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변지극(治辨之極)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의 원칙이 예(禮)라는 뜻으로, 예(禮)는 나라를 강하게 만드는 근본이라 한다.
治 : 다스릴 치(氵/5)
辨 : 밝힐 변(辛/9)
之 : 갈 지(丿/3)
極 : 용마루 극(木/8)
출전 : 순자(荀子) 의병(議兵)
관자(管子)의 칠법(七法)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不能治其民, 而能彊其兵者, 未之有也.
백성들을 다스리지 못하면서 그 군대가 강해질 수 있었던 적은 아직 없었다.
能治其民矣, 而不明於為兵之數, 猶之不可.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어도 군대를 쓰는 책략에 밝지 못하면 아직 안된다.
不能彊其兵, 而能必勝敵國者, 未之有也.
군대를 강하게 하지 못하면서 반드시 적국을 이길 수 있었던 적은 아직 없었다.
能彊其兵, 而不明于勝敵國之理, 猶之不勝也.
군대를 강하게 할 수 있어도 적국을 이기는 방책에 밝지 못하면 아직 이기지 못한다.
兵不必勝敵國, 而能正天下者, 未之有也.
군대가 적국을 이기지 못하는데도 천하를 바로잡을 수 있었던 적은 아직 없었다.
군대가 적국을 반드시 이길 수 있다고 해도 천하를 바로잡을 명분이 분명하지 않으면 아직 안된다.
나라를 잘 다스리는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할까?
춘추전국시대 진(秦)나라 상앙(商鞅)은 먼저 법령을 세웠을 것이다. 당연하다. 그는 법치(法治)를 내세운 법가사상가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유가(儒家)에서는 무엇을 내세울까?
순자(荀子) 의병(議兵)편에서 답하고 있다. “예의는 나라를 다스리게 하는 용마루고, 강하고 굳건해지게 하는 뿌리며, 위세를 펴게 하는 길이고, 공적과 명성을 올리는 요체다(禮者, 治辨之極也, 强固之本也, 威行之道也, 功名之總也).”라고 말했듯이 유가라면 예의를 세우는 것이 먼저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는 법령과 예의 두 가지가 수레의 양쪽 바퀴와 같은 구실을 한다. 둘 가운데 무엇을 먼저 할 것인가는 형세나 시세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정치에서 왜 법령이나 예의가 필요한지를 아는 것이 우선이다.
법령과 예의 모두 정치의 근간이다. 정치란 나라를 다스려 백성이 잘 살 수 있도록 해주는 일이다.
백성이 잘 살 수 있도록 군주가 내린 것이 법령이고, 백성의 삶이 윤택해지도록 마련한 것이 예의다. 백성의 삶을 도외시한 채 논하는 법령이나 예의는 헛소리고 선소리일 뿐이다.
맹자(孟子) 양혜왕 상(梁惠王 上)에서
“산 사람을 먹여 살리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섭섭함이 없는 것, 이것이 왕도의 시작이다(養生喪死無憾, 王道之始也).”라고 말한 것도,
관자(管子) 정세(正世)에서
“릇 나라를 다스리는 길은 먼저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일이다. 백성이 부유하면 다스리기 쉽지만, 백성들이 가난하면 다스리기 어렵다(凡治國之道, 必先富民. 民富則易治也, 民貧則難治也).”라고 한 것도 그 때문이다.
법령을 먼저 세울 것인가 예의를 먼저 마련할 것인가를 비롯해 무릇 주어진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정치에서 먼저 할 일과 나중에 할 일을 알고 실행한다면, 다스리는 길에 가까워진다. 바로 이것을 ‘근도(近道)’라 한다.
