간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닛코선과 도죠선과 같이 토부철도의 기간노선으로 간토지역의 중요한 간선 중의 하나이다. 도쿄메트로 히비야선/한죠몬선, 도큐 덴엔토시선과 상호 직통운전을 행하고 있다.
도쿄메트로 히비야선과의 직통은 1962년 5월 31일에 시작되었으며, 2003년 3월 19일에 도쿄메트로 한죠몬선과의 상호 직통운전을 개시했으며, 2006년 3월 18일부터 한죠몬선 직통열차가 대량 증비되어 토부 이세사키선 인근의 승객들이 지하철을 경유하여 도쿄 도심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게끔 되었으며 현재는 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 구간의 80% 이상의 열차가 아사쿠사역으로 가지 않고 지하철 노선으로 직통하고 있다.
아사쿠사~기타센쥬 구간은 스미다가와와, 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 구간은 국도 4호선(닛코카이도)와 거의 나란히 달린다. 아사쿠사~기타센쥬 구간은 곡선 반경이 작은 급커브 구간이 많으므로 우등열차에도 속도규제가 많이 붙으며, 아사쿠사역에는 기본적으로 6량편성 이하의 열차만 입선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근수송에 매우 불리한 형태이다. 그래서 2003년에 한죠몬선-덴엔토시선 직통으로 이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으며, 2012년에 도쿄 스카이트리가 개업하면서 다시 아사쿠사 인근 구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타센쥬~기타코시가야 구간은 JR 이외의 일본철도 최장의 복복선 구간이 있는 구간으로, 완급분리에 의한 고밀도운전과 우등열차의 고속운전이 가능하다. 기타센쥬역이라는 최대의 허브역을 기준으로 수송량의 격차가 월등하다. 복복선 구간에서의 급행선 홈은 기타센쥬, 니시아라이, 소우카, 신코시가야, 코시가야, 기타코시가야역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간토평야를 직선으로 뚫는 구간이라 선로조건이 좋으며 고속을 낼 수 있는 구간이다.
2. 전면전망 동영상
하행열차 동영상(아사쿠사 -> 토부도부츠코엔)
상행열차 동영상(토부도부츠코엔 -> 아사쿠사)
3. 역사
1899/08/27 - 기타센쥬~쿠키 구간 개업.
1902/04/01 - 기타센쥬~아즈마바시(현 도쿄 스카이트리역) 구간 개업.
1904/04/05 - 히키후네~카메이도 구간 개업(현재의 카메이도선), 소부철도(JR소부본선) 료고쿠바시역까지 직통운전 개시.
1910/03/27 - 아사쿠사~히키후네 구간 영업 개시. 소부본선과의 직통운전 중지.
1918/03/27 - 전 노선이 경편철도법에 따른 경편철도로 변경됨.
1924/10/01 - 아사쿠사~니시아라이 구간 전철화.
1925/10/01 - 니시아라이~코시가야 구간 전철화.
1926/10/01 - 코시가야~카쓰가베 구간 전철화.
1926/12/16 - 카쓰가베~쿠키 구간 전철화.
1962/05/31 - 기타코시가야역에서부터 영단(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닌교쵸역까지 직통운전 개시.
1963/02/28 - 히비야선 직통운전 구간을 히가시긴자까지 연장.
1964/08/29 - 히비야선 직통운전 구간을 나카메구로까지 연장.
1966/09/01 - 히비야선 직통운전 구간을 토부 지역의 기타코시가야까지 연장.
1974/07/02 - 기타센쥬~다케노즈카 구간 복복선화 공사 완성.
1981/03/16 - 히비야선 직통운전 구간을 토부도부츠코엔까지 연장.
2001/03/28 - 이세사키선 복복선화 구간이 기타코시가야까지 개통됨. 기타센쥬~기타코시가야 구간 복복선화.
2003/03/19 - 오시아게~히키후네 구간 개업으로 도쿄메트로 한죠몬선/도큐 덴엔토시선까지 직통운전 개시.
2006/03/18 - 상호직통운전 구간을 쿠키까지 연장, 오오타~이세사키 구간의 1인승무 열차 운전 개시. 특급 료모를 제외한 아사쿠사~이세사키 직통열차 폐지.
