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드립니다.
세입세출외현금은 이호조시스템으로 관리가 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실시간시산표에 반영됩니다.
따라서 현재 실시간시산표를 보시면 단기성 과목에 세입세출외단기보관현금 차변잔액(자산)이 발생하고
상대과목에 부채로 단기예수보관금이 대변잔액으로 동일하게 조회가 될 겁니다.
장기성 과목에는 기타비유동자산에 세입세출외장기보관현금이 차변잔액으로 상대과목에 기타비유동부채에 장기예수보증금이
동일한 금액으로 계상이 되어 있을 겁니다.
세입세출외현금 담당자가 분개를 장단기로 구분하여 분개하면 그 결과가 실시간시산표로 자동 반영되어 별도 작업하실 필요는
없는데요. 대신 세입세출외현금 결산서와 금액이 동일한지는 검증은 필요하겠죠?
만약, 구지 장단기 구분을 해야하겠다면 현재 실시간시산표에 자동 반영된 금액은 결산보정분개수작업관리 메뉴에서
별도 보정을 통해 수정도 가능합니다.
세입세출외현금은 어째든 우리 돈이 아니고 보관하고 있는 돈이기 때문에
자산으로 계상한 다음 바로 부채로 계상하여 지방자치단체 순자산(자산-부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별도 자료를 입력하고 그러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혹 세입세출외현금을 이호조+로 관리를 하지 않은다면
각 부서로부터 세입세출외현금을 수합서식(엑셀)으로 받아 결산보정분개수작업관리 메뉴에서 직업 계상해 주어야 합니다.
어째든 세입세출외현금 또한 예산결산 첩부서류로 첨부됨으로 예산결산서를 참고하여
총계로 보정분개 하시면 됩니다.
좀 어렵죠"
이해 안되시면 전화주세요.
설명절 잘 보내세요.
2025.1.24.
답변: 부천시 김홍현
ps: 참고 세입세출외현금은 울 울 돈이 아니므로 구지 복잡하게 장단기로 구분하여 분개가 의미가 없어
차세대 이호조시스템에 분개없게 시스템을 개선요청했으나 긍정적으로 검통했으나
이호조+시스템이 거의 구 이호조와 유사하게 개발되어 현재도 장단기 구분하는 분개를 수행해 주도록되어 있습니다.
분개는 세입세출외담담자가 하면 됩니다. 이점 참고하세요.
첫댓글 상세한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