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金剛般若波羅蜜經
제4강 묘행무주분 제4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
출처 : 염화실
妙行無住分 第四
復次須菩提야 菩薩이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住聲香味觸法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을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東方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南西北方과 四維上下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布施하는 福德도 亦復如是하야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但應如所敎住니라
제 4, 아름다운 행위는 머물지 않는다[妙行無住分]
“또 수보리야, 보살은 반드시 어떤 것에도 머물지 말고 보시(布施)를
해야 하나니, 이를테면 사물에 머물지 말고 보시할 것이며, 소리와 향기와
맛과 감촉과 그 외의 온갖 것에 머물지 말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반드시 이와 같이 보시하여 형상에 머물지 말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가히
상상할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동쪽 허공을 모두 상상할 수 있는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쪽 서쪽 북쪽과 네 간방과 위쪽과 아래쪽의 허공을 모두
상상할 수 있는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는 복덕(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가히 상상할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반드시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아름다운 행위는 머물고 집착함이 없다
묘행무주는 금강경 32분(分) 이름 중의 하나입니다. 저는 이 묘행무주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묘행(妙行)은 아름다운 행위입니다. 아름다운 행동이고 아름다운 삶이지요. 묘행은 무주(無住)라고 하였습니다. 무주 다음에 집착할 착(着)자를 한 자 더 쓰면 무주착(無住着)이 되어서 아름다운 행이 어떠해야 하는지가 더 잘 드러납니다. 아름다운 행은 머물고 집착함이 없습니다. 떠날 때도 가볍게 떠날 줄 아는 것이 아름다운 이별이지요. 삶의 다른 문제들, 다른 어떤 행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행위를 하는 사람에게 집착이 없고, 그 마음에 어떤 관념도 남지 않을 때, 그사람이 살아가는 일도 홀가분하고 가볍습니다. 그런 삶의 모습은 아름답습니다.
復次須菩提야 菩薩이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住聲香味觸法布施니라
부차수보리야 보살이 어법에 응무소주하야 행어보시니
소위부주색보시며 부주성향미촉법보시니라.
보살은 머무는 바 없는 보시를 한다
보살은 깨달음을 구하는 사람, 대승의 수행자를 말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꼭 불교적으로 관념화된 성인(聖人)의 입장으로 보살을 볼 필요는 없습니다. 인생을 뜻있게 살고 싶어하는 사람, 인생에서 무엇인가 의미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 보살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불자입니다.
보살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6바라밀로써 수행을 합니다. 그 중에 보시가 제일 우선입니다. 물질[財布施]이나, 불법[法布施]이나, 두려움을 없애는 위로 [無畏施]로써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이 보시입니다.
보살의 삶은 첫째가 베푸는 삶입니다.
菩薩이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그런데 그 베풂이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베풂이어야 합니다.
베푸는 양이 얼마가 됐든 그 베푸는 시간이 길든 짧든 무엇을 베풀든 그 어떤 관념에도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어떤 것에도 머물지 않는 보시가 될 때 주는 사람도 자유롭고 받는 사람도 자유롭습니다.
부처님은 수보리에게 보살은 반드시 어떤 법에도 머물지 말고 보시를 해야한다고 말씀하십니다. 법은 모든 사물과 사건입니다. 모든 문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住聲香味觸法布施니라
법이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색성향미촉법입니다. 안이비설신의 육근의 대상이 되는 색성향미촉법을 육경이라고 합니다. 색은 물질이고 성은 소리, 향은 향기, 미는 맛, 촉은 감촉, 법은 그 나머지 의식의 대상입니다. 앞서 말한 법은 이 모든 것을 다 포함합니다. 보살은 물질이나 소리 향기 맛 감촉 의식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베푸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須菩提야 菩薩이 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을 不可思量이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응여시보시하야 부주어상이니 하이고오
약보살이 부주상보시하면 기복덕을 불가사량이니라
금강경에서 부처님과 대화하는 상대는 수보리입니다. 부처님 제자중에 수보리를 해공제일(解空第一)이라고 하였습니다. 수보리는 누구보다 무상(無相)이나 공(空)을 제일 잘 아는 사람이고 어떤 관념이나 어떤 상(相)도 마음에 남겨두지 않는 사람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보살이 응당히 이와 같이 보시해서 상에 머물지 않는 보시를 하면 보살로서 진정한 삶을 사는 것이다”라고 하십니다.
