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_대가야유물
* 92/100
고령대가야 박물관
*️⃣ 서기 400년경부터 멸망한 562년 사이 축조된 대가야 왕들, 왕족, 귀족들 무덤이 박물관 부근 야산 구릉지대에 700 여기가 집중되어 있다.
고령대가야 박물관
한국가람문학회, 2016.5.28.
🟫 대가야의 연표
▪️AD 42년: 가야산신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에게 감응되어 태어난 이진아시왕(뇌질주일)이 반로국(대가야 전신)을 건국하다.
▪️AD 382년: 가라국왕 기본한기가 백제와 우호관계를 맺다.
▪️AD 400년 : 광개토왕이 신라를 도와 백제 .가야.왜 연합군을 공격하다.
이 때 대가야는 김해의 금관가야와는 달리 큰 타격을 입지 않다.
▪️AD 479년 : 하지왕은 중국 남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남제로부터 [보국장군 본국왕(가라국왕) ]의 작호를 받다.
▪️AD 481년 3월 : 고구려 . 말갈군이 신라의 미질부성을 공격하자 백제와 함께 군대를 파견하여 신라를 구원하다.
▪️AD 496년 2월 : 꼬리가 다섯 자 되는 흰 꿩을 신라에 보내다.
▪️AD 513년 6월 : 백제의 영토인 기문(남원ㆍ임실 지역)을 빼앗다.
11월 : 기문. 대사(하동 지역)를 백제에게 빼앗기다.
▪️AD 514년 : 자탄(거창 지역)과 대사에 성을 쌓고 봉수대를 만들어 백제의 침입에 대비하다.
▪️AD 522년 3월 : 이뇌왕은 신라왕녀(이찬 비조부의 누이)와 결혼하여 신라와 우호관계를 맺다.
▪️AD 524년 9월 : 신라 법흥왕이 남쪽 변방을 순행하자 대가야왕이 회동하다.
▪️AD 529년 : 신라왕녀의 변복 사건으로 대가야와 신라의 우호관계가 깨어지다.
▪️AD 532년 : 남가라(금관가야)가 신라에 의해 멸망되다.
▪️AD 541년 4월 : 남가라 . 탁순 등을 재건하기 위해 백제 성왕이 소집한 제1차 사비회의에 상수위 고전해(古殿奚)를 파견하다.
▪️AD 544년 11월 : 남가라 . 탁순 등을 재건하기 위해 백제 성왕이 소집한 제2차 사비회의에 상수위 고전해를 파견하다.
▪️AD 551년 3월 : 대가야에서 망명한 악사 우륵과 그 제자 이문이 청주에서 신라 진흥왕에게 가야금을 연주하다.
신라와 함께 백제가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을 회복하는 것을 지원하다.
▪️AD 554년 7월 : 백제를 도와 관산성에서 신라군과 싸웠으나 크게 패배하다.
▪️AD 561년 2월 : 대가야를 공격하기 위해 신라 진흥왕은 신하들을 창녕에 모아 회맹하다.
▪️AD 562년 9월 : 도설지왕이 신라 진흥왕의 공격을 막지 못해 나라가 망하다.
*️⃣ 대가야 건국신화
▪️父, 천신 이비가지
▪️母, 가야산여신 정견모주
▪️子, 뇌질주일 ➡️ 이진아시왕, 대가야시조
▪️子, 뇌질청예 ➡️ 김수로왕
▪️이진아시가 AD42년에 건국.
이 때 나라 이름이 무엇이었을까?
반로국
▪️고령지역은 삼한시대 미오야마국, 반로국이었다.
▪️반로국 ➡️ 가라국, 서기 300년경
*️⃣ 대가야국
서기 400년에 백제, 가야, 왜의 신라 침공에 맞서 신라 고구려가 연합 대응.
▪️이때 광개토대왕 원정으로 김해 가락국이 타격받고 약해져서 전기 가야연맹 맹주였던 가락국은 그 지위를 잃음.
▪️이 즈음부터 대가야가 강해져 후기 가야연맹의 맹주가 되면서 <가라국>을 <대가야>로 국명을 개칭하게 되었다.
🟫 대가야 건국신화(大伽倻 建國神點)
고대사회에서는 국가를 건국한 시조의 탄생과 건국 과정을 신화로 만들어 후세에 전해주고 있다. 가야에는 두 가지 건국신화가 전해온다.
*️⃣ 하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6개의 황금알에서 동자(童子)가 태어났는데, 가장 먼저 알을 깨고 나온 동자가 금관가야의 수로왕이 되었고 나머지 다섯 동자가 가야의 왕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고려 중기인 1075년-1084년 사이에 김해의 지방관으로 파견된 문인이 지은 [가락국기, 駕洛國記]를 고려 후기(1281)에 일연(一然 )이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쓰면서 인용한 금관가야 중심의 난생설화(卵生說話)이다.
