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v.daum.net/v/20230708070053652
코로나19 3년 가계 소비지출 ‘바닥’
175만명 원금·이자가 월급보다 많아
신용카드·현금서비스 연체율도 급증
소비여력 안 키우면 내수활성화 불가
현재 약 300만 명의 가계대출자가 원금과 이자를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도 힘든 상태다
이 가운데 175만 명은 소득보다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이 더 많아
소비 여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3년을 지나면서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투자와 생활고 등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불어난 데다 2021년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치솟은 금리가 가계에 큰 부담을
안긴 것으로 보인다.
서민 주머니 사정이 나빠졌다는 사실은 신용카드 사용에서도 알 수 있다.
카드 리볼빙(분할 납부) 금액과 현금서비스 연체율이 급증한 것이다.
신용카드 리볼빙과 카드론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그만큼 급전이 필요한 사람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한 마디로 가계에서 저축이나 소비에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이 바닥난 것이다.
이는 고금리 시대 가계부채 위험을 키우는 것은 물론 정부 경기 부양에도 상당한 걸림돌이다.
정부 내수 대책은 결국 국민이 돈을 써야 빛을 발할 수 있는데 현실은 그럴 여력이 없다.
오히려 가처분소득이 줄면서 대출 상환 부담을 키우고, 결국 연체율 상승으로
금융 불안을 키우고 있는 형국이다.
가처분소득 감소는 수출마저 부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 민간 소비 회복까지 막아
결국 실물 경기 발목을 잡게 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 회복이 더딘 것은 고금리, 고물가 부담 때문인데,
특히 고금리의 부담은 올해 상반기에 충분히 나타나지도 않았다”며
고금리가 소비·투자·주택가격에 본격적으로 영향 미치는 데
반년∼1년의 시차가 있기 때문으로,
하반기부터 고금리 여파가 뚜렷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장기적인 경기 침체를 막으려면
정부가 기업보다 가정의 가처분소득을 관리해 줘야 하는 시기”라며
“기업의 제품가격 인상을 자제토록 권고하고 정부가 부채를 더 지더라도
가계 대출이자를 더 늘리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