2009/06/06 - 시각표 개정 실시. 기타코시가야~기타카스가베 구간의 막차 준급을 20분 늦춤. 일반열차 4량운용 폐지.
2010/01/-- - 8000계 통근형 차량의 오오타 이남 운용 은퇴.
2012/03/17 - 도쿄스카이트리 개업과 함께 도쿄스카이트리역 개칭. 도쿄스카이트리라인 노선애칭 제정.
2013/03/16 - 시각표 개정 실시. 히비야선 직통열차를 미나미쿠리하시까지 연장. 구간급행 8량편성 단축.
2016/05/29 - 니시아라이~다케노츠카 구간의 하행 급행선 고가화.
2017/04/21 - 11년만에 백지 시각표 개정 실시. 특급 <리버티> 500계 운전 개시. 쾌속/구간쾌속 폐지. 6050계 토부 스카이트리라인 은퇴 등 실시.
4. 운행 형태
특급 - 전용차량을 사용하며 특급요금을 받는다. 그리고 좌석지정제 열차들로 운행한다.
<케곤> <키누> - 전용차량 100계 <스페시아>라는 총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안내는 <스페시아 케곤> <스페시아 키누> 형식이 된다. 케곤은 토부닛코행, 키누는 키누가와온센행이 된다.
<료모> - 전용차량 200계/250계로 운행되며, 키류선 아카기역, 사노선 쿠쥬역, 이세사키선 다테바야시/오오타/이세사키까지 운행되는 특급열차이다. 아사쿠사~쿠키까지 특급요금이 500엔이어서(특례임) 많은 사람들이 출퇴근시간대에 이용하기도 한다.(착석통근 목적으로) 아카기행이 15.5왕복, 오오타행이 7.5왕복, 다테바야시/이세사키/쿠쥬행이 1왕복으로 운행된다. 특별히 카스가베역을 정차하는 다른 열차와는 달리 료모와 리버티료모는 카스가베역을 통과하는 대신 토부도부츠코엔역에 정차한다.
<시모츠케> - 전용차량 350계 4량편성으로 운행하며, 토부우츠노미야행으로 1왕복 운행한다.
<리버티케곤> <리버티키누> <리버티아이즈> <리버티료모> - 전용차량 500계로 운행되며, 기본 단위 3량으로 둘 이상의 행선지를 가지고 병결하여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 리버티케곤은 닛코 방면, 리버티키누는 키누가와온센 방면, 리버티아이즈는 아이즈타지마 방면, 리버티료모는 아카기 방면으로 각각 운행된다.
<어번파크라이너> <스카이트리라이너> - 어번파크라이너는 토부 어번파크라인으로 직통하는 열차이며, 카스가베역에서 어번파크라인으로 갈아타는 열차이다. 또한 스카이트리라이너는 아사쿠사~카스가베 구간을 운행하는 단거리 특급으로 500계 차량으로 운행되며, 아사쿠사~카스가베 구간에서는 두 열차가 서로 병결한 뒤에 3량은 카스가베 종착, 3량은 어번파크라인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운행되는 열차도 있다.
TH라이너 - 2020년 6월 6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좌석지정열차로, 히비야선을 직통하는 70090계 전용차량으로 운행한다. 평일/휴일 구분 없이 운행하며 아침시간대 쿠키 -> 에비스행이 2편, 저녁시간대 카스미가세키 -> 쿠키행이 5편 운행된다. 좌석지정요금은 25km 이내는 토부 370엔 / 메트로 210엔이고 25km 이상은 토부 470엔 / 메트로 210엔이다. 차내에서 발권하면 200엔이 할증된다.
급행 - 이세사키선의 쿠키역, 닛코선의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운행하며, 남쪽으로는 오시아게역을 거쳐 도쿄메트로 한죠몬선을 경유, 도큐 덴엔토시선의 츄오린칸(일부 나가츠다)까지 운전된다. 히키후네~토부도부츠코엔까지는 주요역에만 정차하며 복복선 구간 중에서 급행선을 통과한다. 전 열차가 10량편성이며, 종일 10분간격으로 운전되며 시간당 6편 중 쿠키 발착은 4편, 미나미쿠리하시 발착은 2편이다. 대부분의 열차가 소우카역과 센겐다이역에서 완급접속을 행한다.