▶️ 治(다스릴 치, 강 이름 이)는 ❶형성문자로 乿(치), 乨(치)는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台(태, 이, 치)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물(水)의 넘침에 의한 피해를 잘 수습한다는 뜻이 합(合)하여 '다스리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治자는 ‘다스리다’나 ‘질서가 잡히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治자는 水(물 수)자와 台(별 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台자는 수저를 입에 가져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台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먹이다’라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 농경사회에서는 강이나 하천의 물을 잘 다스리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그래서 治자는 물을 다스려 백성들을 먹여 살린다는 의미에서 ‘다스리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治(치, 이)는 ①다스리다 ②다스려지다, 질서가 바로 잡히다 ③병을 고치다 ④익히다, 배우다 ⑤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비교하다 ⑥돕다 ⑦성(盛)해지다, 왕성(旺盛)해지다 ⑧도읍(都邑)하다 ⑨수양(修養)하다 ⑩구걸(求乞)하다 ⑪공(功), 공적(功績) ⑫도읍(都邑) ⑬정사(政事), 정치(政治) ⑭정도(正道), 사람의 도리(道理) ⑮조서(調書: 조사한 사실을 적은 문서) ⑯말, 언사(言辭) ⑰감영(監營) 그리고 ⓐ강(江)의 이름(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다스릴 리(厘), 다스릴 발(撥), 다스릴 섭(攝), 다스릴 리(理), 다스릴 할(轄), 다스릴 리(釐), 지날 경(經),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어지러울 란(亂)이다. 용례로는 나라를 다스림을 치국(治國), 병이나 상처를 다스려서 낫게 함을 치료(治療), 치료하여 병을 낫게 함을 치유(治癒),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림을 치안(治安), 하천이나 호수 등을 잘 다스려 범람을 막고 관개용 물의 편리를 꾀함을 치수(治水), 잘 매만져서 꾸밈을 치장(治粧), 백성을 다스림 또는 그 사람을 치인(治人), 혼란한 세상을 다스림을 치란(治亂), 병의 열기를 다스림을 치열(治熱), 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을 치자(治者), 잘 다스린 공적 또는 정치상의 업적을 치적(治績), 국가의 주권자가 국가 권력을 행사하여 그 영토와 국민을 다스리는 일을 정치(政治), 도맡아 다스림을 통치(統治), 자기 일을 자기 스스로 다스림을 자치(自治), 물리쳐서 아주 없애버림을 퇴치(退治), 나라의 관리가 맡아 다스리는 정치를 관치(官治), 법률에 의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일 또는 그 정치를 법치(法治), 나라 안의 정치를 내치(內治), 병을 고침을 요치(療治), 병을 고치기 어려움을 난치(難治), 병을 완전히 고침을 완치(完治), 산과 물을 다스려 재해를 막는 일을 치산치수(治山治水),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을 치국안민(治國安民), 실을 급히 풀려고 하면 오히려 엉킨다는 뜻으로 가지런히 하려고 하나 차근차근 하지 못하고 급히 해서 오히려 엉키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치사분지(治絲焚之), 애써 법을 정함이 없이 인덕으로 백성을 교화시키고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의상지치(衣裳之治), 백성의 사정을 잘 살펴서 정치를 잘함을 선치민정(善治民情), 까막눈인 사람들을 가르쳐 글 모르는 이가 없도록 하는 일을 문맹퇴치(文盲退治), 내 몸을 닦아 남을 교화함을 수기치인(修己治人), 어떠한 약이 무슨 병에든지 다 보람이 있음을 백병통치(百病通治), 어떤 한 가지 약이 여러 가지 병에 다 효력이 있음을 만병통치(萬病通治) 등에 쓰인다.