상에 머물지 않는다
보살의 삶은 자나깨나 보시의 삶입니다. 그런 삶에서 베푼다고 하는 의식이나 관념이 차곡차곡 쌓이면 큰 병이 됩니다.
어떤 행위든지 아무 생각이 없이 할 수는 없지요. 보시를 할 때도 바람처럼 스치면서 지나가는 생각은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이나 지장보살도 다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스치는 생각을 붙잡아서 두고두고 곱씹고 거기에 어떤 조건을 달고, 대가를 바라고 기대를 가지면 생각은 점점 굳어져서 하나의 상(相)이 됩니다. 생각 상(想)자를 쓰는 것보다 모양 상(相)자를 쓰는 것이 더 강한 표현입니다. 관념이 굳어지면 큰 병이 되지요.
신체 장기 중에 간은 부드럽고 말랑말랑해야 제 기능을 하는데 굳어지면 큰 병이 됩니다. 생각이나 관념 역시 굳어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금강경의 가르침은 무상(無相)으로 위종(爲宗)이라고 했습니다. 우리의 모든 행위, 특히 베푸는 행위에 있어서 상을 없애는 것을 으뜸으로 삼습니다. 금강경 안목으로 보면 인간에게 가장 무서운 병이 상병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강경에서는 집중적으로 상을 없애는 가르침을 펴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상 이야기이고, 마지막까지도 상을 이야기 합니다.
상병이 풀리면 모든 문제가 다 풀린다
나와 깊은 관계가 있는 사람에게 상을 낼 때 인간관계가 힘들어집니다. 나와 전혀 관계가 없는 사람은 차라리 괜찮습니다.
예를 들어 남편이 가장으로서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오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밖에 나가서 나는 돈을 벌어오는데 집구석에 앉아서 이게 뭐냐.”라고 한다면 가장이라는 상을 내는 것입니다. 속으로야 그런 생각이 들었다고 해도 표현을 해서는 안 됩니다. 가장이 그렇게 나오면 주부는 속으로 ‘더러운 돈 몇 푼 벌어왔다고.’하는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합니다. 가족끼리 가장 주의해야 할 일이 상을 내는 일입니다.
금강경은 끊임없이 상병을 공략합니다. 앞서 수보리는 부처님께 ‘‘그 마음을 어떻게 항복받겠습니까[운하항복기심(云何降伏其心)하리잇고]’하고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사실 상병을 제대로 다스릴 줄 알면 마음을 항복받는 문제도 풀립니다. 상병만 제대로 다스릴 줄 알면 여타문제는 자연스럽게 풀린다고 하는 입장이 금강경의 입장입니다.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을 不可思量이니라
부처님은 수보리에게 그러한 까닭에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할 것 같으면 그 복이 한량이 없다고 하십니다. 예를 들어서 단 돈 10원을 보시하고도 상을 내지 않으면 그 10원의 가치가 영원합니다. 하지만 1억을 보시하고도 상을 냈다면 그 가치는 마이너스 2억 3억이 될 수가 있습니다. 상을 내면서 보시를 한다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어서 빚을 지게 됩니다. 차라리 보시를 안 하는 편이 낫습니다. 금강경에서는 이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東方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南西北方과 四維上下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布施하는 福德도 亦復如是하야
不可思量이니라
수보리야 어의운하오 동방허공을 가사량부아
불야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서북방과 사유상하허공을 가사량부아
불야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의 무주상보시하는 복덕도 역부여시하야
불가사량이니라
무주상보시의 복덕은 한량없다
동쪽으로나 서쪽으로나 남쪽 혹은 북쪽 위 아래로도 허공은 끝이 없습니다. 그 보시가 무엇이 되었든지간에 보살로서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할 것 같으면 그 복덕도 또한 그와 같아서 가히 헤아릴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무량대복이라는 것이지요. 상을 떠나 푸른 하늘처럼 텅 비고 자유롭고 시원한 삶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복덕의 삶입니다.
무주상하는 보살의 보시와 끝없는 허공의 비유가 근사합니다.
금강경 서두인 법회인유분에 급고독장자가 등장하는 이유와 걸식이 등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부처님께 밥 두 숟가락을 떠주는 마음으로 보시를 하라는 것입니다. 밥 두 숟가락을 베풀고 무슨 생각이 있겠느냐는 것이지요.
금강경은 처음부터 걸식을 등장시켰는데 칠가식을 하는 걸식에서는 밥 두 숟가락 이상의 보시가 필요치 않습니다. 급고독장자에서부터 부처님의 걸식과 보살의 보시에 이르기까지 무주상보시에 대한 일관된 가르침을 꿰뚫어 알 수 있습니다.
