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불교 수용과 관련된 다음 설명중 틀린것은?
1. 국민들의 사상을 통일하는데 기여하였다.
2. 고구려는 삼론종, 백제는 율종이 유행하였다.
3. 전통적인 토착 신앙과 융합하지 못하고 갈등을 일으켰다.
4. 삼국은 왕권 강화를 위해 힘쓰던 4세기경에 불교를 수용하였다.
여기서 답은 3번 입니다.
아무튼 4번에서 신라의 경우도 4세기 경에 불교를 수용하였나요? 공인과 수용은 다르겠죠?
그렇다면 내물왕이 수용을 하였는지? 음...
다음 카페의 ie10 이하 브라우저 지원이 종료됩니다. 원활한 카페 이용을 위해 사용 중인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해주세요.
다시보지않기
Daum
|
카페
|
테이블
|
메일
|
즐겨찾는 카페
로그인
카페앱 설치
최신 시험 공고
|
9꿈사 합격자 수기
|
우리들의 이야기
|
④ 경쟁률/합격선 통
검색
카페정보
★9꿈사★공무원을꿈꾸는사람들
다이아 (공개)
카페지기
♥카페주인★
회원수
732,304
방문수
376
카페앱수
6,204
카페 전체 메뉴
▲
검색
친구 카페
이전
다음
ㆍ
★7꿈사★7급공무원..
카페 게시글
목록
이전글
다음글
답글
수정
삭제
스팸처리
② 한국사 심화 학습
[문제질문]
삼국의 불교수용
20층 총각
추천 0
조회 222
06.01.25 21:33
댓글
1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1
추천해요
0
스크랩
0
댓글
푸른하루
06.01.25 23:23
첫댓글
4세기 눌지왕이 불교를 수용했습니다. 그런데 토착신앙의 반발로 공인되지 못하다가 6세기법흥왕때 이차돈의 순교로공인되게 되지요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
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검색하기
연관검색어
환
율
환
자
환
기
재로딩
최신목록
글쓰기
답글
수정
삭제
스팸처리
첫댓글 4세기 눌지왕이 불교를 수용했습니다. 그런데 토착신앙의 반발로 공인되지 못하다가 6세기법흥왕때 이차돈의 순교로공인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