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전 9시3분쯤 예천군 보문면 미호리 보문교 인근에서 실종자 수색 작전에 참가했던 해병 1사단 소속 ㄱ(20) 일병이 갑자기 하천 바닥이 꺼지면서 급류에 휩쓸렸다. 함께 휩쓸렸던 다른 대원 2명은 스스로 헤엄쳐 빠져나왔으나, ㄱ일병은 물 밖으로 나오지 못했다. ㄱ일병은 하루 전 호우·산사태 실종자 수색을 위해 예천 수해 현장에 투입됐다. 해병대는 사고 지점 일대에 상륙용고무보트(IBS) 등을 투입해 수색에 나선 끝에, 이날 밤 11시 8분께 경북 예천군 내성천 고평교 하류 400m 지점에서 ㄱ일병을 발견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특수구조단과 드론팀이 야간 수색을 하던 중 ㄱ일병을 확인해 인양했고, 소방 당국은 ㄱ일병을 병원으로 이송한 뒤 사망 여부 등을 판정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 결과 사고 당시 ㄱ 일병 등 해병대원들은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수색작업을 목격한 주민들은 해병대원들이 ‘인간띠’ 형태로 손을 잡고 늘어서는 방식으로 강을 훑고 있었다고 전했다. 최초 신고자라고 밝힌 미호리 주민은 기자들에게 “내성천은 모래 강이라서 보통 강과 다르다. 물 아래 지반이 약해 강가에서 수색을 했어야 한다. 왜 강 가운데까지 들어가는지 보면서도 이해할 수없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고가 구조 활동에 투입된 군이 현장 안전에 대한 고려 없이 무리하게 경찰·소방과 성과 경쟁을 벌이다 빚어진 게 아닌지 의심한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성명을 내어 “해병대 병사 실종은 무리한 임무 투입으로 인한 인재”라며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군 장병이 대민지원 임무에 투입될 수 있지만, 하천에 직접 들어가 실종자를 수색하는 임무를 경험이 없는 일반 장병에게 맡기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군 주변에선 왜 하천 수색 작업에 투입된 병사들이 구명조끼나 구명정 등 기본적인 안전장구도 갖추지 않고 있었는지,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문한다.해병대 관계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실종된 대원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던 것은 맞다. 수색 작전에 투입된 부대에서 시행한 안전대책을 현장에서 조사 중이다. 더 드릴 말씀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