須菩提야 菩薩이 但應如所敎住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단응여소교주니라
보살은 이와같이 살아라
부처님은 수보리에게 보살이 이와 같은 가르침대로 살아야 한다고 하십니다. 앞서 수보리는 부처님께 “보살이 어떻게 살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받아야 합니까” 하는 질문을 하였는데 ‘보살이 어떻게 살것인가[住]’에 대한 대답이 여기까지 일차적으로 정리됩니다.
金剛般若波羅蜜經
제4강 여리실견분 제5
如理實見分 第五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可以身相으로 見如來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不可以身相으로 得見如來니
何以故오 如來所說身相은 卽非身相이니다
佛告須菩提하사대
凡所有相이 皆是虛妄이니
若見諸相非相하면 卽見如來니라
제5, 그러한 이치를 사실대로 보다[如理實見分]
“수보리야,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육신으로써 여래(如來)를
볼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육신으로써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육신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곧 육신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虛妄)하나니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곧 여래를 보느니라.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이치와 같이 실답게 본다
여리실견(如理實見)은 이치와 같이 실답게 본다는 뜻입니다.
밖으로 나타난 형상만 보지말고 그 속에 숨은 뜻, 숨은 이치까지도 꿰뚫어 보는 것이 보살의 삶이고 불자의 삶이고 인생을 좀 더 의미있게 살려고 하는 사람의 삶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너무 가벼워서 어떤 말이 있다면 그 말의 사실여부를 확인도 안 해보고 일단 말꼬투리부터 잡고 그 말에 놀아납니다. 말에 있어서도 여리실견이 좋은 교훈입니다. 이치에 비추어서 확인해 보고, 그럴 만한 말인가를 숙고해서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는 마음자세가 여리실견의 자세입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可以身相으로 見如來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不可以身相으로 得見如來니
何以故오 如來所說身相은 卽非身相이니다
수보리야 어의운하오 가이신상으로 견여래부아
불야니다 세존이시여 불가이신상으로 득견여래니
하이고오 여래소설신상은 즉비신상이니다.
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세상의 모든 문제도 이치에 따라 실답게 봐야겠지만 불자로서 우리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은 부처님을 실답게 이해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그토록 믿고 따르는 부처님이란 어떤 존재인가, 부처님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가장 실다운 이해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몸을 가지고 여래라 하는가?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可以身相으로 見如來不아
부처님이 그동안 공부가 상당히 된 수보리에게 묻습니다.
“자네는 나를 어떻게 보는가? 내 몸의 모습을 가지고서 여래라고 보는가?” 마치 오래 된 부부가 “당신 나 얼굴보고 결혼했어?”혹은 “나 돈보고 결혼했어?” 하고 묻는 말과도 비슷하겠지요. 부처님께서 문득 수보리에게 “자네 나 얼굴모습 보고 부처라고 하는가” 하고 묻자 수보리가 펄쩍 뜁니다.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不可以身相으로 得見如來니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가히 몸의 모습 가지고서는 여래라고 볼 수가 없습니다.”
불교를 좀 어지간히 하고 법문을 어느 정도만 들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수보리와 같이 답할 것입니다.
부처님이 됐든 누가 됐든 외형으로 나타난 형상은 이것과 저것이 연기적으로 어우러져서 지금 이렇게 있을 뿐이지 사실은 공한 것이며 허무한 것임을 상식적으로 잘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몸의 모습을 가지고 여래라고 할 수는 없지요.
몸의 모습은 곧 몸의 모습이 아닙니다
何以故오 如來所說身相은 卽非身相이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바 몸의 모습은 곧 몸의 모습이 아닙니다.” 라고 수보리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그 몸을 받아서 차츰차츰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오늘의 이 모습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고 늙습니다. 결국 이 몸은 죽어서 한줌의 재, 한줌의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보통의 상식입니다. 상식적으로 보더라도 그렇게 허망한 몸을 가지고 부처님이라고 한다면 서운합니다. 그래서 수보리는 여래의 진정한 의미는 얼굴에 있지도 않고 몸에 있지도 않으며 당신의 경력에 있는 것도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모든 것을 다 포함한 그 무엇이 여래입니다.”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겠지요.
즉비의 철학
수보리가 여래의 신상은 곧 신상이 아니다 라고 하면서 ‘즉비신상(卽非身相)’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즉비라는 말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즉비라는 말은 금강경에서 제일 많이 나오는 단어입니다.