*️⃣ 또 하나는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와 하늘신(天神) 사이에 태어난 두 형제 가운데 형인 뇌질주일(腦窒朱日)은 대가야의 시조인 이진아시왕( 伊珍阿豉王)이 되고, 동생인 뇌질청예(惱窒靑裔)는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首露王)이 되었다." 는 것이다.
▪️이는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석리정전(釋利貞傳)을 조선시대(1481)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하면서 인용한 대가야 중심의 시조형제설화이다.
▪️대가야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자국 중심의 건국신화를 만들고 왕실의 신성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대가야고분,고분전시관,고령박물관 배치개념도.
▪️학정이 탐방하면서 작성함.
▪️아래쪽 고분 능선과 위쪽 고분 능선 사이에 도로로 잘렸으나, 도로 위로 다리길이 있다.
▪️삼한시대 소국 ; 미오야마국, 반로국
▪️이진아시 건국시는 반로국일듯
▪️가라국 ; 서기300년 경
▪️대가야국 ; 400 년 이후
▪️562년 대가야 멸망(진흥왕 때) 후 대가야군이 되고,
▪️통일신라 경덕왕 때 757년부터 비로소 고령군이 됨.
*️⃣ 학정 의견 :
▪️가야국 각국은 고유한 나라 명칭이 있었고, 가야라고 불리지는 않았다.
▪️가야는 불교 명칭인데, 대가야만이 거의 말기에 잠시 불렸기 때문에 그 연맹체 세력권의 군소국가를 통틀어 가야라고 통일해 부른다.
▪️흔히 6가야라고 하지만, 창녕의 비화가야는 6가야 속에 들지도 않는다. 합천의 다라국도 그렇다. 훨씬 많은 가야권 군소국이 있었다.
창녕은 비화국, 그래서 비화가야라고 불러준다.
▪️김해도 가락국인데 금관가야라고 칭해준다. 신라에 병합된 후에 금관주가 설치됐으니, 금관주에 있었던 가야국.
반로국 ➡️ 가라국 ➡️ 대가야
▪️479년 하지왕 중국에 사신 파견
보국장군본국왕 칭호받음.
왕은 대왕 칭호
▪️400년 이후 가야 여러나라 이끌다. 맹주 노릇
낙동강 교통로
🟦 문화적 특징
▪️고구려 ; 씩씩하고 정열적
▪️백제 ; 우아한 아름다움
▪️신라 ; 소박하면서 조화미
*️⃣ 대가야 ; 세련된 예술성과 조화미
▪️부드럽고 안정된 곡선미(토기)
▪️정밀한 세공기술, 화려함 (장신구)
▪️튼튼하고 실용적(무구)
*️⃣ 가야금과 우륵
▪️대가야인 우륵이 가야금 만듦
▪️가실왕 명을 받음
▪️12곡 작곡, 명주실 12줄, 괘빈리 금곡 지명 남음
▪️우륵은 신라에 망명, 충주 탄금대 이주
*️⃣ 고령을 도읍으로 한 대가야 영역은, 특징있는 토기의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면, 그 전성기때 낙동강 이서 경상남도 및 전라북도 일부까지 영역이 넓어졌다.
다음 지도에서와 같다.
토기로 보는 대가야 영역
▪️대가야 양식 토기는 고령을 중심으로 합천.거창 .함양. 남원 .장수 . 순천 등 넓은 지역에서 출토된다.
▪️이 지역이 전성기때 대가야 세력권 이었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고대국가로 발전하였으나, 가야 지역은 연맹왕국 수준이었고, 고대국가로는 발전하지 못했다는 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학설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다소 다르게 얘기한다.
대가야가 왕을 대왕이라하고, 하부사리리 라는 말, 하부라는 지역을 다스렸다하니 고대국가에 이르렀다는 것인데?~
사료가 부족한 가야사는 연구의 한계를 보인다.
투구, 갑옷
투구
철정, 철덩어리
은동관
금관
금동관
금귀고리
왕관
대가야 금관, 국보 제138호
귀고리
*️⃣ 파형동기(우)
▪️파형동기는 당시 가야와 왜의 교류 관계를 입증하는 중요한 유물로서 평가된다.
금관가야와 대가야에서 발견된다. 방패의 장식으로 사용된 것이라 한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파형동기는 서기 3세기 이후 일본에서 제작된 청동기가 금관가야에 유입되어 정치적 실력자의 무덤에 위세품으로 부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 국제교류
▪️고리칼 ㅡ 신라
▪️등잔과 청동그릇 ㅡ백제
▪️야광조개국자ㅡ 오끼나와
아광조개국자
야광조개국자
집의 종류
▪️마구ㅡ말머리 가리개, 지산동 45호분
전쟁에서 말 머리 보호 철갑
마구
마구
마구
마구
마구
마구
마구
마구
*️⃣ 대가야토기
▪️대가야 토기의 종류는 그릇받침. 항아리., 굽다리접시. 뚜껑접시, 잔 등이 있다.