구간급행 - 주로 아사쿠사/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다테바야시/오오타/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닛코선 신토치기 구간을 운전한다. 심볼 색깔은 옅은 핑크색이다. 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 구간은 급행으로 운전되며 많은 역을 통과하지만, 토부도부츠코엔 이후 구간과 기타센쥬~아사쿠사 구간은 각역정차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운행시간대는 출근시간대와 심야 등이며, 기본적으로 6량편성으로 운행하나 출근시간대에는 8량편성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준급 - 쿠키/미나미쿠리하시/기타코시가야/토부도부츠코엔에서 출발, 도쿄메트로 한죠몬선을 경유하여 도큐 덴엔토시선 츄오린칸(나가츠다)까지 운행되는 열차이다. 심볼 색깔은 녹색. 신코시가야역 이남의 정차역은 급행과 같지만, 신코시가야역 이북은 각역정차를 하는 것이 특징이며 통상 10량편성 운전을 하고 있다. 이른 아침과 심야에 집중적으로 투입되고 있다.
구간준급 - 주로 아사쿠사~토부도부츠코엔 구간을 운전하며, 심볼 색깔은 황녹색이다. 복복선 구간 중 급행선을 통과하며 기타센쥬~신코시가야역은 급행과 정차역이 같지만 그 외의 역은 모두 각역정차를 하는 것이 특징이며 보통열차의 보완적 역할을 한다. 예전에는 종일 운전했지만 현재는 이른 아침과 심야시간대에만 운전되고 있다.
보통 - 각역에 정차하는 타입이며 심볼 색깔은 회색이다. 보통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1. 아사쿠사~기타센쥬/다케노즈카 구간 - 시간당 6편 운행으로, 기타센쥬행과 다케노즈카행이 번갈아서 운행된다. 아사쿠사~기타센쥬 구간에서는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히키후네역에서 한조몬선 직통 급행과 상호 접속을 행한다. 구간급행과 구간준급이 운행하는 시간대에는 운행되지 않는다. 주로 6량편성 운행으로, 일부 주말에는 8량 운행 보통열차가 있다.
2. 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 구간 - 주로 히비야선 직통열차가 맡는 운행체계로, 히비야선 나카메구로역에서 출발하여 기타센쥬를 경유, 토부도부츠코엔(일부 미나미쿠리하시)까지 올라간다. 토부도부츠코엔행과 미나미쿠리하시행이 10분 간격으로 4편/2편 체제로 운행을 하며, 소우카역이나 센겐다이역에서 급행과 완급접속을 한다.
도쿄메트로 히비야선과의 직통운전 - 기타센쥬역에서 갈라져, 히비야선 나카메구로까지 직통운전이 되고 있다. 도큐 도요코선까지 직통하는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토부에서 직통하는 거의 모든 열차는 나카메구로에서 종착한다. 히비야선 직통열차의 경우 모두 보통등급으로 운전되며, 나카메구로~다케노즈카/기타코시가야/기타카쓰가베/토부도부츠코엔까지 운전된다. 평시에 기타센쥬~토부도부츠코엔 사이의 각역정차 열차는 모두 히비야선 직통열차라고 봐도 된다. 도쿄메트로와의 주행거리 조정 관계상, 토부철도 차량이 히비야선 내에서만 운전되기도 한다.
도쿄메트로 한조몬선/도큐 덴엔토시선과의 직통운전 - 오시아게에서 갈라져, 급행/준급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도큐 덴엔토시선 츄오린칸까지, 북쪽으로는 쿠키/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직통운전이 설정되어 있다. 미나미쿠리하시~츄오린칸의 경우 무려 98.5km, 쿠키~츄오린칸의 경우 94.8km의 운행거리를 가지며, 소요시간은 최장 167분이나 걸리는 장거리 열차들이 많다. 도쿄메트로/토부/도큐 열차들이 모두 가리지 않고 투입된다.
4. 운용 차량
토부철도 N100계 - 특급 스페시아X로 사용. 6량편성.
토부철도 100계 - 특급 스페시아키누가와 / 특급 키누 / 특급 스페시아닛코 / 특급 케곤으로 사용. 6량편성.
토부철도 200계 - 특급 료모로 사용. 6량편성.
