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규모 및 동향
○ 발광다이오드(LED) HS Code: 8541.40
○ 시장규모 - 국가반도체조명사업연구개발및산업연맹(国家半导体照明工程研发及产业联盟)에 따르면, 2018년 중국 LED산업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2.5% 증가해 5985억 위안 달성
-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LED 시장의 전체 연평균 성장률은 25%로 향후 중국의 LED산업 시장규모는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2012-2018년 중국 LED산업 시장규모와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자료: 국가반도체조명사업연구개발및산업연맹(国家半导体照明工程研发及产业联盟)
○ 시장동향
-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7년 중국 LED산업의 부가가치는 주로 LED 응용 분야에서 창출됨.
- 중국의 LED 응용 제품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일반조명이 48%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경관조명이 2위로 14%, 디스플레이가 3위로 13%를 차지
2017년 중국 LED산업 부가가치 분포도(좌), 중국 LED응용 제품별 분포도(우)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중국은 LED 시장에 비교적 늦게 진출함. 중국 제조업체는 비교적 간단한 LED 패키지공정부터 시작해 고급기술을 필요로 하는 에피텍셜 웨이퍼 생산 분야로 점차 진입하고 있음.
- 세계 LED 산업 시장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현재 조명시장은 일본·유럽·미국 기업이, 백라이트 시장은 한국·대만 기업이 주도하며, 중국은 주로 경관조명시장을 공략함.
- 중국 정부는 국내 LED기업의 투자·생산의 어려움을 상쇄시켜주기 위해 보조금을 제공하는 등 LED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함.
2018년 중국 LED 기업 정부 보조금 지원 순위
순위 | 회사 명칭 | 정부 보조금(만 위안) |
1 | 목림삼(木林森) | 81,352 |
2 | 삼안광전(三安光电) | 61,326 |
3 | 화찬광전(华灿光电) | 41,907 |
4 | 동산정밀(东山精密) | 27,300 |
5 | 건조광전(乾照光电) | 16,922 |
자료: OFwee 반도체 조명망(OFweek半导体照明网)
○ 소재국 해당품목 수출규모 및 대상 국가
- 2018년 중국의 LED(HS Code 8541.40 기준) 수출액은 약 181억5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6% 증가.
중국 LED 수출규모 현황
(단위: 천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 2018년 중국 LED (HS Code 8541.40 기준) 주요 수출국은 홍콩, 인도, 일본, 호주, 멕시코 순이며 연도마다 순위의 변동이 있음.
- 홍콩, 인도, 일본은 지난 3년간 꾸준히 중국 LED 수출국의 3위 안에 안착
- 한국은 중국 LED수출국의 2016년도 5위, 2017년도 4위, 2018년도 6위를 차지하며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
중국 LED 상위 10개국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증감률* |
- | 총계 | 17,211,337 | 16,418,835 | 18,151,337 | 10.6 |
1 | 홍콩 | 2,904,900 | 2,769,604 | 2,555,724 | -7.7 |
2 | 인도 | 2,599,151 | 3,533,650 | 2,353,166 | -33.3 |
3 | 일본 | 2,990,276 | 2,222,988 | 1,952,875 | -12.2 |
4 | 호주 | 365,569 | 682,182 | 1,289,415 | 89.0 |
5 | 멕시코 | 105,997 | 573,379 | 1,259,549 | 119.7 |
6 | 한국 | 1,043,420 | 1,059,138 | 823,026 | -22.3 |
7 | 베트남 | - | 88,686 | 608,532 | 253.3 |
8 | 브라질 | 348,943 | 441,611 | 588,559 | 33.3 |
9 | 우크라이나 | - | - | 519,149 | 428.9 |
10 | 이집트 | - | - | 460,680 | 1,034.7 |
*주: 증감률은 2018년 기준 전년대비 수치임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 해당품목 수입시 관세율(소재국→한국)
○ 2019년 HS Code 8541.40.10 기준 발광다이오드(LED) 제품의 MFN(최혜국대우) 관세율은 0%임.
발광다이오드(LED) 관세율
제품 | HS Code | MFN 세율 |
발광다이오드(LED) | 8541.40.10 | 0% |
자료: Trade NAVI
□ 해당품목에 대한 기타사항
○ 중국 LED 산업의 전망
- Mini 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현재 전세계 많은 LED 제조업체가 Mini LED 관련 산업에 힘을 쏟고 있음. 중국의 경원광전(晶元光电), 건조광전(乾照光电), 화찬광전(华灿光电)등의 기업 또한 적극적으로 Mini LED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 Micro LED는 초고해상도 및 높은 발광효율 뿐만 아니라 수분, 산소 또는 고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음. 그러나 아직은 LED 산업이 마이크로 칩 제조 및 대량 이송 등 핵심 기술의 제약을 받고 있어 상용화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품목 관련 소재지역 협·단체
○ 협단체명: 중국LED디스플레이응용업계협회(中国LED显示应用行业协会)
- 홈페이지: http://www.leds.org.cn/
- 연락처: TEL: 021-52703216 / E-mail: hyxh@leds.org.cn
○ 협단체명: 국가반도체조명사업연구개발및산업연맹(国家半导体照明工程研发及产业联盟)
- 홈페이지: http://csa.china-led.net/
- 연락처: TEL: 0086-10-82387780 / E-mail: csa@china-led.net
○ 협단체명: 중국조명·전기기구협회(中国照明电器协会)
- 홈페이지: http://www.cali-light.com/index.php/cali/index/index.html
- 연락처: TEL: (010) 65278654 / E-mail: wenqidong@chineselighting.org
○ 협단체명: 중국 LED망(中国LED网)
- 홈페이지: https://www.cnledw.com/
- 연락처: TEL: 0755-82838931-6805 / E-mail: perrywang@trendforce.cn
□ 주요 제조기업
○ 삼안광전유한회사(三安光电有限公司) (2018년 기준)