▶️ 辨(분별할 변, 갖출 판, 두루 편, 깎아내릴 폄)은 ❶형성문자로 弁(변)은 통자(通字), 釆(변)은 본자(本字)이다. 선칼도방(刂=刀; 칼, 베다, 자르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辛+辛(변; 재판하는 일)으로 이루어졌다. 말다툼하여 옳은지 그른지를 정하다, 나누다, 명백(明白)히 하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辨자는 ‘분별하다’나 ‘구분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辨자는 辡(따질 변)자와 刀(칼 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辡자는 죄인 둘이 서로 다투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따지다’나 ‘고소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죄인 둘이 서로의 잘잘못을 따지는 모습에 刀자를 더한 辨자는 잘잘못을 ‘분별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辨자에 쓰인 刀자는 둘 사이를 갈라 잘못을 판가름한다는 뜻인 것이다. 그래서 辯(변)은 한문학(漢文學)에서의 문체(文體)의 한 가지. 분별(分別)한다는 뜻으로, 옳고 그름 또는 참되고 거짓됨을 가리기 위하여 씌어진 글에 붙임의 뜻으로 먼저 분별할 변의 경우는 ①분별(分別)하다, 구분(區分)하다 ②나누다 ③밝히다, 명백(明白)하다 ④따지다, 쟁론(爭論)하다 ⑤변론(辯論)하다 ⑥총명(聰明)하다, 지혜(智慧)롭다 ⑦다스리다 ⑧바로잡다 ⑨쓰다, 부리다 ⑩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⑪준비하다 ⑫변하다, 바꾸다 ⑬고깔(머리에 쓰는, 위 끝이 뾰족하게 생긴 모자) ⑭구별(區別) ⑮분별(分別) ⑯변화(變化) 그리고 갖출 판의 경우는 ⓐ갖추다, 구비하다(판) 그리고 두루 편의 경우는 ㉠두루, 널리(편) 그리고 깎아내릴 폄의 경우는 ㊀깎아내리다(폄) ㊁폄하(貶下)하다(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사리를 밝혀 알림을 변고(辨告), 판단하고 생각함을 변교(辨校), 묻는 말에 옳고 그름을 가리어 대답함을 변대(辨對), 일을 맡아 처리함을 변리(辨理), 어떤 잘못에 대하여 구실을 대며 그 까닭을 밝힘을 변명(辨明), 사물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가리어 앎을 변별(辨別), 손해본 것을 갚아 줌을 변상(辨償), 빚을 갚는 것을 변제(辨濟), 시비를 분별하여 논란함을 변론(辯論), 옳고 그름을 가리어 사리를 밝힘을 변백(辨白), 잘잘못을 가림을 변색(辨色), 옳고 그름을 가려서 설명함을 변설(辨說), 말로 풀어서 밝힘을 변해(辨解), 사물의 이치를 똑똑히 밝힘을 변석(辨析), 같고 다름을 가림을 분변(分辨), 생각으로써 도리를 가려 냄을 사변(思辨), 서로 다름을 가려내지 못함을 불변(不辨), 남을 대신하여 변상함을 대변(代辨), 지혜가 있어서 사물을 분별하는 능력이 있음을 지변(知辨), 사실을 낱낱이 말하여 밝힘을 신변(伸辨), 제삼자 앞에서 서로 상대하여 시비를 논난함을 대변(對辨), 일을 맡아서 능란하게 처리함을 간변(幹辨),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숙맥불변(菽麥不辨), 모양과 거동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할 수 있음을 감모변색(鑑貌辨色), 허실을 판별하기 어려움을 허실난변(虛實難辨), 아직 동서의 방위도 분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도리를 통하지 못함을 미변동서(未辨東西), 변명할 길이 없다는 변명무로(辨明無路)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極(극진할 극/다할 극)은 ❶형성문자로 极(극)은 간자(簡字)이다. 용마루의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亟(극; 위아래가 막힌 곳에서 말(口)와 손(又)으로 빨리 하라고 지시함)의 뜻이 합(合)하여 지극히 높다는 데서 '지극하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極자는 ‘다하다’나 ‘극진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極자는 木(나무 목)자와 亟(빠를 극)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갑골문에서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極자가 그려져 있었다. 갑문에서는 땅을 딛고 머리로 하늘을 받치고 있는 거인이 그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하늘까지 ‘다다라 있다.’ 즉 ‘극에 달하다’라는 뜻이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口(입 구)자와 攴(칠 복)자가 더해지면서 세상을 호령하는 모습을 표현하게 되었고, 소전에서는 木자가 더해지면서 기둥이 하늘을 떠받치고 있음을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極(극)은 (1)지축(地軸)의 양쪽 끝, 곧 북극(北極)과 남극(南極) (2)지축이 천구를 자르는 점. 