토부철도 250계 - 특급 료모로 사용. 6량편성.
토부철도 500계 - 특급 <리버티케곤> <리버티키누> <리버티아이즈><리버티료모><스카이트리라이너> <어번파크라이너>로 운용. 3/6량편성.
토부철도 10000계 - 4량/6량/8량/10량편성. 구간준급/준급/보통열차로 운용.
토부철도 10030계/10080계 - 4량/6량/8량/10량편성. 구간준급/준급/보통열차로 운용.
토부철도 50050계 - 10량편성. 급행열차로 주로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대응 차량.
토부철도 70000계 - 히비야선 직통대응차량. 보통열차로 사용. 7량편성.
토부철도 70090계 - 히비야선 직통대응차량 및 TH라이너로 사용. 7량편성.
도쿄메트로 08계 - 급행/준급열차로 운용. 10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차량.
도쿄메트로 8000계 - 급행/준급열차로 운용. 10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차량.
도쿄메트로 18000계 - 급행/준급열차로 운용. 10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차량.
도쿄메트로 13000계 - 보통열차로 운용. 7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히비야선 직통차량.
도쿄급행전철 2020계 - 급행/준급열차로 운용. 10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차량.
도쿄급행전철 5000계 - 급행/준급열차로 운용. 10량편성. 미나미쿠리하시 이남 구간 운용. 한조몬선/덴엔토시선 직통차량.
6. 역 일람
7. 역사진 컬렉션
도쿄메트로 아사쿠사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긴자선(G19) - 우에노/긴자/시부야 방면
도에이 아사쿠사선 아사쿠사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번 승강장 - 도에이 아사쿠사선(A18) - 신바시/니시마고메/하네다공항 방면
2번 승강장 - 도에이 아사쿠사선(A18) - 오시아게/케이세이타카사고/나리타공항 방면
오시아게역 환승안내
1/2/3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한조몬선(Z14) - 오오테마치/시부야/츄오린칸 방면(직통운전)
케이세이/도에이 오시아게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번 승강장 - 도에이 아사쿠사선(A20) - 아사쿠사/신바시/니시마고메 방면
3/4번 승강장 - 케이세이 오시아게선(KS45) - 아오토/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공항 방면
히키후네역 환승안내
4/5번 승강장 - 토부 카메이도선(TS04) - 카메이도 방면
케이세이 세키야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케이세이 본선(KS06) - 닛포리/케이세이우에노 방면
2번 승강장 - 케이세이 본선(KS06) - 아오토/케이세이후나바시/나리타공항 방면
토부/히비야선 기타센쥬역 환승안내
6/7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H22) - 우에노/긴자/나카메구로 방면
JR기타센쥬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번 승강장 - JR죠반선(JJ05) - 마츠도/카시와/미토 방면
2/3번 승강장 - JR죠반선(JJ05) - 닛포리/우에노/도쿄 방면
도쿄메트로 기타센쥬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C18) - 오오테마치/요요기우에하라/카라키다 방면
2번 승강장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C18) - 아야세/카메아리/아비코 방면
츠쿠바익스프레스 기타센쥬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수도권신도시철도 츠쿠바익스프레스(TX05) - 야시오/모리야/츠쿠바 방면
2번 승강장 - 수도권신도시철도 츠쿠바익스프레스(TX05) - 미나미센쥬/아사쿠사/아키하바라 방면
니시아라이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2번 승강장 - 토부 다이시선(TS13) - 다이시마에 방면
JR 미나미코시가야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번 승강장 - JR무사시노선(JM22) - 미나미우라와/기타아사카/후츄혼마치 방면
2번 승강장 - JR무사시노선(JM22) - 코시가야레이크타운/신마츠도/니시후나바시 방면
카스가베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4/7번 승강장 - 토부 어번파크라인(TD10) - 노다시/나가레야마오오타카노모리/후나바시 방면
8번 승강장 - 토부 어번파크라인(TD10) - 이와츠키/오오미야 방면
토부도부츠코엔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4번 승강장 - 토부 닛코선(TS30) - 미나미쿠리하시/신토치기/토부닛코 방면(직통운전)
5번 승강장 - 토부 이세사키선(TS30) - 쿠키/다테바야시/이세사키 방면(직통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