▪️그릇받침은 원통모양. 바리모양. 고리모양 등이 있다. 항아리는 밑이 둥글고 목이 긴 항아리와 목짧은 항아리, 손잡이와 굽이 붙은 것 등이 있다.
▪️굽다리접시는 굽의 구멍이 2단인 것과 1단인 것이 있고, 굽이 없는 뚜껑접시와 손잡이가 달린 잔 등도 있다.
▪️뚜껑에는 단추형과 젖꼭지형의 손잡이가 달린 것이 있다.
▪️토기에는 물결무닉와 솔잎무늬, 에벌레무늬 등이 있고, 구멈은 사각형과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하다.
▪️대가야 양식 토기는 고령을 중심으로 합천.거창 .함양. 남원 .장수 . 순천 등 넓은 지역에서 출토된다.
▪️대가야 양식 토기를 통해 대가야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등을 알 수있다.
토기
토기
토기 ; 그릇받침대
▪️이러한 형태의 토기 출토지역을 대가야 전성기 영역으로 유추되고 있다.
토기
금동그릇
대가야인 비밀 기호
▪️대가야 토기 특징
부드러운 곡선미와 안정감
굽다리접시, 긴목항아리. 그릇받침 등의 대가야 양식 토기.
▪️45호분. 1977년 발굴 현장
▪️11기의 순장 돌덧널.14명 이상 순장.
*️⃣ 44호분
▪️규모 ; 지름 27m 높이 6m
▪️3기의 대형돌방,
▪️32기의 순장 돌덧널.
서기 400 년경 부터, 562년 사이 고분
700여기, 왕릉,왕족, 귀족들 묘.
▪️무덤 속 돌방은 깬 돌을 차곡차곡 쌓아서 벽을 만들고 여러장 큰 돌을 뚜껑으로 덮었다.
▪️무덤 둘레에는 둥글게 돌을 돌리고 성질이 다른 흙을 번갈이 다져가며 봉분을 높이 쌓았다.
▪️대체로 아랫쪽 무덤들이 먼저 만들어졌다.
차츰 능선 위쪽 올라가며 규모가 크다.
가야로 불리기 그 이전에 먼저 <가라> 라고 불렸다.
*️⃣ 고아리 고분벽화 연꽃
▪️고령의 유일한 굴식돌방무덤.
낮은 통로 통해 방으로 사람이 드나들 수 있다.
▪️순장흔적은 없다. 순장이 사라졌다.
▪️무덤방은 두개의 관을 놓을 수 있다.
▪️방에는 돌을 쌓은 벽에 진흙과 조개를 이겨 만든 회를 발라 미장했다.
▪️천정돌에는 회칠을 하고 붉은색, 녹색, 검은색, 갈색 등 물감을 사용 연꽃무늬를 채색했다. 불교의 영향이다.
*️⃣ 대가야 신앙, 종교
▪️초기 ㅡ산신, 천신, 태양신 숭배,
청동기시대 바위그림
▪️순장 무덤 ㅡ계세사상
▪️불교 ㅡ연꽃(고아리 고분 벽화), 향나무, 우륵이 불교의식 연주곡, 거덕사 월광사
선사시대인 청동기시대 바위그림
*️⃣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
▪️깃털 달린 네모진 가면 모양ㅡ 신의 모습
▪️동심원은 태양 상징ㅡ 풍요 다산 기원
동심원 ; 태양상징, 다산 풍요기원
동심원
파형(바람개비 모양)동기
뼈 화살촉/ 쇠화살촉. 구멍 뚫렸네. 날아갈때 소리를 많이 내어 심리적 타격을 준다.
띠고리
그물추
선돌
무덤돌방뚜껑돌에 바위그림 돌을 가져와서 덮었다. 주술적 의미가 있을 듯.
불상
보살상
고려박물관 마당 석등
점필재 김종직 선생은 밀양출신이다. 종가는 고령에 있네.
김종직 선생
*️⃣ 만남재
▪️만남재란 '만대산 남쪽' 의미 일듯. 고령박씨 중시조 청하공 박지 묘소. 재실이다.
▪️고령 쌍림면 평지리. 1670년 건립.
암행어사 박문수(1691~1756)가 박지 비문 지음. 박지 11세손, 병조, 호조판서
▪️박정희 대통령도 고령박씨이며, 대통령의사진과 글씨도 있다.
임진왜란 때, 김면 의병장 전사.
고령기와 문양
현재도 고령기와는 성업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