천구의 극 (3)은하면에 수직(垂直)된 직선(直線)이 천구를 관통(貫通)하는 점. 은하극 (4)전지(電池)에서 전류(電流)가 드나드는 두 끝, 곧 음극과 양극. 전극(電極) (5)자석에서 자력이 가장 센 양쪽의 끝, 곧 남극(南極)과 북극(北極) (6)한 구면상(球面上)에 그린 대원(大圓) 또는 소원(小圓)의 중심을 통과하는 구(球)의 직경(直徑)의 양쪽 끝 (7)극좌표(極座標)에 있어서 좌표의 원점(原點) (8)어떤 점의 한 곡선(曲線)이나 곡면(曲面)에 관한 극선(極線), 또는 극면(極面)을 생각할 때의 그 점의 일컬음 (9)동물축(動物軸)의 양끝 (10)어떤 명사(名詞)의 앞에 붙어 '아주', '극심(極甚)한', '극히' 따위의 뜻을 나타냄 (11)더할 수 없는 막다른 지경(地境) 등의 뜻으로 ①극진(極盡)하다 ②지극(至極)하다 ③다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다다르다 ⑤이르게 하다, 미치게 하다 ⑥세차다, 엄(嚴)하다(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혹독(酷毒)하다 ⑦죽이다, 징벌하다 ⑧바로잡다, 고치다 ⑨병들다, 지치다 ⑩괴롭히다 ⑪내놓다 ⑫멀다 ⑬잦다(잇따라 자주 있다), 재빠르다 ⑭극, 한계(限界) ⑮남북(南北)의 두 끝 ⑯하늘 ⑰별의 이름 ⑱북극성(北極星) ⑲정점(頂點), 최고의 자리 ⑳제위(帝位) ㉑임금의 자리 ㉒용마루(지붕 가운데 부분에 있는 가장 높은 수평 마루) ㉓대들보(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㉔중정(中正) ㉕근본(根本) ㉖흉사(凶事), 흉악한 일 ㉗깍지(활 쏠 때 사용하는 기구), 장갑(掌匣) ㉘매우, 심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곤할 곤(困), 다할 추(湫), 다할 진(殄), 다할 진(盡), 다할 궁(窮), 다할 갈(竭), 끝 단(端), 가난할 빈(貧)이다. 용례로는 몹시 심함을 극심(極甚), 더 갈 수 없는 극단에 이름을 극치(極致), 더할 수 없는 정도를 극도(極度), 사물의 끝닿은 데로 맨 끝을 극한(極限), 아주 옳음이나 매우 좋음을 극가(極可), 성질이 지독하고 과격함을 극성(極盛), 온갖 말로 태도가 매우 완강하거나 열렬함을 극구(極口), 있는 힘을 아끼지 않고 다함을 극력(極力), 지독한 심한 추위를 극한(極寒), 지독한 심한 더위를 극서(極暑), 힘이나 마음을 다함을 극진(極盡), 극구 칭찬함을 극찬(極讚), 맨 끝이나 맨 끄트머리를 극단(極端), 아주 매우 작음을 극소(極小), 몹시 가난함을 극빈(極貧), 매우 중요한 비밀을 극비(極祕), 몹시 악함 또는 더할 수 없이 지독한 악덕을 극악(極惡), 지극히 매우 큼을 극대(極大), 뜻을 다함을 극의(極意), 지극히 열렬함을 극렬(極烈), 끝에 있는 땅으로 남극이나 북극을 극지(極地),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움을 극미(極美), 더 할 수 없이 무거운 형벌을 극형(極刑), 몹시 궁함을 극궁(極窮), 극히 어렵고 고생스러움 또는 몹시 가난함을 극간(極艱), 극히 공손함을 극공(極恭), 말이나 행동이나 성질이 아주 아름다움을 극가(極嘉), 몹시 줄임을 극감(極減), 지나치게 심한 말을 극론(極論), 지극히 선량함을 극선(極善), 몹시 심한 더위를 극염(極炎),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움을 극려(極麗), 지극히 적음을 극미(極微), 사물에 대하여 그것을 긍정하고 능동적으로 활동함을 적극(積極), 극도에 달하여 어찌 할 수 없음을 궁극(窮極), 끝이 없음으로 동양 철학에서 태극의 처음 상태를 일컫는 말을 무극(無極), 더욱 심하게를 우극(尤極), 몹시 분에 넘침을 과극(過極), 몹시 바쁜 때를 방극(方極), 지구 위에서 가장 추운 곳을 한극(寒極), 어떠한 정도나 상태 따위가 극도에 이르러 더할 나위 없음을 지극(至極), 임금이나 부모의 은혜가 너무 커서 갚을 길이 없음을 망극(罔極), 더없이 악하고 도의심이 없다는 말을 극악무도(極惡無道), 너무 성하면 얼마 가지 못해 패한다는 말을 극성즉패(極盛則敗), 사물의 근원과 끝을 철저히 규명한다는 말을 궁원극위(窮源極委), 즐거움도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긴다는 말을 낙극애생(樂極哀生),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는 뜻으로 부모의 은혜가 매우 크고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호천망극(昊天罔極), 성정이 음침하고 매우 흉악하다는 말을 궁흉극악(窮凶極惡), 총애가 더할수록 교만한 태도를 부리지 말고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는 말을 총증항극(寵增抗極)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