‘몸의 모습은 곧 몸의 모습이 아니다. 그러므로 몸의 모습이라 불린다.’라는 논리가 즉비의 논리입니다.
처음의 몸의 모습과 결론에 나오는 몸의 모습은 다른 차원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선어인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역시 즉비의 차원입니다.
첫 문장은 상식적인 차원입니다. 두 번째 문장은 절대 부정의 차원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절대긍정의 차원입니다. 첫 번째 문장과 세 번째 문장이 같다고 해서 그 뜻이 같은 것은 아닙니다. 전혀 다른 차원이지요. 절대 부정을 거쳐서 절대 긍정의 차원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부처님에 대해서도 그러한 안목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佛告須菩提하사대
凡所有相이 皆是虛妄이니 若見諸相非相하면 卽見如來니라
금강경 제일사구게
경전의 중요한 뜻을 네 개의 구속에 함축한 말이 사구게입니다. 금강경의 첫 번째 사구게는 “범소유상개시허망 (凡所有相 皆是虛妄)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여래를 어떻게 보는가”라고 질문하셨습니다. 수보리는 밖으로 나타난 몸의 모습으로는 여래라고 할 수가 없다고 답하였습니다. 거기에서 이 유명한 사구게가 나옵니다.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하나니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느니라.”
부처님을 이해하는데 외모를 보고 판단해서는 안되지요.
우리가 사람을 보는데도 그렇습니다. 외모를 보고 함부로 판단해서는 안되는 거지요.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사람을 이해하고 사물을 이해하는데도 이러한 안목을 이용한다면 삶의 좋은 지혜가 될 것입니다.
무릇 형상 있는 것은 다 허망한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80세를 사시고 돌아가셨습니다. 그 형상은 허망하지요. 그렇지만 뭐라고 탁 꼬집을 수는 없어도 부처님의 크나큰 공덕과 가르침과 위세는 우리에게 대단히 크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태평양 바다와도 같고 하늘과도 같은 존재인 부처님의 넉넉한 지혜와 복덕 속에서 우리가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엇이 여래다’ 라고 구체적인 형상을 이야기 하기는 어렵습니다. 형상화 하자마자 여래의 모습이 국한되어 버립니다.
예전에 어떤 큰스님이 계셨는데 그 스님은 불교는 물론이고 노자, 장자에 아주 해박하시고 강의도 잘 하셨습니다. 그래서 차츰 그 스님이 ‘노장학에 밝은 분이다’라고 이야기 되기 시작했는데 나중에는 ‘그 스님은 노장학만 아는 스님이다’ 라고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그 스님이 “내가 불교하는 사람이지 노장학하는 사람이냐?”하고 불만을 터뜨린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한 가지 사실에 눈이 어두워서 그것만을 가지고 ‘그 사람이다’ 라고 판단한다면 크게 잘못된 것이고 서로에게 손해가 많습니다. 우리 눈에 들어오는 한 두 가지의 모습, 그 어떤 장기를 가지고서 그 사람의 모든 진실이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그 모든 조건과 형상을 배재했을 때 비로소 그 사람의 진실, 그 사람의 실상이 내 눈에 다가옵니다.
부처님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말 진정한 부처님을 우리가 이해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진정한 부처님을 이해하려면 ‘이것도 아니다’ 또 ‘이것도 아니다’ ‘그것도 아닌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여기에 한정해서 부처님을 이해해선 안된다’ 하는 부정하는 마음, 즉비(卽非) 곧 아니다라고 부정하는 자세가 상당히 필요합니다.
뭐든지 주워담고 이것도 맞다 이것도 맞다 하는 것보다는 일단 부정하고 보는 것이 금강경의 입장에서 여래를 제대로 이해하는 지름길입니다.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하나니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느니라.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이 제1사구게를 우리 일상에 이끌어서 삶의 지침으로 삼는다면 ‘모든 사람, 모든 현상을 일단 부정하고 봤을 때 그 대상의 실체는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작성자 : byunsdd
무비스님 - 제4강 금강경 4.妙行無住分 5.如理實見分
주소 : https://youtu.be/RM2_PFObSak?si=RtmCo-t2kJxi5pUv
첫댓글 무비스님 - 제4강 금강경 4.妙行無住分 5.如理實見分
주소 : https://youtu.be/RM2_PFObSak?si=RtmCo-t2kJxi5pUv
PLAY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